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근대 한식문헌 아카이브 구축. 3, 근대문헌해제 (일제 강점기의 근대음식관련문헌)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호서대학교
Hoseo University
연구책임자 정혜경
참여연구자 우나리야 , 김미혜 , 김근태 , 배은석 , 守屋亞記子 , 김용범 , 박혜숙 , 김민수 , 김은지 , 박준희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07
주관부처 농림축산식품부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등록번호 TRKO201800001446
DB 구축일자 2019-04-27

초록

I. 연구결과 개요
1. 한국 근대 한식문헌 아카이브 구축사업 연구개요
(1) 연구의 필요성
1) 역사적·문학적인 한식의 원형 복원을 위한 사료의 발굴
ㅇ 개화기와 일제강점기의 시대적 특수성에 대한 先 이해 필요
- 외래문화 개방화 과정의 진통, 언어 문화의 혼성현상
ㅇ 한식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인식변화 과정 파악 필요
- 전래음식의 재발견, 외국음식의 손질, 외식산업의 개화
ㅇ 정치적 경제적 변화의 요인 감안 필요
- 일제의 전시 수탈, 조선의 산업 규제, 음식의 상업적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목차 ... 2
  • II. 근대문헌 해제 ... 6
  • 2. 일제 강점기의 근대음식관련문헌 ... 7
  • 근대 식생활관련 문헌(일본어)『구황서류』 ... 8
  • 軍米沿革一斑; 財務通報第七號附錄(군미연혁일반) ... 9
  • 朝鮮の 救荒植物(조선의 구황식물) ... 13
  • 朝鮮の災害(조선의 재해) ... 34
  • 朝鮮の山果と山菜(조선의 산열매와 산나물) ... 38
  • 救荒指南(구황지남) ... 64
  • 救恤國史(구휼국사) ... 81
  • 朝鮮社會政策史(조선사회정책사) ... 86
  • 救荒植物と其の食用法; 野生食用植物(조선의 구황식물과 식용법; 야생식용식물) ... 91
  • 근대 식생활관련 문헌(일본어) 『주서류』 ... 116
  • 韓國酒類調査書; 財務量報第十號附錄(한국주류조사서; 재무휘보제십호부록) ... 117
  • 韓國麴子菌學的調査報告(한국곡자균학적 조사보고) ... 124
  • 朝鮮酒に就いて(조선술에 대해서) ... 130
  • 朝鮮燒酎釀造法(조선소주양조법) ... 133
  • 朝鮮酒改良讀本(조선주개량독본) ... 139
  • 朝鮮に於ける酒造業と其の設備(조선의 주조업과 그 설비) ... 150
  • 酒稅令の槪要(주세령의 개요) ... 161
  • 朝鮮酒製造法(조선주제조법) ... 170
  • 朝鮮の酒(조선의 술) ... 177
  • 조선술 제조 방법 ... 179
  • 朝鮮酒造要諦(조선주조요체) ... 185
  • 朝鮮麴子提要(조선국자제요) ... 194
  • 朝鮮酒造史(조선주조사) ... 209
  • 근대 식생활관련 문헌(일본어) 『농서류』 ... 221
  • 韓國農業論(한국농업론) ... 223
  • 韓國之農業(한국의농업) ... 227
  • 韓國ニ於ケル果樹蔬菜裁培調査(한국의 과수, 채소 재배조사) ... 233
  • 韓國ニ於ケル農事ノ經營(한국의 농사 경영) ... 239
  • 韓國農業視察復命書(한국농업시찰복명서) ... 242
  • 果樹裁培法(과수재배법) ... 248
  • 朝鮮農業槪說(조선농업개설) ... 252
  • 朝鮮の甛菜糖業(조선의 첨채당업) ... 260
  • 朝鮮農事示敎(조선농사시교) ... 303
  • 朝鮮農業要覽(조선농업요람) ... 324
  • 朝鮮農政史考(조선농정사고) ... 334
  • 朝鮮の特用作物竝果樹蔬菜(조선의 특용작물 및 과수, 채소) ... 339
  • 朝鮮ニ於ケル主要作物分布ノ狀況(조선 주요 작물 분포 상황) ... 347
  • 朝鮮の在來農具(조선의 재래농구) ... 351
  • 大正十五年版; 朝鮮農林畜蠶大鑑, 大正十五年版(대정십오년판; 조선농림축잠대감) ... 357
  • 農家便覽第1編 優良農具の卷(농가편람제1편 우량농구의 권) ... 384
  • 朝鮮に於ける製粉業の現在及將來(조선의 제분업 현재와 장래) ... 392
  • 朝鮮米穀經濟論(조선미곡경제론) ... 406
  • 朝鮮農業論(조선농업론) ... 417
  • (體驗を基としにる)蔬菜, 果樹, 農産加工農業法(체험을 바탕으로 한 채소, 과수, 농산가공농업법) ... 442
  • (朝鮮ニ於ケル)園藝便覽(조선의 원예편람) ... 471
  • 朝鮮, 滿州の果樹裁培法(조선, 만주의 과수재배법) ... 476
  • 主要食糧調査(주요식량조사) ... 481
  • 朝鮮の農業計劃と農産擴充問題(조선의 농업계획과 농업확충문제) ... 503
  • 朝鮮農業發達史; 發達編, 政策編(조선농업발달사; 발달편, 정책편) ... 529
  • 韓國ニ於ケル農業調査(한국의 농업조사) ... 553
  • 근대 식생활관련 문헌(일본어) 『생활문화서류』 ... 562
  • 朝鮮要覽(조선요람) ... 563
  • 朝鮮風俗畵譜(조선풍속화보) ... 575
  • 朝鮮の迷信と俗?(조선의 미신과 속설) ... 579
  • 延年益壽(정년익수) ... 586
  • 東西醫學要義(동서의학요의) ... 600
  • 現時の朝鮮(현시의 조선) ... 614
  • 海東竹枝(해동죽지) ... 623
  • 朝鮮解語花史(조선해어화사) ... 639
  • 古蹟と風俗(고적과 풍속) ... 652
  • 鮮漢藥物學(선한약물학) ... 667
  • 朝鮮の風俗(조선의 풍속) ... 683
  • 應用自在; 通俗韓醫學源論(응용자재; 통속한의학원론) ... 690
  • 朝鮮に於ける食物資源と榮養問題(조선의 식물자원과 영양문제) ... 704
  • 朝鮮都市の衛生事情に關する若干硏究(조선도시의 위생사정 약간연구) ... 706
  • 現代朝鮮の生活とその改善(현대 조선의 생활과 개선) ... 707
  • 土幕民の生活·衛生(토막민의 생활·위생) ... 724
  • 朝鮮食物槪論(조선식물개론) ... 731
  • 戰前·戰中期アジア硏究資料1 植民地社?事業關係資料集 朝鮮編1(전전·전중기 아시아 연구자료1 식민지사회사업 관계자료집 조선편1 ) ... 750
  • 근대 식생활관련 문헌 『경제지리서류』 목록 ... 762
  • 韓國牛疫其他獸疫ニ關スル事項調査復命書(한국 우역 및 기타 수역에 관한 사항조사 부명서) ... 764
  • 蔘政事項調査書(삼정사항조사서) ... 770
  • 韓國鹽務行政要領(한국염무행정 요령) ... 773
  • 朝鮮之産牛(조선의 축우) ... 792
  • 牧牛指南(목우지남) ... 796
  • 紅蔘專賣法實施以後の蔘政施設要領(홍삼전매법 실시 이후의 삼정시설요령) ... 799
  • 平安北道の養蜂(평안북도의 양봉) ... 807
  • 朝鮮の重要水産物(조선의 중요수산물) ... 809
  • 朝鮮畜産例規(조선축산예규) ... 814
  • 朝鮮の特有産たる畜牛の奬勵及之が利用工業(조선의 특유산인 축우의 장래 및 이용공업) ... 839
  • 朝鮮總督府專賣局第一年報 大正十年度(조선총독부 부매국 제일년보 대정십년도) ... 842
  • 朝鮮水産養殖業の將來(조선수산양식업의 장래) ... 845
  • 朝鮮ノ明太(조선의 명태) ... 850
  • 朝鮮狩獵解說(조선수렵해설) ... 857
  • 朝鮮の物産(조선의 물산) ... 867
  • 人蔘に關する調査報告(인삼에 관한 조사보고) ... 883
  • 人蔘神草(인삼신초) ... 887
  • 漁具圖集(어구도집) ... 895
  • 海苔指導要綱(해태(김) 지도 요강) ... 903
  • 朝鮮水産例規集(조선수산예규집) ... 910
  • 朝鮮潛水器漁業沿革史(조선 잠수기 어업 연혁사) ... 930
  • 朝鮮物産案內(조선물산안내) ... 936
  • 水産製品檢査ニ關スル參考資料(수산특품검사와 관계된 참고자료) ... 945
  • 京城府ニ於ケル生活必需品配給統制ノ實情(경성부 생활필유품배급실정) ... 957
  • 朝鮮の經濟(조선의 경제) ... 963
  • 朝鮮に於ける物資の配給統制と配給機構(조선 물자배급통제) ... 975
  • 韓國水産誌(한국 수산지) ... 983
  • 끝페이지 ... 1011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