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개발 및 조성사업 연구Ⅲ:‘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 시범사업’ 운영과 추진전략 개발
A Study of Youth Happiness Community’s Index and Construction Project III:The Pilot Project and Developing Strategies for Establishing the Youth Happiness Community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책임자 오해섭
참여연구자 김세광 , 정윤미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5-12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사업 관리 기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등록번호 TRKO201600001586
DB 구축일자 2016-05-07
키워드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 시범사업‚ 추진전략 개발‚ 영역별 실천과제 지역 사회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방안.The pilot project ‚ Development of implementation strategies‚ Action plans for each area‚ Measures for building a collaborative network in the community.

초록

이 연구는 2015년도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개발 및 조성사업 연구Ⅲ」의 세부영역으로 청소년 행복도시 조성 시범사업 운영과 추진전략’을 개발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Ⅰ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시범사업의 추진근거를 제시하였다.
제Ⅱ장은 시범사업 실시에 관한 내용으로‚ 2014년도 연구계획서를 근거로 기획과 공모과정을 거쳐 4.1〜9.30(6개월) 동안 지방자치단체 1개 지역을 선정하여 행정기관과 청소년기관 간의 컨소시엄 형태로 운영하였다. 본 시범사업은 3개 영역(청소년 상설 프리마

Abstract

As the third year research following 「A Study of Youth Happiness Community’s Index and Construction Project I」conducted in 2013‚ this research explores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the pilot project on establishment of the Youth Happiness Community. The contents of the 2015 research are as follow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 간 사 ... 5
  • 국 문 초 록 ... 7
  • 연구 요약 ... 9
  • 목차 ... 15
  • 표목차 ... 19
  • 그림목차 ... 21
  • 제Ⅰ장 서 론 ... 23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5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7
  • 1) 연구의 내용 ... 27
  • 2) 연구의 방법 ... 28
  • 3. 연구의 추진 배경 및 근거 ... 30
  • 제Ⅱ장 시범사업 운영 과정 및 개선방안 ... 35
  • 1. 추진 기조 및 사업 내용 ... 37
  • 1) 추진 방향과 청소년에 대한 시각 ... 37
  • 2) 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 유형 및 역할 ... 39
  • 3) 시범사업 영역 선정 과정 ... 41
  • 4) 시범사업 지역 선정 및 추진 절차 ... 47
  • 2. 시범사업 지역 현황 및 운영설계 ... 47
  • 1) 청소년 및 관련현황 ... 47
  • 2) 세부 추진사업 운영계획 ... 50
  • 3. 시범사업 주요 활동내용 ... 58
  • 1) 경제영역 주요활동 ... 58
  • 2) 참여영역 주요활동 ... 61
  • 3) 관계영역 주요활동 ... 64
  • 4. 시범사업 운영 평가 및 개선방안 ... 72
  • 1) 경제영역 ... 72
  • 2) 참여영역 ... 77
  • 3) 관계영역 ... 84
  • 5. 시범사업 효과 분석 및 시사점 ... 97
  • 1) 조사개요 ... 97
  • 2) 조사결과 분석 ... 98
  • 3) 경제영역 시범사업 참여 청소년 효과 분석 ... 99
  • 4) 참여영역사업 시범사업 참여 청소년 효과 분석 ... 102
  • 5) 관계영역사업 시범사업 참여 청소년 효과 분석 ... 105
  • 6) 결론 및 시사점 ... 108
  • 6. 시범사업 운영과 효과분석에 따른 종합 제언 ... 110
  • 1) 경제영역 ... 110
  • 2) 참여영역 ... 113
  • 3) 관계영역 ... 115
  • 제Ⅲ장 국내외 사례 고찰과 시사점 도출 ... 121
  • 1. 국내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 유사 사례 ... 123
  • 1) 평생학습도시 운영 현황 및 시사점 ... 124
  • 2) 국내 아동·청소년 친화적 네트워크 운영 사례 및 특징 ... 129
  • 3) 우리나라 청소년 관련 지원네트워크 운용 현황 ... 131
  • 2. 국내외 ‘아동·청소년 친화도시’ 운영 실태 분석 - 유니세프(UNICEF) 아동친화도시 선정 원칙을 중심으로 - ... 136
  • 1) 아동·청소년 친화도시(Child Friendly Cities)의 개념과 배경 ... 136
  • 2) 각 국의 아동·청소년친화도시 운영과 적용 사례 ... 139
  • 3) 한국의 아동·청소년 친화도시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 및 정책 제언 ... 156
  • 제Ⅳ장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추진전략 및 운영방안 ... 159
  • 1. 추진전략 개발 절차와 접근원리 ... 161
  • 1) 추진절차 및 연구방법 ... 161
  • 2) 추진전략 개발을 위한 접근원리 ... 163
  • 2.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 시범사업’ 실행체계 ... 164
  • 1) 목표 및 추진방향 ... 164
  • 2) 지역 특성을 고려한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계획 수립 ... 167
  • 3.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 추진 로드맵 ... 169
  • 1) ‘아동·청소년친화도시’ 조성 기준 및 절차 ... 169
  • 2) 지방자치단체의 ‘아동·청소년 친화도시’ 조성 과정 및 추진 현황 ... 170
  • 4.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 영역별 실천과제 ... 172
  • 1) 목표와 추진방향 설정 ... 172
  • 2)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기본 요건 ... 176
  • 3)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한 향후 과제 ... 179
  • 5. 아동·청소년 친화도시 운영 네트워크 구축 실태와 개선 방안 ... 181
  • 1) 네트워크 구축의 시의성 ... 181
  • 2) ‘아동·청소년친화도시’ 사업 추진 및 운영네트워크 사례 분석 ... 182
  • 6.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운영 및 관리 방안 ... 192
  • 1)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운영의 기본 모형 ... 192
  • 2) 청소년에 대한 회복적 패러다임 적용 ... 194
  • 3) 청소년의 도전의식 함양과 기업가정신 실천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 방안 ... 201
  • 4) ‘청소년멘토링’ 활성화를 통한 잠재적 역량개발과 주도적 참여 기반 조성 ... 202
  • 5)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운영 및 관리를 위한 통합적 모델 ... 210
  • 제Ⅴ장 결론 및 정책제언 ... 211
  • 1. 결론 ... 213
  • 2. 정책 제언 ... 216
  • 1)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시범사업에 따른 종합제언 ... 216
  • 2)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운영 추진체계 및 네트워크 적용 방안 ... 217
  • 3)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한 영역별 세부사업 추진전략 개발 ... 228
  • 4)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한 법제정 권고 사항 및 조례(안) 제언 ... 243
  • 참고문헌 ... 249
  • 부 록 ... 261
  • [부록 1]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한 영역별 운영계획 및 실천프로그램 개발 워크숍 결과 ... 263
  • [부록 2]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 시범사업」 추진계획 및 선정 공고문 ... 276
  • [부록 3]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한 사업영역 요구조사 ... 281
  • Abstract ... 285
  • 끝페이지 ... 294

표/그림 (2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