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과제명 | 일반의약품 심사 허가 제도 개선 방안 연구(1) |
---|---|
주관연구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Ewha Womans University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7-11 |
과제시작년도 | 2017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등록번호 | TRKO201800038274 |
과제고유번호 | 1475010017 |
사업명 | 의약품등안전관리 |
DB 구축일자 | 2018-12-01 |
키워드 | 일반의약품.규제과학.표준제조기준.non-prescription drug.regulatory science.monograph.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38274 |
의약품의 시장 출시를 위한 보건당국의 허가·심사제도는 각 국가의 의약품 분류기준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별 (국내, 일본,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일반의약품과 관련 보건의료제품의 분류체계 및 허가·심사 규정에 대한...
의약품의 시장 출시를 위한 보건당국의 허가·심사제도는 각 국가의 의약품 분류기준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별 (국내, 일본,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일반의약품과 관련 보건의료제품의 분류체계 및 허가·심사 규정에 대한 현황 및 특징을 조사한 후 체계적인 비교·분석을 통하여 국내 일반의약품 허가 심사제도의 개선방안을 발굴·제시하였다.
국가별(국내, 일본, 미국, 유럽연합, 영국, 캐나다, 호주)로 의약품의 분류체계는 2분류, 3분류,4분류 체계를 가지나 의약품의 위험도 및 접근성에 따라 기준이 상이하다. 국내 분류체계의 재정비를 통하여 안전성·유효성이 기 확립된 일반의약품은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이면서 지속적인 관리 및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위험도가 비교적 높은 일반의약품의 사용안전성을 확보할수 있는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의 안전성·유효성 검토자료, 사용상 표시 기재사항 등의 차이점을 정비하고 일반의약품의 특징을 반영하여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허가·심사 제도를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위해 전문의약품과 차별화된 제출 자료의 범위 지정, 전문화된 일반의약품 관련 업무절차의 마련, 다양한 전문가 및 소비자 참여 확대 등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제적 조화를 고려한 선진화된 일반의약품 허가·심사제도의 개선안 마련의 과학적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출처: Ⅰ. 총괄연구개발과제 요약문(국문) 7p )
The drug approval process and its regulations are subject to the drug classification criteria of each country. In this study, we s...
The drug approval process and its regulations are subject to the drug classification criteria of each country. In this study, we searched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rug classification system as well as drug approval regulations of different countries (South Korea,Japan, US, EU, UK, Canada, Australia). The improvement plans of the Korean drug approval system were discovered and presented.
The drug classification systems of each country is 2-tiered, 3-tierd, or 4-tiered categories but its standard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risk and accessibility of drugs.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domestic drug classification system, drugs whose safety and efficacy have been established require the increased accessibility of consumers with continuous management and monitoring. The relatively high risk drugs require various measures to secure the drug safe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differences of safety and efficacy review data between prescription drugs and non-prescription drugs, and to operate efficient and scientific drug approval system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non-prescription drugs. It was proposed to specify the range of submitted review data differentiated from the prescription drugs, to establish the approval committee for non-prescription drugs, and to participate the experts and consumer into drug approval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improvements of the advanced drug approval system considering international harmonization in the future.
( 출처: SUMMARY 9p )
참여 연구원 |
---|
일반의약품 심사 허가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주관연구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Ewha Womans University
발행년월 : 2017-11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일반의약품 심사 허가 제도 개선 방안 연구(1) |
---|---|
연구책임자(Manager) : | 곽혜선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2017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50,000,000원 |
키워드(keyword) : | 일반의약품, 규제 과학, 표준제조기준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이화여자대학교 |
연구목표(Goal) : | 의약품의 시장 출시를 위한 보건당국의 허가·심사제도는 각 국가의 의약품 분류기준에 따라 달라짐. 본 연구에서는 1차년도의 국가별 일반의약품 분류체계 및 허가·심사·규정에 대한 체계적인 현황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국내 일반의약품 관련 허가·심사제도의 효율성 증진을 도모하고자함. 이후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일반의약품... |
연구내용(Abstract) : | - 1차년에 조사된 국내 일반의약품 분류체계와 미국, 영국, 일본, 호주, 캐나다의 의약품 분류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현행 국내 일반의약품, 의약외품, 건강기능식품 분류체계 개선- 1차년에 조사된 국내 및 국외 의약품 심사·허가·관리 규정 및 절차와 각국의 일반의약품 관련 규정의 차별화된 측면을 검토하여 허가(신고)제도의 개선안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일반의... |
기대효과(Effect) : | - 일반의약품의 안전성 유효성 확보를 위한 심사·허가 체계 개선에 활용- 일반의약품 분류에서부터 심사, 허가, 관리 규정에 대한 국내외 비교를 통해 국제조화를 이루는 선진화된 규정도출의 기반으로 활용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