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심리운동이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sychomotricity on self-regulation abilities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원문보기
본 연구는 심리운동이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I 심리상담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1~3학년까지의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 아동으로서 총 1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6명과 통제집단 6명으로 구성하였다. 심리운동 프로그램은 1회당 60분의 시간으로 주 2회, 총 12주간 실시되었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조절능력 척도 검사를 사전과 사후, 프로그램 적용 기간 중 4회기마다 1회씩, 총 7회 실시하였고, ...
본 연구는 심리운동이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I 심리상담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1~3학년까지의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 아동으로서 총 1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6명과 통제집단 6명으로 구성하였다. 심리운동 프로그램은 1회당 60분의 시간으로 주 2회, 총 12주간 실시되었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조절능력 척도 검사를 사전과 사후, 프로그램 적용 기간 중 4회기마다 1회씩, 총 7회 실시하였고,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SSRS) 검사를 집단별 사전과 사후 각각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조절능력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고, 집단 간 사회적 기술의 사전·사후검사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증(paired sample t-test)을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에서의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운동이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시기 간 개체 내 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시기와 집단 간 효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심리운동이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간 사회성 기술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간 사회성 기술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처럼 심리운동이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의 경험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주의성, 침착성, 집중성, 규범성, 대인관계 조절 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협력, 자기주장, 자아통제 기술의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과 참여하지 않은 아동 간의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적 기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심리운동이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I 심리상담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1~3학년까지의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 아동으로서 총 1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6명과 통제집단 6명으로 구성하였다. 심리운동 프로그램은 1회당 60분의 시간으로 주 2회, 총 12주간 실시되었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조절능력 척도 검사를 사전과 사후, 프로그램 적용 기간 중 4회기마다 1회씩, 총 7회 실시하였고,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SSRS) 검사를 집단별 사전과 사후 각각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조절능력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고, 집단 간 사회적 기술의 사전·사후검사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증(paired sample t-test)을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에서의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운동이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시기 간 개체 내 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시기와 집단 간 효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심리운동이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간 사회성 기술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간 사회성 기술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처럼 심리운동이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의 경험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주의성, 침착성, 집중성, 규범성, 대인관계 조절 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협력, 자기주장, 자아통제 기술의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과 참여하지 않은 아동 간의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적 기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Effects of Psychomotricity on Self-regulation Abilities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Department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Hanshin University Sang-Cheol, L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
ABSTRACT Effects of Psychomotricity on Self-regulation Abilities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Department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Hanshin University Sang-Cheol, L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Psychomotricity on self-regulation abilities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 total of 12 children, aged between 7 and 9, who were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enrolled in the I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 in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six children for each. The psychomotor program was carried out for 12 weeks, twice every week, 60 minutes per session. Regarding self-regulation abilities, a check list was used before, during and after the program, once every four sessions, seven times in total. In regard to social skills,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SSRS) was us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data was processed through the SPSS 21.0, with the repeated measure ANOVA used to measure the change in self-regulation abilities and the paired sample t-test used to analyze the test results of social skills of the groups. The significance level was p<.05.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 First, a Psychomotricity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regulation abilities of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effects on the experimental group within the test period as well as the effects measured over time and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a Psychomotricity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kills of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re and post social skills 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Psychomotricity have positive effects on self-regulation abilities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pplying psychomotricity programs that involve positive interactions with peers to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resulted in improved cautiousness, calmness, concentration, tendency to respect rules and ability to 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 in those children as well as increased cooperation, self-assertion and skills in self-control . Thus,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ose who did not demonstrated different levels of self-regulation and social skills.
ABSTRACT Effects of Psychomotricity on Self-regulation Abilities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Department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Hanshin University Sang-Cheol, L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Psychomotricity on self-regulation abilities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 total of 12 children, aged between 7 and 9, who were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enrolled in the I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 in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six children for each. The psychomotor program was carried out for 12 weeks, twice every week, 60 minutes per session. Regarding self-regulation abilities, a check list was used before, during and after the program, once every four sessions, seven times in total. In regard to social skills,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SSRS) was us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data was processed through the SPSS 21.0, with the repeated measure ANOVA used to measure the change in self-regulation abilities and the paired sample t-test used to analyze the test results of social skills of the groups. The significance level was p<.05.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 First, a Psychomotricity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regulation abilities of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effects on the experimental group within the test period as well as the effects measured over time and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a Psychomotricity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kills of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re and post social skills 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Psychomotricity have positive effects on self-regulation abilities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pplying psychomotricity programs that involve positive interactions with peers to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resulted in improved cautiousness, calmness, concentration, tendency to respect rules and ability to 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 in those children as well as increased cooperation, self-assertion and skills in self-control . Thus,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ose who did not demonstrated different levels of self-regulation and social skill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