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각하는 과학' 프로그램의 변인활동이 초등학생의 변인통제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Variable Activities in the 'Thinking Science' Program on the Ability of Variable-Controll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2 no.3, 2002년, pp.571 - 585  

한효순 (한국교원대학교) ,  최병순 (한국교원대학교) ,  강순민 (한국교원대학교) ,  박종윤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형식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논리적 사고력의 형성 가능성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 활동의 하나로, '생각하는 과학' 프로그램에 있는 변인통제 활동의 학습효과를 조사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306명의 학생들이 연구에 참가하였으며, 같은 분량의 사간에 실험반에서는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 교과 수업과 변인통제 활동을 병행하였고, 통제반에서는 과학교과 수업만을 수행하였다. 연구 초기에 논리적 사고력 검사와 변인통제 검사를 이용하여 사전 상태를 비교하고, 한 학기 동안 변인통제 활동 6개를 12차시에 걸쳐 진행하면서, 처치별, 성별, 인지수준별 학습효과를 알아보았다. 처치활동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변인통제능력 신장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통제능력의 하위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특별히 실험조건 통제, 변인측정과 결과변인 학습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원인변인 학습효과도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 여학생들의 사전 변인통제능력을 비교한 결과 여학생들이 월등히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변인통제 학습 후 남 여학생들 모두에게 거의 같은 정도로 우수한 학습효과가 나타났으며, 통제반에서 차이가 더 벌어진 반면, 실험반에서는 그 격차가 좁혀졌다.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란 변인통제 학습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든 인지수준에서 실험반 학생들의 변인 통제능력이 상당히 향상되었다. 특히 전기 구체적 조작기, 중기 구체적 조작기와 후기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학생들의 변인통제능력은 크게 향상되었다. 변인판별 능력은 전기 구체적 조작기, 중기 구체적 조작기와 후기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학생들이 거의 같은 정도의 우수한 발전을 보여주었으며, 실험설계 능력은 모든 수준에서 상당히 향상되었다. '생각하는 과학'의 변인통제 활동과 같은 형태의 학습내용을 현행 학교 과학교육에 적극적으로 도입해볼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one of the basic research for inspecting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logical thinking capability to make possible formal thinking. The 5th grade students (n=306) in the elementary school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Performing the 6 variable-controlling activities in the 'Think...

주제어

참고문헌 (44)

  1. 강순희, 박종윤, 우애자, 허은규(1996). 중학교 화학개념이 요구하는 과학적 사고력 수준과 학생들의 인지수준을 고려한 교수방안에 관한 연구(제1보). 화학교육, 23(4), 267-278 

  2. 강순희, 박종윤, 정지영(1999). 학습자의 인지수준과 학습내용의 인지요구도를 고려한 중등화학 학습전략 개발에 대한 연구. 화학교육, 43(5), 578-58 

  3. 김영식(1999). 학생의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변인통제능력의 형성과 특수 전이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4. 김영준(2001). CASE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 아동의 인지수준과 아동-교사의 상호작용이 문제해결과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5. 김현재(1991). 과학교육을 통한 인지가속 교육과정자료의 개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0(1), 59-112 

  6. 김현재, 장경례(1991). 인지가속자료 적용을 통한 논리적 사고의 지도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0(2), 159-173 

  7. 김희성(2002). CASE 변인활동이 초등학생의 인지수준에 따라 변인통제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8. 남정희, 김성희, 강순희, 박종윤, 최병순(2002). 변인통제 문제해결 활동에서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10-121 

  9. 문흥무, 최병순(1987). 고등학생들의 지적 발달 수준과 화학 교과 내용이 요구하는 조작 수준과의 관계 연구. 화학교육, 14(2), 116-127 

  10. 박종윤, 강순희(1996). 고등학교 과학 II(하) 교과서 내용이 요구하는 논리적 사고력 수준과 학생들의 인지수준 비교 연구(제2보). 화학교육, 23(5), 335-344 

  11. 박종윤, 강순희, 김선영, 김성희, 김인주, 이자현(1993). 고등학교 화학 교과서 내용이 요구하는 과학적사고력 수준과 학생들의 인지수준 비교 연구(제1보). 화학교육, 20(4), 285-294 

  12. 이수진(2000). 학습자 특성과 문제상황에 따른 초등학생의 변인확인 능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13. 최병순(1987).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구체적 및 형식적 과학 교과 내용과의 관계 분석. 화학교육학회지, 14(1), 30-42 

  14. 최병순, 최미화(1998). CASE 프로젝트 고찰. 화학교육, 25(4), 228-232 

  15. 최병순, 허명(1987). 중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 교과 내용과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1), 19-32 

  16. 최미화(2002). ‘Thinking Science’ 활동이 중학생의 인지 가속에 미치는 효과 및 인지수준과 동기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17. 한종하, 최돈형, 김영민(1982). 중 . 고등학교 학생의 과학적 사고발달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18. 한효순(2001). 인지가속 수업 전략에 따른 화학 수업 설계. 화학교육, 28(3), 40-47 

  19. 홍현수(2001). 변인통제에 관한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동기 수준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질적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 AAAS (1963). Science: A process approach, part 4. American Association for Advancement of Science, Commission on Science Education: Washington, D. C. 

  21. Adey, P. & Shayer, M.(1990).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formal thin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3), 267-285 

  22. Adey, P. & Shayer, M.(1994a). Thinking Science INSET. Routledge: London 

  23. Adey, P. & Shayer, M.(1994b). Really raising standards: Cognitive interven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Routledge: London 

  24. Adey, P., Shayer, M., & Yates, C.(1995). Thinking Science, 2nd ed. Nelson & Sons Ltd: London 

  25. Cohen, J.(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Hillsdale, NJ 

  26. Duggan, S., Johnson, P., & Gott, R.(1996). A critical point in investigative work: Defining variabl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5), 461-474 

  27. Germann, P. J., Aram, R., & Burke, G.(1996). Identify pattern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responses of seventh-grade students to the science process skill of designing experim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 79-99 

  28. Germann, P. J., & Odom, A. L.(1996). Student performance on asking questions, identifying variables, and formulating hypotheses. School Science & Mathematics, 96(4), 192-202 

  29. Glass, G. V., McGaw, B., & Smith, M. L.(1981). Meta-analysis in social research. Sage: Beverly Hills, CA 

  30. Griffiths, A. K. & Thompson, J.(1993). Second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s of scientific processes: An interview study.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11(1). http://ehostweb2.epnet.com/fulltext.asp 

  31. Inhelder, B. & Piaget, J.(1958). The growth of logical thinking. Basic Books: New York 

  32. Karplus, R.(1977).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reasoning.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y, CA 

  33. Linn, N. C.(1980). When do adolescents reason?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 429-440 

  34. McGuinness, C.(1999). From thinking skills to thinking classroom: A review and evaluation of approaches for developing pupils' thinking. Research Report No. 115, London 

  35. Piaget, J. & Inhelder, B.(1974). The child's construction of quantities. Routlege and Kegan: London 

  36. Shayer, M.(1972). Piaget' s work and science teaching. M. Ed., University of Leicester 

  37. Shayer, M.(1978). A test of the validity of Piaget' s model of formal operational thinking. PhD thesis, University of London 

  38. Shayer, M. & Wylam, H.(1978). The distribution of Piagetian stages of thinking in British middle and secondary school children. II - 14- to 16-year-o1ds and sex differential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48, 62-70 

  39. Shayer, M. & Adey, P. S.(1992a).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formal thin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I : Project effects on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1), 81-92 

  40. Shayer, M. & Adey, P. S.(1992b).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formal thin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II : Testing the permanency of effec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10), 1101-1115 

  41. Shayer, M. & Adey, P. S.(1993).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formal thin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V: Three years after a two-year interven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4), 351-366 

  42. Shayer, M.(1996). The Long Term Effects of Cognitive Acceleration on Pupil's School Achievement. http://www. themerve2.com/ca/Newres.html 

  43. Song, J. & Black, P. J.(1992). The effects of concept requirements and task contexts on pupils' performance in control of variabl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4(1), 83-93 

  44. Wollman, W.(1977). Controlling variables: Assessing levels of understanding. Science Education. 61(3), 371-3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