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화 뿌리 추출물의 면역 증진 효과
Screening of immune enhanceme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Rosa rugosae Radix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1 no.1, 2003년, pp.13 - 18  

이미경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이서호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최근표 (강원전문대학 식품생명과학과) ,  유창연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  이신영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이진하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이현용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당화 뿌리의 추출물 모두 0.5g/L 이하의 농도로 투여 시는 정상세포 생존율을 80%이상으로 유지시켜 시료자체에 의한 독성은 나타나지 않으며, 각 추출물의 암세포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은 0.1 m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비교적 $40{\sim}60%$의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추출물들은 0.5mg/ml 이상의 농도에서 MCF7에 대하여 66%이상, A549에 대하여서는 70%이상의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Hep3B에 대하여서는 에탄을 추출물은 78%이상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GS에 대하여 물 추출물이 약 68%정도의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selectivity에 있어서 각 추출물이 0.1mg/ml에서 1.0mg/ml의 농도에서 4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어 해당화 뿌리 추출물들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하는 기작을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암세포와 정상세포의 시간에 따른 산화 정도를 Microphysi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시료 투여 후 점차적으로 산화도가 빠르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 시료들의 면역세포생육 증진 기능은 0.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B세포의 생장을 $1.2{\sim}1.3$배 이상 증가시켰으며, T세포의 경우 $1.2{\sim}1.5$배 이상의 생장율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들에 비하여 높은 면역세포의 생육증진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cytokine의 생성측정정도를 측정한 결과, IL-6는 에탄을 추출물이 배양 6일째 0.5mg/ml의 농도에서 최고 61.3 pg/ml의 분비량을 나타내었으며, $TNF-{\alpha}$도 에탄올 추출물이 배양 6일째 최고 61.9 pg/ml의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acridine orange와 ethidium bromide로 형광염색하여 인간 면역 T cell에 대한세포 사멸형태를 측정한 결과 배양 4일째부터 15% 이상의 세포들이 자가 사멸 형태로 사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Rosa rugosae Radix were compared. About 78% of the growth of human hepato- carcinoma and 68% of human gastric cancer cell was inhibited in adding 0.5 mg/ml of the extracts of Rosa rugosae Radix respectively. The growth of human breast cancer cells was also ...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당화뿌리에 대하여 여러 암세포주에 생육억제 활성과 인간 면역 세포에 대한 활성증진 실험으로 배양 기간동안 세포 생육도의 증진과 cytokine의 분비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l-Rubei MR, Singh RP, Goldman MH, Emery AN (1995). Death mechamisms and animal cells in conditions of intensive agitation. Biotechnol. Bioeng. 45: 463 

  2. Bharat BA, William JK, Philip EH, Barbara M, Steven AS, William JH, Timothy SB, Glenn EN, David VG, Richard NH (1985) Human tumor necrosis factor, The J. Biol. Chem. 260(4) 2345-2354 

  3. Benson AM, Bueding E, Cha YN, Heine HS, Talalay P (1979) Elevation of extrahepatic glutathions S-transferase and epoxide hydratase activities by 2(3)-tert-buty1-4-hydroxyanisole, Cancer Res. 39: 2971--2977 

  4. Choi JS, Park JH, Kim HG, Young HS, Mun SI (1993)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s and marine algae and its active principles from Prunus daviana. Kor. J. Pharmacology. 24: 299-303 

  5. Dool R, Peto R (1981) The causes of cancer: Quantitative estimates of avoid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e States today. J. Natl, Cancer Inst, 66(6): 1192 

  6. Doyle A, Griffiths JB, Newell DG (1993) Cell & Tissue culture : Laboratory procedures. Wiley 

  7. Junferg Y, Xiang C, Gao CM, Li. Z (1997) Voltammetric Behavior of Living cells T. shanghaiensis and its Bioanalytical Application. Bioelectrochemistry and Bioenergetics. 44: 89-93 

  8. Kim SH, Park ES, Jo TH, Choi JW (1994) The study of Pretreated GE-132 on the Mepatic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in Rat. J. Korean Soc. Food Nutr. 23(4): 581--586 

  9. Lingchuan C, Armen HT (1999) Identification of Distinct Signalling Pathways for Somatostatin Receptors SSTR1 and SSTR2 as Revealed by Microphysiornetry, Cell. Signal. 11(7): 499-505 

  10. Masakico S, Masubi M (1995) Enhancement of plasma fibrinolysis in vitro by Jararhagin, Toxicon. 33(12): 1605-1617 

  11. Masanori K, Hiroshi K (1997) Creation of and In vivo Cytosensor Using Enginneered Mesangial Cells. Biol. Pharm. Bull. 22(3): 1394-1399 

  12. Seico Y, Kazumaxa S, Gunki F (1996) Isolation from -Zein of Thermolysin peptides with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Biosci. Biotech. Biochem. 60(40): 661-663 

  13. Wellling D, Tina J, Mikael B, Troels S, Michael RS (1996) Evaluation of Isofagomine and Its Derivatives as Potent Glycosidase inhibitors. Biochemistry. 35: 2788-2795 

  14. Xiong Q, Kadota S, Tadata T, Namba T (1996) Antioxidative effects of phenylethanoids from Cistanche deserticola, Biol. Pharm. Bull. 19: 1580-1585 

  15. 김명조, 김주성, 김기은, 신국현, 허권, 조동하, 박철호, 유창연 (2001) 해당화의 채취 부위별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약용작물학회지. 9(1): 40-44 

  16. 김재길 (1984) 원색약물전연대사전. 남산당. 서울 

  17. 박종철, 양한석, 이승호 (1993) 해당화 지하부에서 분리한 탄닌화합물. 생약학회지. 24(4): 319-321 

  18. 오오진 (1991) 쇠비름이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 반응계에 끼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정태현 (1955) 한국식물도감. 교육사. 서울 

  20. 주광지, 박정미 (1982) 과즙색소 Anthocyanin 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1(3): 67-74 

  21. 최용순, 안철, 주진우, 박종철, 이상영 (1993)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해당화 뿌니 추출물의 효과. 한국생물공학회지. 8(3): 224-2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