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NFCCC 기술 메커니즘(CTCN) 활용 기후기술 협력방안 연구
Climate Technology Cooperation Strategy through the UNFCCC Technology Mechanism (CTCN) Based Approach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녹색기술센터
Green Technology Center
연구책임자 김형주
참여연구자 문명욱 , 손지희 , 양리원 , 장창선 , 이소담 , 이중명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12
과제시작연도 2016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등록번호 TRKO201700001826
과제고유번호 1711046442
사업명 녹색기술센터연구운영비지원
DB 구축일자 2017-09-20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01826

초록

Ⅵ. 결론 및 시사점

기술이전은 개도국이 기존 선진국이 경험한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시킨 산업화 과정이 아닌 지속가능한 저탄소 배출 개발 경로로의 국가 개발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개도국 기술이전에 있어 가장 큰 장벽이 되는 요소는 개도국이 주체적으로 기술이전을 주도하고, 기술이전을 받아들일 수 있는 역량과 기술이전 이후 이를 활용 및 확산할 수 있는 내생적 역량의 부족이다. 또한 많은 개도국이 기술이전에 대한 제도적·재정적 기반 부족을 경험하고 있으나 자국 스스로의 개선책을 찾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U

Abstract

Ⅵ. Conclusion and Implication

Technology transfer is an essential factor for developing countries to achieve national development in a sustainable and low-carbon ways, rather than industrialization accompanying great amount of GHG emission that current developed countries had adopted in the p

목차 Contents

  • 표지 ... 1제 출 문 ... 5요 약 문 ... 7SUMMARY ... 13목차 ... 20표목차 ... 22그림목차 ... 24CONTENTS ... 26제 1 장 서 론 ... 29 제 1 절 UNFCCC 下 기후기술협력 배경 및 노력 ... 31 1. 기후기술협력 배경 ... 31 2. UNFCCC 下 기후기술협력 노력 ... 31 제 2 절 CTCN 개요 ... 34 1. 기술 메커니즘으로서의 CTCN ... 34 2. 설립 목표 및 주요 기능 ... 34 3. CTCN 사업 및 네트워크 기관의 역할 ... 38 제 3 절 기후기술협력을 위한 기술메커니즘(CTCN) 활용의 필요성 ... 39 1. 기후기술협력을 위한 CTCN 활용 필요성 ... 39 2. 기술 메커니즘의 국내 활성화 방안 ... 40제 2 장 국내 기술 메커니즘의 활성화 ... 41 제 1 절 정보확산 및 지식제공 ... 43 1. CTCN 교육 및 컨설팅 ... 43 2. 사업 모니터링 ... 48 제 2 절 네트워크 확대 ... 62 1. CTCN 가입자격 ... 62 2. CTCN 가입 절차 ... 62 3. CTCN 국내 네트워크 기관 ... 64제 3 장 CTCN 기술지원 활용 전략 ... 67 제 1 절 CTCN 기술지원 사업 기획 전략(공급자형) ... 69 1. 국가선정 ... 69 2. 해당국 NDE와 네트워크 구축 ... 70 3. 기술선정 ... 72 4. 기술지원 요청서 작성 ... 72 5. 기타활용 방안 ... 73 제 2 절 CTCN 기술지원 사업지원 전략(수요자형) ... 74 제 3 절 CTCN 기술지원 사업 확대 전략 ... 75 1. GCF 능력배양(Readiness) 프로그램 연계 ... 76 2. GCF 프로젝트 준비지원 금융(PPF, Project Preparation Facility) 연계 ... 77제 4 장 전략별 제안서 작성 사례 ... 79 제 1 절 공급자형 사업 ... 81 제 2 절 수요자형 사업 ... 83 1. 기니 사례 ... 83 2. 케냐 사례 ... 104제 5 장 결 론 ... 131 제 1 절 주요 결과 ... 133 1. 개요 및 추진 배경 ... 133 2. 추진 내용 ... 133 제 2 절 시사점 ... 135별 첨 1 부탄 팀푸시 대상 지능형교통시스템(ITS) 기본 계획 수립 ... 139끝페이지 ... 181

표/그림 (16)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