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주관연구기관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
연구책임자 | 황윤재 |
참여연구자 | 우병준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0-12 |
주관부처 | 농림축산식품부 |
사업 관리 기관 | 농림수산식품부 |
등록번호 | TRKO201600011880 |
DB 구축일자 | 2016-11-26 |
이 연구는 축산물 안전사고에 대하여 과학적, 제도적, 경제적 및 사회적, 심리적인 측면 등에서의 종합적인 접근을 통하여 사회·경제적 혼란을 사전 예방하고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농식품 안전관리를 위한 대응 방안을 검토하여, 향후 축산물 ...
이 연구는 축산물 안전사고에 대하여 과학적, 제도적, 경제적 및 사회적, 심리적인 측면 등에서의 종합적인 접근을 통하여 사회·경제적 혼란을 사전 예방하고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농식품 안전관리를 위한 대응 방안을 검토하여, 향후 축산물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감을 완화시킴으로써 축산물 안전관련 사고에 있어서 사회경제적 비용을 최소화하고 축산 관련 산업의 안정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보고서는, ① 축산물 위해요소에 관한 과학적 사실 검토, ② 축산물 안전관리 관련 국내외 규정 분석, ③ 축산물 위해요소에 대한 소비자 심리 분석, ④ 축산물 안전사고의 정보적 특성 검토, ⑤ 축산물 안전사고의 사회경제적 파급 영향 검토, ⑥ 축산물 안전사고의 효율적 대응 방안 제시를 다루고 있다.
소비자들은 조사 대상이 된 조류인플루엔자, 구제역, BSE, 살모넬라 등에 대해 평소에는 그다지 불안해하지 않았으나 실제로 이러한 위험요소가 발생한 경우 잠재되어 있던 두려움과 불안이 표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축산물 위해요소에 대한 불안감은 높지 않은 반면, 이들 위해요소에 대한 위험인식은 평상시의 불안감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축산물 위해요소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은 ① 위해요소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 ②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매체, ③ 정보원, ④ 정부의 대응 ⑤ 축산물 취급인에 대한 평가, ⑥ 소비자의 지각된 통제성 등과 관계가 있다.
소비자의 위험에 대한 지각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자극과 정보 등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위험에 관련한 정보가 어떻게 전달되느냐에 따라 소비자의 위험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다. 인간의 위험에 대한 지각을 형성시키는 정보전달에 있어서 대중매체 및 인터넷 등의 역할이 크다. 언론의 보도는 질병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의 유무와 상관없이 축산농가에 간접적인 피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축산물 안전관리 강화와 소비자의 신뢰 제고를 위해서 축산물 안전관리 체계 개선과 축산물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안전관리 측면에서 법·제도 정비 및 시스템 강화, 축산물 안전에서의 국제적인 조화 제고, 소비자 우선정책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특히 제도 정비 및 시스템 강화를 위해 식품안전기본법 운영을 강화하고, 위해평가와 위해관리 시스템 제고, 정부의 위험정보교환 역량 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는 소비자의 심리를 반영한 정보제공 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있고, 위험속성별·사안별 커뮤니케이션 수단·방법을 선정하여야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cientific, institutional, econom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related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cientific, institutional, econom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related to animal diseases and discuss how to improve current risk management and risk communication systems and strategies. The main animal diseases included in the study are foot-and-mouth disease(FMD), avian influenza(AI),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BSE), and salmonellosis.
This study consists of six chapters. Chapter 2 explains scientific factors of main animal diseases. Chapter 3 checks domestic and foreign regulations on animal products safety. Chapter 4 analyzes consumers' psychological aspects on animal products' safety. Chapter 5 analyzes informati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animal products safety matters. Chapter 6 reviews previous studies on socio-economic influence of animal diseases. Finally, chapter 7 suggests several policies to restore consumer confidence and secure safety and to enhanc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animal product safety management system.
It is needed to consolidate animal products safety management and risk communication. To improve the current safety management system, first, the laws and regulations and systems related to food safety should be modified. Especially, the role of "Framework Act on Food Safety" should be strengthen and risk assessment and risk management systems should be modified. Also, Government capability for risk communication should be strengthen. Second, international harmonization on food safety and consumer oriented policies should be considered. To ensure more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for animal products, first, information provision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communication measures should be selected by characteristics and cases of risk.
참여 연구원 | 우병준, |
---|
축산물 안전사고의 사회경제적 영향분석 및 평가에 대한 연구
주관연구기관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책임연구자 :
황윤재
발행년월 : 2010-12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