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문제행동 중재에 대한 현장자문이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아동의 문제행동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특수교사에게 설문조사를 하고 아동의 문제행동을 관찰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군집표집에 의해 선정된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특수교사 31명과 특수교사가 소속된 학급의 아동으로 각 1명을 선정하였다. 문제행동 중재 현장자문 프로그램은 긍정적 행동지원 내용에 대한 집단교육 4회기와 개별지원 형태의 현장자문 22회기로 구성하여, 특수교사가 아동의 문제행동을 중재할 수 있도록 3개월 동안 지원하는 것이다. 연구 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이용하였으며,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분석은 현장자문 이전과 이후에 관찰과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
본 연구는 문제행동 중재에 대한 현장자문이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아동의 문제행동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특수교사에게 설문조사를 하고 아동의 문제행동을 관찰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군집표집에 의해 선정된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특수교사 31명과 특수교사가 소속된 학급의 아동으로 각 1명을 선정하였다. 문제행동 중재 현장자문 프로그램은 긍정적 행동지원 내용에 대한 집단교육 4회기와 개별지원 형태의 현장자문 22회기로 구성하여, 특수교사가 아동의 문제행동을 중재할 수 있도록 3개월 동안 지원하는 것이다. 연구 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이용하였으며,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분석은 현장자문 이전과 이후에 관찰과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장자문 이전과 이후에 교사효능감과 아동의 문제행동이 각각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문제행동 중재에 대한 집단교육 및 교사 개별지원 형태의 현장자문이 교사효능감의 요소인 교사의 기대감과 신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것은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를 경험한 교사들이 자신도 문제행동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김으로써 나타난 변화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아동의 문제행동 중재에 대한 집단교육 및 교사 개별지원 형태의 현장자문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것은 문제행동 중재 지원을 위한 집단교육 교재로서 체계적이고 구조적으로 잘 정리된 매뉴얼을 이용하는 것이 유용함을 의미하고, 집단교육의 교재내용으로 응용행동분석 원리를 바탕으로 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론들은 본 연구의 현장자문 프로그램 구성측면에서 살펴볼 때, 문제행동 중재에 대한 교사지원은 지식전달을 위주로 한 강의 형태의 집단교육과 개별지원 형태의 현장자문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문제행동 중재에 대한 현장자문이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아동의 문제행동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특수교사에게 설문조사를 하고 아동의 문제행동을 관찰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군집표집에 의해 선정된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특수교사 31명과 특수교사가 소속된 학급의 아동으로 각 1명을 선정하였다. 문제행동 중재 현장자문 프로그램은 긍정적 행동지원 내용에 대한 집단교육 4회기와 개별지원 형태의 현장자문 22회기로 구성하여, 특수교사가 아동의 문제행동을 중재할 수 있도록 3개월 동안 지원하는 것이다. 연구 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이용하였으며,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분석은 현장자문 이전과 이후에 관찰과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장자문 이전과 이후에 교사효능감과 아동의 문제행동이 각각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문제행동 중재에 대한 집단교육 및 교사 개별지원 형태의 현장자문이 교사효능감의 요소인 교사의 기대감과 신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것은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를 경험한 교사들이 자신도 문제행동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김으로써 나타난 변화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아동의 문제행동 중재에 대한 집단교육 및 교사 개별지원 형태의 현장자문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것은 문제행동 중재 지원을 위한 집단교육 교재로서 체계적이고 구조적으로 잘 정리된 매뉴얼을 이용하는 것이 유용함을 의미하고, 집단교육의 교재내용으로 응용행동분석 원리를 바탕으로 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론들은 본 연구의 현장자문 프로그램 구성측면에서 살펴볼 때, 문제행동 중재에 대한 교사지원은 지식전달을 위주로 한 강의 형태의 집단교육과 개별지원 형태의 현장자문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observe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children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on-site consultation for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has effect on the efficacy a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observe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children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on-site consultation for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has effect on the efficacy a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Participants were 31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day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lected by a cluster sampling and each child in their class. The on-site consultation program for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was consists of 4 sessions of a group education on positive behavior supports and 22 sessions of on-site consultations in the form of the individual support, lasted for 3 months in which the special teachers mediate the child's problem behaviors. Research Design used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analysis of the program effect was conducted with t-test us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s and surveys before and after the on-site consultation. As a result, the teacher efficacy and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before and after the on-site consultation, and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se finding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a group education on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of a child and the on-site consultation in the form of individual supports positively influenced on teachers' expectation and beliefs, which are elements of teacher efficacy. It seems that the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change of th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changed by getting confidence that they can effectively handle with the problem behaviors. Second, a group education on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of a child and the on-site consultation in the form of individual supports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is means that it is useful to use systematic and structured well-organized manuals as group education materials for the support on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and effective to use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applied behavior analysis as contents of grout education materials. These conclusions,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the on-site consultation program of this study, means that the teachers support for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should be accompanied by a group education in the form of the lecture focused on knowledge transmission and on-site consultations together in the form of the individual support.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observe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children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on-site consultation for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has effect on the efficacy a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Participants were 31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day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lected by a cluster sampling and each child in their class. The on-site consultation program for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was consists of 4 sessions of a group education on positive behavior supports and 22 sessions of on-site consultations in the form of the individual support, lasted for 3 months in which the special teachers mediate the child's problem behaviors. Research Design used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analysis of the program effect was conducted with t-test us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s and surveys before and after the on-site consultation. As a result, the teacher efficacy and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before and after the on-site consultation, and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se finding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a group education on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of a child and the on-site consultation in the form of individual supports positively influenced on teachers' expectation and beliefs, which are elements of teacher efficacy. It seems that the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change of th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changed by getting confidence that they can effectively handle with the problem behaviors. Second, a group education on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of a child and the on-site consultation in the form of individual supports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is means that it is useful to use systematic and structured well-organized manuals as group education materials for the support on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and effective to use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applied behavior analysis as contents of grout education materials. These conclusions,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the on-site consultation program of this study, means that the teachers support for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should be accompanied by a group education in the form of the lecture focused on knowledge transmission and on-site consultations together in the form of the individual suppor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