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패션 환경은 소비자들의 다양해진 욕구 및 브랜드간의 경쟁심 강화, 유통 다각화로 인한 공급과잉 현상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빠르게 변화, 발전하고 있다(진보미, 2013). 현대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은 각각의 개성과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다양화되고 있으며, 또한 고가의 제품을 선호하는 측면과 초저가의 제품을 선호하는 측면으로 양극화 되고 있다(조준희, 2013). 양극화 소비패턴의 하나로 소비자들은 저렴하고 실용적인 제품을 선호하는 추세가 확산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들이 경쟁하면서 품질, 디자인 격차가 많이 줄었고 경기불황으로 지갑이 얇아진 측면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 된다(김보라, 2015, 12, 14). 그러므로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빨라진 소비패턴의 변화로 최근 SPA브랜드들이 국내에서 시장점유율을 높여나가고 있다. 현재, 글로벌 SPA 브랜드들은 모바일 시장에 주력하고 있다. 소비자들을 위한 모바일 속 ...
최근 국내 패션 환경은 소비자들의 다양해진 욕구 및 브랜드간의 경쟁심 강화, 유통 다각화로 인한 공급과잉 현상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빠르게 변화, 발전하고 있다(진보미, 2013). 현대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은 각각의 개성과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다양화되고 있으며, 또한 고가의 제품을 선호하는 측면과 초저가의 제품을 선호하는 측면으로 양극화 되고 있다(조준희, 2013). 양극화 소비패턴의 하나로 소비자들은 저렴하고 실용적인 제품을 선호하는 추세가 확산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들이 경쟁하면서 품질, 디자인 격차가 많이 줄었고 경기불황으로 지갑이 얇아진 측면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 된다(김보라, 2015, 12, 14). 그러므로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빨라진 소비패턴의 변화로 최근 SPA브랜드들이 국내에서 시장점유율을 높여나가고 있다. 현재, 글로벌 SPA 브랜드들은 모바일 시장에 주력하고 있다. 소비자들을 위한 모바일 속 옴니채널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자라’와 ‘유니클로’는 빠른 재고회전과 고객의 특성에 따른 제품 배분을 위해 비즈니스 전략을 세우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SPA 브랜드 중 자라의 경우 온오프라인 통합 시스템으로 가장 빠르게 고객들에게 어필하고 있다(나지현, 2015, 08, 04).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 SPA의 SNS특성이 브랜드 애착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가 패션 SPA의 더 효율적으로 소비자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패션 브랜드의 SNS 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나눠 진행되었다. 예비조사는 2015년 7월 26일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재검토하여 보완 및 수정하였다. 본 조사는 2015년 9월 27일부터 2015년 10월 7일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 32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322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에는 SPS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정으로 Tukey’s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의 성별과 연령은 20대 초반 102명(31.6%), 20대 중반 67명(20.8%), 30대 초반 103명(31.9%), 30대 중반 50명(15.5%)으로 확인되었다. 결혼 여부는 기혼 101명(31.4%), 미혼 221명(68.6%)으로 분포하였다. 직업은 사무직 127명(39.4%)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학생 71명(22%), 자유·전문직 42명(13.0%), 판매·영업 서비스직 18명(5.6%), 기타 18명(5.6%), 전업주부 32명(9.9%), 무직 14명(4.3%)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패션 SPA의 SNS 특성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4개의 하위 요인중 상호작용성, 신뢰성, 유희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제공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애착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패션 SPA의 SNS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하위 요인 중 상호작용성, 정보제공성, 신뢰성, 유희성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SNS특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월평균 의복지출비에 따른 집단 간에선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월 평균 의복 지출비가 높은 집단에서 상호작용성, 브랜드 애착이 높게 나왔고, 정보제공성, 신뢰성, 유희성, 구매의도는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패션 SPA의 SNS 특성이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애착이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패션 기업에서는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브랜드 SNS 채널을 그들이 만족할만한 다양한 정보제공 및 해당 브랜드의 트렌디한 이벤트를 통해 소비자들을 유입시킬 수 있는 차별화적 방안을 개발하여야한다. 본 논문은 연구 대상이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SNS 특성에 관한 유형을 다루지 못하고 4가지 요인으로만 연구했기 때문에 내용이 다소 치우친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우므로 앞으로 국내외 다양한 지역과 연령대를 대상으로 후속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최근 국내 패션 환경은 소비자들의 다양해진 욕구 및 브랜드간의 경쟁심 강화, 유통 다각화로 인한 공급과잉 현상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빠르게 변화, 발전하고 있다(진보미, 2013). 현대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은 각각의 개성과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다양화되고 있으며, 또한 고가의 제품을 선호하는 측면과 초저가의 제품을 선호하는 측면으로 양극화 되고 있다(조준희, 2013). 양극화 소비패턴의 하나로 소비자들은 저렴하고 실용적인 제품을 선호하는 추세가 확산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들이 경쟁하면서 품질, 디자인 격차가 많이 줄었고 경기불황으로 지갑이 얇아진 측면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 된다(김보라, 2015, 12, 14). 그러므로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빨라진 소비패턴의 변화로 최근 SPA브랜드들이 국내에서 시장점유율을 높여나가고 있다. 현재, 글로벌 SPA 브랜드들은 모바일 시장에 주력하고 있다. 소비자들을 위한 모바일 속 옴니채널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자라’와 ‘유니클로’는 빠른 재고회전과 고객의 특성에 따른 제품 배분을 위해 비즈니스 전략을 세우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SPA 브랜드 중 자라의 경우 온오프라인 통합 시스템으로 가장 빠르게 고객들에게 어필하고 있다(나지현, 2015, 08, 04).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 SPA의 SNS특성이 브랜드 애착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가 패션 SPA의 더 효율적으로 소비자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패션 브랜드의 SNS 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나눠 진행되었다. 예비조사는 2015년 7월 26일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재검토하여 보완 및 수정하였다. 본 조사는 2015년 9월 27일부터 2015년 10월 7일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 32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322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에는 SPS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정으로 Tukey’s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의 성별과 연령은 20대 초반 102명(31.6%), 20대 중반 67명(20.8%), 30대 초반 103명(31.9%), 30대 중반 50명(15.5%)으로 확인되었다. 결혼 여부는 기혼 101명(31.4%), 미혼 221명(68.6%)으로 분포하였다. 직업은 사무직 127명(39.4%)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학생 71명(22%), 자유·전문직 42명(13.0%), 판매·영업 서비스직 18명(5.6%), 기타 18명(5.6%), 전업주부 32명(9.9%), 무직 14명(4.3%)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패션 SPA의 SNS 특성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4개의 하위 요인중 상호작용성, 신뢰성, 유희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제공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애착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패션 SPA의 SNS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하위 요인 중 상호작용성, 정보제공성, 신뢰성, 유희성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SNS특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월평균 의복지출비에 따른 집단 간에선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월 평균 의복 지출비가 높은 집단에서 상호작용성, 브랜드 애착이 높게 나왔고, 정보제공성, 신뢰성, 유희성, 구매의도는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패션 SPA의 SNS 특성이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애착이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패션 기업에서는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브랜드 SNS 채널을 그들이 만족할만한 다양한 정보제공 및 해당 브랜드의 트렌디한 이벤트를 통해 소비자들을 유입시킬 수 있는 차별화적 방안을 개발하여야한다. 본 논문은 연구 대상이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SNS 특성에 관한 유형을 다루지 못하고 4가지 요인으로만 연구했기 때문에 내용이 다소 치우친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우므로 앞으로 국내외 다양한 지역과 연령대를 대상으로 후속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domestic fashion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and developing, with the over supply phenomenon, caused by diverse needs of consumers, the fierce competition among brands and the diversification of distribution(Jin, 2013). Purchase patterns of modern consumers are diversifying depending o...
Recently, domestic fashion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and developing, with the over supply phenomenon, caused by diverse needs of consumers, the fierce competition among brands and the diversification of distribution(Jin, 2013). Purchase patterns of modern consumers are diversifying depending on individual personalities and lifestyles and the polarization between consumers, who prefer high-priced products and super low-priced products, is becoming serious(Jo, 2013). As one of polarized consumption patterns, consumers, who prefer cheap and practical products, are increasing. It is considered that this is influenced by the narrow gap of quality and design due to the competition among diverse brands and cash-strapped consumers due to the economic slump(Kim, December 14th 2015. www.viva100.com). Since consumption patterns are rapidly changing, compared to the past, recent SPA brands are increasing their market share in the domestic market. Currently, global SPA brands are focusing on the mobile market. For stable management of omni-channels in mobile devices, 'ZARA' and 'UNIQLO' make business strategies, which consider the swift inventory turnover and customer characteristics and especially, 'ZARA' is appealing to customers most quickly using its online and offline integration system(Na, August 4th 2015. www.ktnews.com).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NS characteristics of SPA brands on brand attachment and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result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consumers of fashion SPA more efficiently and serve as basic data to use SNS marketing of fashion brands strategically. For gathering data, preliminary survey and main survey were carried out. Preliminary survey targeted 50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in July 26th 2015. Based on the survey result, the questionnaire was reviewed and revised. Main survey targeted 322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from September 27th to October 7th 2015 and a total of 32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F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OVA and Tukey’s test(post-hoc test)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program.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102 subjects(31.6%) were in their early twenties, 67 ones(20.8%) were in their mid twenties, 103 ones(31.9%) were in their early thirties and 50 ones(15.5%) were in their mid thirties. 101 subjects(31.4%) were married and 221 ones(68.6%) were unmarried. 127 subjects(39.4%) were clerical workers, 71 ones(22%) were students, 42 ones(13.0%) were freelancers or professionals, 18 ones(5.6%) were engaged in the sales and business service industry, 18 ones(5.6%) had other jobs, 32 ones(9.9%) were housewives and 14 ones(4.3%) were unemployed.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SNS characteristics of fashion SPA, interactivity, trust and playfulness significantly affected brand attachment and informativenes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Brand attachment significan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SNS characteristics of fashion SPA, interactivity, informativeness, trust and playfulness significan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NS characteristics between the groups depending on the monthly average clothing expense. In the group with a high monthly average clothing expense, interactivity and brand attachment were high, but informativeness, trust, playfulness and purchase intention were low.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SNS characteristics of fashion SPA significantly influenced brand attachment and brand attach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se findings, fashion companies shoul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for satisfying consumers through SNS channels of brands and develop differentiated plans for attracting consumers. This study is limited to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and only focused on the four factors of SNS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study results and future research need to target a lot of domestic and foreign regions and different age groups.
Recently, domestic fashion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and developing, with the over supply phenomenon, caused by diverse needs of consumers, the fierce competition among brands and the diversification of distribution(Jin, 2013). Purchase patterns of modern consumers are diversifying depending on individual personalities and lifestyles and the polarization between consumers, who prefer high-priced products and super low-priced products, is becoming serious(Jo, 2013). As one of polarized consumption patterns, consumers, who prefer cheap and practical products, are increasing. It is considered that this is influenced by the narrow gap of quality and design due to the competition among diverse brands and cash-strapped consumers due to the economic slump(Kim, December 14th 2015. www.viva100.com). Since consumption patterns are rapidly changing, compared to the past, recent SPA brands are increasing their market share in the domestic market. Currently, global SPA brands are focusing on the mobile market. For stable management of omni-channels in mobile devices, 'ZARA' and 'UNIQLO' make business strategies, which consider the swift inventory turnover and customer characteristics and especially, 'ZARA' is appealing to customers most quickly using its online and offline integration system(Na, August 4th 2015. www.ktnews.com).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NS characteristics of SPA brands on brand attachment and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result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consumers of fashion SPA more efficiently and serve as basic data to use SNS marketing of fashion brands strategically. For gathering data, preliminary survey and main survey were carried out. Preliminary survey targeted 50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in July 26th 2015. Based on the survey result, the questionnaire was reviewed and revised. Main survey targeted 322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from September 27th to October 7th 2015 and a total of 32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F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OVA and Tukey’s test(post-hoc test)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program.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102 subjects(31.6%) were in their early twenties, 67 ones(20.8%) were in their mid twenties, 103 ones(31.9%) were in their early thirties and 50 ones(15.5%) were in their mid thirties. 101 subjects(31.4%) were married and 221 ones(68.6%) were unmarried. 127 subjects(39.4%) were clerical workers, 71 ones(22%) were students, 42 ones(13.0%) were freelancers or professionals, 18 ones(5.6%) were engaged in the sales and business service industry, 18 ones(5.6%) had other jobs, 32 ones(9.9%) were housewives and 14 ones(4.3%) were unemployed.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SNS characteristics of fashion SPA, interactivity, trust and playfulness significantly affected brand attachment and informativenes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Brand attachment significan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SNS characteristics of fashion SPA, interactivity, informativeness, trust and playfulness significan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NS characteristics between the groups depending on the monthly average clothing expense. In the group with a high monthly average clothing expense, interactivity and brand attachment were high, but informativeness, trust, playfulness and purchase intention were low.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SNS characteristics of fashion SPA significantly influenced brand attachment and brand attach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se findings, fashion companies shoul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for satisfying consumers through SNS channels of brands and develop differentiated plans for attracting consumers. This study is limited to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and only focused on the four factors of SNS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study results and future research need to target a lot of domestic and foreign regions and different age group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