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포도종실 에탄을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각각 100, 500, 1000 ppm의 농도로 리놀산에 첨가한 후 6$0^{\circ}C$ 항온기에 저장하면서 항산화지수와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 hS는 각각 1.4, 2.25, 3.39, POV는 71, 57, 43 meq/kg oil로서 첨가량이 500ppm이상인 경우에는 BHT 200 ppm 첨가구(AI: 1.21, POV: 58 meqAg oil)와 대등하거나 보다 우수한 산화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 500 ppm에 아스코르빅 산 500 ppm을 혼합하여 병용한 첨가구의 AI는 6.21,12일 저장 후 POV는 14 meq/kg oil로서 포도종실 에탄을 추출물 500ppm이나 1000ppm만을 첨가한 시료에 비하여 항산화 효과가 상승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볶은 땅콩이나 라면에 포도종실 에탄을 추출물 1000 ppm을 단독으로 혹은 아스코르빅 산과 500 ppm씩 병용하여 처리하고 6$0^{\circ}C$에서 18일간 저장하며 시료로부터 추출한 조지방질의 POV를 측정한 결과, 볶은 땅콩이나 라면의 산화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서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질 함유 가공식품의 산화안정성 향상을 위한 천연 항산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xamin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ethanol extract, the antioxidative index (AI) by the active oxygen method (AOM) and peroxide value (POV) of linoleic acids containing the extract at levels of 100, 500, 1000 ppm was measured during storage at 6$0^{\circ}C$ for 12 days. Wh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도종실 조직에 결합되어 있는 프로안토시아니딘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원료를 증숙하고 마이크로웨이브 처리하여 제조한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리놀산 모델계에서 확인한 후 볶은 땅콩이나 라면과 같은 가공식품에 적용하여 이들의 저장 중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에 의해 천연 항산화제로서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기질로서 리놀산을 사용한 모델계 실험에서 항산화 효과가 확인된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을 실제 식품재료에 처리하고 그 효과를 확인함에 의하여 상업적 사용 가능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료로 사용한 볶은 땅콩은 각종 가공식품의 재료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지방질 함량이 높아 가공 및 저장 중에 산패에 의한 품질저하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 또한 라면은 우수한 관능적 특성 과 편의 성으로 소비 가 날로 증가하고 있고 최근에는 외국에 수출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이나 장기 간 운송과정 중의 고온조건으로 인하여 산패에 의한 품질저하가 발생하여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상당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도 종실 에 탄올 추출물 및 포도종실 에 탄올 추출물-아스코르빅 산 용액을 땅콩 및 라면에 처리하고 저장 중 산화 안정성의 변화를 측정하여 이들에 의한 산화 억 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Values are mean ± SD (n=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WS. 1995. Grape processing industries. In New Cultivation Method of Grape. Kim WS, ed. Munun Publishing Co, Seoul. p 58-92. 

  2. Sung JK. 1996. The present of grape processing industries. In Grape, from Plantation to Sales. Sung JK, ed. The Nongmin Press, Seoul. p 23-41. 

  3. Teresa EB, Yolanda GF, Julian CR, Celestino SB. 1992. Characterisation 

  4. Prieur C, Rigaud J, Cheynier V, Moutounet M. 1994. Oligomeric 

  5. Ricardo da Silva JM, Darmon N, Fernandez Y, Mitjavila 

  6. Tebib K, Bitri L, Besancon P, Rouanet J. 1994. Polymeric 

  7. Tebib K, Besancon P, Rouanet J. 1994. Dietary grape seed tannins affect lipoproteins, lipoprotein lipases and tissue-lipids in rats fed hypercholesterolemic diets. J Nutrition 

  8. Monboisse JC, Braquet P, Randoux A, Borel JP. 1983. Nonenzymatic 

  9. Kanner J, Frankel EN, Granit R, German B, Kinsella JE. 

  10. Frankel EN, Waterhouse AL, Tussedre PL. 1995. Principle 

  11. Teissedre PL, Frankel EN, Waterhouse AL, Peleg H, German 

  12. Mayer AS, Yi OS, Person DA, Waterhouse, AL, Franke EN. 

  13. Walker M. 1991. Antioxidant properties of pycnogenol. Townsend 

  14. Jayaprakasha GK, Singh RP, Sakariah KK. 2001. Antioxidant 

  15. Laparra J, Michaud J, Masquelier J. 1979. Action of oligomeric procyanidins on vitamin C deficient guinea pig. Bull 

  16. Korea Foods Industry Association. 1998. 161. grape seed extract. In Food Additive Revolution. Korea Foods Industry Association. p 942-943. 

  17. Shin DH. 1997. Research trend and direc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ood Science and Industry 30: 14-21. 

  18. Cheigh HS, Kwon TW. 1972. Stability of lipids in Ramyon (deep fat fried instant noodle); oxidative changes in the Ramyon lipid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 259-264. 

  19. Chung HY, Lee JH. 2001. Processing method of grape seed extract containing natural antioxidant activity. Korean Patent 0298512. 

  20. AOCS. 1980. Official Method Cd 8-53. 4th ed.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Champaign, Illinois, USA 

  21. Kim HK, Kim YE, Do JR, Lee YC, Lee BY.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0-85. 

  22. Choi U, Shin DH, Chang YS, Shin JI. 1992. Synergistic effect of Rhus javanica L. ethanol extract containing several synergis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42-148. 

  23. Kang WS, Kim JH, Park EJ, Yoon KR. 1998. Antioxidant property of turmeric (Curcumae Rhizoma) ethanol extract. 

  24. Lim DK, Choi U, Shin DH. 1996. Antioxidative activity of some solvent extract from Caesalpinia sappan L. Korean 

  25. Rhi JW, Shin HS. 1993. Antioxidant effect of aqueous extract obtained from green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Cort WM. 1974. Antioxidant activity of tocopherols and 

  27. Tappel AL, Brown WD, Zalkin H, Majer VP. 1961. Unsaturated 

  28. Smith RM, Luh BS. 1965. Anthocyanin pigments in the 

  29. Yang JH, Chang YS, Shin HS. 1988. Relative effectiveness of some antioxidants on storage stability of instant noodle (Ramyon) fried by palm oil and beef tallow. Korean J Food 

  30. Park YB, Park HK, Kim DH. 1989. Oxidative stability of deep-fried instant noodle prepared with rapeseed oil fortified by adding antioxidants or by blending with palm oil.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