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력신기술 제도의 효율화 방안 연구
A research on measur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New Technology of Electric Power certifica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사)한국중소기업학회
연구책임자 이종욱
참여연구자 송창석 , 송창석 , 박지윤 , 양혜린 , 부선영 , 정은지 , 왕보람 , 신혜원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4-03
주관부처 산업통상자원부
사업 관리 기관 산업통상자원부
등록번호 TRKO201600016778
DB 구축일자 2016-12-17
키워드 전력신기술,전력신기술 지정 제도,신기술 사용료,신규성,진보성,경제성,안전성,현장 적용성New Technology of Electric Power(NTEP),the New Technology of Electric Power certification,Royalty,Novelty Inventive Steps,Economic Feasibility,Safety,Industrial Applicability

초록

전력신기술 지정 제도는 민간에서 개발한 전력기술을 심사 요건 및 기준에 따라 신기술로 지정해 신기술 개발자에게 보호기간 등 지원 혜택을 부여하는 제도임. 이 제도는 전력신기술의 개발과 활용을 촉진하고, 나아가 전력산업의 기술혁신을 통해 국가경쟁력 및 전력산업의 경쟁력을 높여 나가기 위해 만들어졌음. 제도가 운영되면서 전력신기술의 개발과 활용을 통하여 기술 수준 향상, 공사비 절감 등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음. 하지만 지정된 전력신기술의 적정성 문제, 전면적인 현장 활용, 과다한 신기술 사용료, 신기술 적용 공사의 작업 안전성

Abstract

The New Technology of Electric Power certification grants a set of exclusive rights, such as patent protection, to a private organization or an individual who invents new electric power-related technologies and meets thepatentability requirements of Korea Electric Association(KEA). This certificati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요약문 ... 4
  • SUMMARY ... 10
  • CONTENTS ... 16
  • 목차 ... 20
  • 제1장 서론 ... 24
  • 1절 연구 개요 ... 25
  • 1. 연구 배경 및 목적 ... 25
  • 2. 연구 범위 및 내용 ... 28
  • 2절 연구 추진 방법 ... 29
  • 1. 연구 추진 체계 ... 29
  • 2. 연구 추진 방법 ... 30
  • 제2장 전력신기술 지정 제도 현황과 개요 ... 32
  • 1절 전력신기술의 정의와 범위 ... 33
  • 1. 전력신기술의 정의 ... 33
  • 2. 전력신기술의 범위 ... 33
  • 2절 전력신기술 지정 제도 ... 34
  • 1. 관련 법령 ... 34
  • 2. 전력신기술 지정 심사 기준과 심사위원회 구성 ... 34
  • 3. 전력신기술 지정 절차 ... 36
  • 4. 전력신기술 지정 혜택 ... 37
  • 3절 전력신기술 지정 및 활용 현황 ... 39
  • 1. 전력신기술 지정 현황 ... 39
  • 2. 전력신기술 활용 현황 ... 40
  • 제3장 국내 신기술 지정 제도 현황과 비교 ... 46
  • 1절 건설신기술 지정 제도 ... 47
  • 1. 건설신기술 개요 ... 47
  • 2. 추진 체계와 지정 분야 ... 47
  • 3. 신청 자격 ... 49
  • 4. 심사 기준과 심사 절차 ... 49
  • 5. 건설신기술의 지정에 따른 지원 혜택 ... 53
  • 6. 건설신기술 현황 ... 53
  • 7. 사후 관리 ... 55
  • 8. 문제점 및 해결 방향 ... 56
  • 2절 교통신기술 지정 제도 ... 57
  • 1. 지정 제도 소개 ... 57
  • 2. 추진 체계 ... 58
  • 3. 지정 분야 ... 58
  • 4. 심사 기준 ... 59
  • 5. 지정 절차 ... 60
  • 6. 지정 현황 ... 61
  • 7. 활용 실적 ... 62
  • 8. 문제점 및 개선 방향 ... 62
  • 3절 환경신기술 지정 제도 ... 66
  • 1. 신기술의 정의 및 목적 ... 66
  • 2. 평가대상 기술 ... 67
  • 3. 신기술 분류 ... 67
  • 4. 평가 절차와 평가 기준 ... 69
  • 5. 인센티브 ... 70
  • 6. 환경신기술 발급 현황 ... 71
  • 7. 관련 정책 추진 방향 ... 73
  • 4절 신기술 지정 제도 비교 ... 75
  • 제4장 전력신기술 지정 제도의 특성과 이슈 ... 78
  • 1절 전력신기술 지정 제도와 이해관계자 ... 79
  • 1. 전력신기술 지정 제도 현황과 이해관계자측면의 이슈 ... 79
  • 2. 전력신기술 지정에 따른 혜택과 이슈 ... 84
  • 2절 전력신기술 지정 심사 프로세스 ... 95
  • 1. 서류심사 위주의 신기술 지정 심사 ... 95
  • 2. 구체성이 부족한 신기술 지정 심사 기준 ... 97
  • 3. 한정된 심사위원 풀에서 기인된 공정성 이슈 ... 101
  • 3절 지정된 전력신기술 활용 ... 103
  • 1. 전력신기술 현장 활용의 공정성과 객관성 미흡 ... 103
  • 2. 전력신기술 활용에 따른 공사업체들의 비용 부담 ... 104
  • 4절 지정된 전력신기술 관리 및 산업 경쟁력 ... 106
  • 5절 전력신기술 지정 제도 효율화를 위한 이슈와 개선 과제 ... 107
  • 1. 전력신기술 지정 제도 및 역할 ... 107
  • 2. 전력신기술 지정 심사 프로세스 ... 107
  • 3. 지정된 전력신기술 활용 ... 108
  • 4. 지정된 전력신기술 관리 및 산업 경쟁력 ... 109
  • 제5장 전력신기술 지정 제도 개선 방안 ... 110
  • 1절 전력신기술 지정 제도 개선의 지향점 ... 111
  • 2절 전력신기술 지정 제도 및 역할 개선 방안 ... 112
  • 1. 전력신기술 정의의 명료화 ... 113
  • 2. 전력신기술 관련 조직의 역할 명확화 ... 114
  • 3. 전력신기술 지정 혜택의 전력산업생태계 상생발전 지향성 제고 ... 121
  • 4. 전력신기술 지정 주관기관 합리화 ... 125
  • 3절 전력신기술 지정 심사 프로세스 개선 방안 ... 126
  • 1. 가치있는 신기술 선별을 위한 심사 기준 체계화 ... 127
  • 2. 현장 적용성과 안전성 강화를 위한 신청 서류 보완 및 현장 실사 도입 ... 130
  • 3. 공정성 강화를 위한 심사위원 풀 보강과 심사위원 선정 방법 변경 ... 138
  • 4절 지정된 전력신기술 활용제도 개선 ... 140
  • 1. 전력신기술 현장 활용 관련 제도 공식화 ... 140
  • 2. 전력신기술 관련 교육비 및 장비 임대료 부담 경감 ... 141
  • 5절 지정된 전력신기술 관리 및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 142
  • 1. 지정된 전력신기술의 활용 실적 관리 개선 ... 142
  • 2. 활용된 전력신기술 평가 및 관리 체계 개선 ... 144
  • 3. 전력신기술 지정 활성화 및 산업 경쟁력 강화 기반 마련 ... 145
  • 6절 기타 개선 사항 ... 147
  • 1. 전력신기술 보호기간 연장 심사 점수제 도입 ... 147
  • 2. 송․변전분야 전력신기술 보호기간 연장 ... 148
  • 제6장 결론 ... 150
  • 참고문헌 ... 154
  • 부록 ... 155
  • 끝페이지 ... 158

표/그림 (86)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