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간을 돕는 인공지능, 더 나은 봇(bot) 개발

Building a better 'bot': Artificial intelligence helps human groups

2017-05-25

미국 예일대학의 새로운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간의 삶에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인공지능이 반드시 매우 정교해야 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멍청한 인공지능(dumb AI)”도 인간을 도울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 플레이어와 로봇 플레이어로 이루어진 팀을 이용하여 일련의 실험을 수행한 결과, “봇(bots)”을 포함할 경우 인간그룹과 각 개별 플레이어들의 성과가 증대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진이 밝혔다. 연구결과는 5월 18일 저널 네이처(Nature)에 게재되었다.

예일 대학의 네트워크 과학연구소(Yale Institute for Network Science, YINS) 공동 책임자인 니콜라스 크리스타키스(Nicholas Christakis)는 인공지능에 대한 현재의 논의 대부분은 인공지능이 인간의 대체제가 될 것인지에 모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한 논의가 인간의 보완재로서 인공지능을 바라보는 것으로 옮겨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크리스타키스는 예일 대학에서 사회학, 생태학, 진화생물학(evolutionary biology), 생물의학(biomedical) 공학, 의학 등의 교수직을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는 예일대학이 추진 중인 인간의 사회적 네트워크의 역동성과 그러한 네트워크가 사회적 불평등에서 그룹 폭력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그간의 연구를 잇는 것이다.

사례 연구에서 크리스타키스와 논문 제1저자인 히로카주 시라도(Hirokazu Shirado)는 일단의 그룹이 공동의 목표를 위해 자신들의 행동을 조정해야 하는 온라인 게임 실험을 수행했다. 인간 플레이어는 3가지 수준의 행동 무작위성에 따라 프로그램된 익명화된 봇과 상호작용했다. 그 의미는 인공지능 봇이 종종 고의적으로 실수를 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봇을 소셜 네트워크의 상이한 부분에 위치시켰다. 실험에 참여한 4,000명 이상의 사람들은 예일 대학이 개발한 브레드보드(Breadboard)라고 불리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했다.

시라도는 사람과 기계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혼합하여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하였다고 설명했다. 우리는 간단하게 봇을 프로그램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것이 인간의 능력을 증대시키는데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 질문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 질문들에 대한 대답은 “그렇다”라고 밝혔다.

봇의 포함이 인간 행위자의 전반적인 능력 증대에 도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임무가 어려울 경우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고 연구진은 밝혔는데, 봇은 문제 해결 시간을 55.6%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실험결과 인간의 능력 증대에 누적효과(cascade effect)가 나타났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봇과 협력하는 사람들은 능력 증대를 보였는데, 이는 다시 다른 인간 행위자에게도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크리스타키스와 시라도는 이번 연구결과가 사람과 인공지능 기술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환경에서 상당한 의미를 부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예를 들어, 인간 운전자가 자율형 자동차와 상황에 따라 운전을 교대로 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인공지능과 팀을 이루어 인간 전투원이 함께 작전을 펼치는 군사 상황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과 짝을 맺고 다양한 가능성을 탐구하는 인간 활동의 가능성도 있다.

크리스타키스는 미래에 이러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당하다고 말했다. 봇은 인간을 스스로 돕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그는 주장했다.

역자의견: 세계 유수 연구기관의 동향을 벤치마킹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인간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다학제간 연구과 공동 연구협력을 진작시킬 필요가 있다.

관련연구자 Hirokazu Shirado, Nicholas A. Christakis.
관련기관 Yale University
과학기술분류 정보/통신
본문키워드(한글) 인공지능, 봇, 소셜 네트워크
본문키워드(영문) AI, Bot, Social network
원문언어 영어
국가 미국
원문출판일 2017-05-17
출처 https://www.sciencedaily.com/releases/2017/05/170517132558.htm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