$\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행정환경과 정부특성 연구Ⅵ: 베트남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ies in Vietnam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행정연구원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12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1400012315
과제고유번호 1105007698
사업명 한국행정연구원
DB 구축일자 2014-07-12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12315

초록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베트남은 새롭게 부상하는 경제신흥국이자 자원대국으로 1992년 12월 우리나라와 수교한 이래 경제 분야 이외에도 국방, 외교, 문화, 인적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가 급속하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19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베트남의 ‘도이머이’ 개혁정책과 1992년 한국 베트남간 국교수립은 베트남에 대한 관심을 재 촉발하는데 중요한 기폭제가 되었으며 이에 따라 학문적, 실용적 연구가 재 활성화되었음
○ 이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로 성장한 베트남의 행정과 정

Abstract

Vietnam is a newly developing and resource-rich country. Since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were established between Vietnam and Korea in December, 1992.
it is now expected the relationship would be expanded to various areas such as defense, foreign affairs, and personnel exchanges as well as ec

목차 Contents

  • 표 지 ... 1
  • 발 간 사 ... 4
  • 목 차 ... 6
  • 표목차 ... 9
  • 그림목차 ... 10
  • 국문요약 ... 11
  • 영문요약 ... 23
  • 제1편 총 론 ... 26
  • 제1장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27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27
  • 제2절 연구의 목적 ... 28
  • 제2장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9
  • 제1절 연구의 범위 ... 29
  • 제2절 연구의 방법 ... 29
  • 제2편 베트남의 행정환경 ... 32
  • 제1장 베트남의 인문・사회적 환경 ... 33
  • 제1절 서 론 ... 33
  • 제2절 역사적 환경 ... 34
  • 제3절 지리적 환경 ... 37
  • 제4절 사회・문화적 환경 ... 39
  • 제5절 정치・경제적 환경 ... 44
  • 제6절 한국과의 관계 ... 47
  • 제7절 결 론 ... 50
  • 제2장 베트남의 헌법 및 법률적 기반과 통치기구 ... 51
  • 제1절 베트남의 법률체계 ... 51
  • 제2절 헌법 ... 55
  • 제3절 행정법의 내용 및 특성 ... 59
  • 제4절 통치기구 ... 62
  • 제5절 결론 ... 76
  • 제3편 베트남의 행정체계와 과정 ... 78
  • 제1장 베트남의 행정조직 및 행정문화 ... 79
  • 제1절 행정조직의 법적 근거 ... 79
  • 제2절 행정조직 ... 83
  • 제3절 행정문화 ... 88
  • 제4절 결 론 ... 92
  • 제2장 베트남의 인적자원관리 ... 94
  • 제1절 인적자원관리의 기본방향 ... 94
  • 제2절 행정윤리 및 부패 ... 103
  • 제3절 인사행정의 개혁 ... 116
  • 제4절 결 론 ... 120
  • 제3장 베트남의 예산과 재정 ... 122
  • 제1절 예산・재정개혁의 배경 ... 122
  • 제2절 예산제도 및 재정개혁 ... 126
  • 제3절 금융시스템 개혁 과제 ... 133
  • 제4절 결 론 ... 136
  • 제4장 베트남의 정부 간 관계와 지방행정 ... 137
  • 제1절 베트남 지방자치제도의 특성 ... 137
  • 제2절 지방행정체제 ... 140
  • 제3절 베트남의 지방재정 ... 146
  • 제4절 지방행정개혁 ... 156
  • 제5절 결 론 ... 158
  • 제5장 베트남의 전자정부 ... 160
  • 제1절 2001~2010년 전자정부 추진 성과 및 문제점 ... 160
  • 제2절 2011~2015년 전자정부 추진 현황 ... 164
  • 제3절 성과 및 전망 ... 165
  • 제4절 결 론 ... 168
  • 제4편 베트남의 공공정책 ... 170
  • 제1장 베트남의 공공정책과정 ... 171
  • 제1절 베트남 공공정책의 특징 ... 171
  • 제2절 공공정책과정과 행위자 ... 173
  • 제3절 공공정책의 평가 ... 176
  • 제4절 결 론 ... 179
  • 제2장 베트남의 외교・안보정책 ... 182
  • 제1절 베트남 공산당과 외교정책 ... 182
  • 제2절 외교정책의 주요 내용 ... 182
  • 제3절 베트남 안보정책의 목표와 특징 ... 184
  • 제4절 안보정책의 주요내용과 실행 방식 ... 186
  • 제5절 한국과의 관계 ... 189
  • 제6절 결론 ... 190
  • 제3장 베트남의 경제・과학기술 정책 ... 192
  • 제1절 경제에 대한 국가관리 ... 192
  • 제2절 과학기술에 대한 국가관리 ... 199
  • 제3절 결론 ... 202
  • 제4장 베트남의 보건복지・환경정책 ... 204
  • 제1절 보건복지에 대한 국가관리 ... 204
  • 제2절 환경에 대한 국가관리 ... 206
  • 제3절 결론 ... 212
  • 제5장 베트남의 교육정책 ... 214
  • 제1절 베트남의 교육의 특징 ... 214
  • 제2절 교육에 대한 국가관리 ... 216
  • 제3절 결 론 ... 221
  • 제5편 베트남 연구의 시사점 ... 222
  • 1. 한국・베트남은 ʻ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ʼ의 강화 및 교류협력을 통한 상생발전 필요 ... 223
  • 2. 베트남의 법률적 환경과 권력구조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 필요 ... 224
  • 3. 행정개혁은 베트남 공산당의 하향식(top down) 혁신활동이 아닌 행정부의 자발적 혁신노력이 중요 ... 225
  • 4. 인사행정개혁과 부패방지를 위한 적극적 노력 필요 ... 226
  • 5. 공공재정개혁은 성과를 거둔 반면, 금융시장에서의 감독기능 수행은 미진함 ... 227
  • 6. 지방정부 분권개혁은 새로운 환경에 부합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발생시켰으나 기대만큼의 목표 미달성 ... 228
  • 7. 베트남에 대한 한국 전자정부의 성공적 경험과 노하우의 보다 적극적인 제공 필요 ... 230
  • 8. 공공정책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보장 및 정책과정에서의 적극적인 정책평가 활동 요구됨 ... 231
  • 9. 베트남과의 자원외교 활성화를 통한 동남아 국가들과의 경제협력, FTA 추진 등 세일외교의 확장 모색하여야 함 ... 232
  • 10. 경제・과학기술정책은 베트남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기반이자 핵심동력 ... 233
  • 11. 국제적인 협력강화를 통한 보건복지 정책 및 환경보호 및 자원관리 정책에 많은 노력을 집중하여야 함 ... 234
  • 12. 교육개혁의 지속적인 추진과 글로벌 스탠더드 형 과학적 교육은 베트남을 인적자원 강국으로 변화시킬 것임 ... 236
  • 참고문헌 ... 238
  • 끝페이지 ... 253

표/그림 (2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