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역할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3 no.2, 2003년, pp.265 - 274  

고종욱 (안양대학교 도시행정학과) ,  염영희 (한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experience of job stress among hospital nurses. Method: This study was carefully designed to overcome methodological shortcomings found in past research, and examined tw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ables(jo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회적 지지의 역할올 탐구한 국내외 간호학계의 기존의 연구들온 결과변수로서 주로 건강완련 변수에 초점올 맞추고 있으나 (Lee & Kim, 2000), 병원조직의 효과성과 완련된 결과변수에도 완심올 가질 필요가 있다.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온 직무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밀접한 완련올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Han, Ko, Price & Mueller, 1995; Ko et al., 1996; Seo, 1995; Seo, Ko & Price, 1995), 사회적 지지의 역할에 대한 규영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온 상태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결과변수로서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초점올 맞추어 기존 문헌에서 제시되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지지 효과모형들(주효과, 완충효과 및 매개효과모형)의 타당성올 적절한 방법론올 사용하여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법론적으로 적절한 통계분석기법올 사용하여 직무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과 완련한사회적 지지의 역할올 경험적으로 재검토하고자 한다. 사회적 지지의 역할올 탐구한 국내외 간호학계의 기존의 연구들온 결과변수로서 주로 건강완련 변수에 초점올 맞추고 있으나 (Lee & Kim, 2000), 병원조직의 효과성과 완련된 결과변수에도 완심올 가질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5개 종합병원에서 표십된 602영의 간호사들올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과 완련한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 완충효과 및 매개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사회적 지지의 역할올 탐구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연구에서 나타났던 통계적 분석이나 변수측정 등의 방법론적 문제점들올 보완극복하려고 노력하였다

가설 설정

  • 결과변수(직무 만족 및 조직몰입)를 직무스트레스변수들에 먼저 회귀 시 킨 후 사회적 지지변수에 회귀시 켰올 때 결과변수의 변이를 추가적으로 설영한다면 이것온 사회적 지지가 결과변수에 직접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가리킨다
  • 에 제시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4개의 통제변수와 5개의 직무스트레스 변수가 결과변수(직무 만족과 조직몰입)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뽄만 아u 라 사회적 지지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하에 인과모형올 구성하여 LISREL올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한 각 변수들의 직접 효과, 간접효과 및 총효과를 추정한 결과는과 오*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e, J. H., & Suh, M. J. (1990). A study of work stress perceived by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19(3), 259-272 

  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 Pers Soc Psychol, 51, 1173-1182 

  3. Barry, W., & Feldman, S. (1985). Multiple regressions in practice. Beverly Hills, CA: Sage 

  4. Choi, S. Y. (1993). The comparision of work stress in general ward nurses and ICU nurses. Master's Thesis, College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5. Cohen, S., & Willi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 Bull, 98, 310-357 

  6. Eisenberger, R., Fasolo, P., & Iiavi s-Lalvlastro, V. (1990).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mployee diligence, commitment, and innovation. J Appl Psychol, 75, 51-59 

  7. Firth, H., McIntee, J., McKewon, P., & Britton, P. (1986). Interpersonal support amongst nurses at work. J Adv Nurs. 11, 273-282 

  8. Gardener, D. (1980). The nurse's dilemma: Mediating stress in critical care unit, Heart & lung, 9(1), 103-106 

  9. Gray-Toft. P. & Anderson, J. G,.(1981). Stress among hospital nursing staff: Its causes and effects. Soc Sci Med, 15A, 639-647 

  10. Greenhause, J. H., & Parasurarnan, S. A. (1996). A worknonwork interactive perspective of stress and its consequences. J Organ Behav Manage, 8, 37-60 

  11. Han, N., Ko, J., Price, J. L., & Mueller, C. W. (1995).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outh Korea, Res Pract Hum Resour Manage, 3(1), 39-68 

  12.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Reading, MA: Addison-Wesley 

  13. Huh, H. K. (1999).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conflict,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rthritis, J Korean Acad Adult Nurs, 11, 63-72 

  14. Jaccard, J., Turrisi, R., & Wan, C. (1990). Interaction effects in multiple regression. Newbury Park, CA: Sage 

  15. Jacobson, S. F. (1983).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Res Nurs Health, 6, 33-40 

  16. Joreskog, K. G., & Sorbom, D. (1993). LISREL8: Sturucturai Equation Modeling with the SIMPLIS Command Language. Hillsdale, NJ: Erlbaum 

  17. Kaufmann, G. M., & Beehr, T. A. (1986). Interactions between job stressors and social support: Some counterintuitive results. J Appl Psychol, 71, 522-526 

  18. Kim, M, J., & Gu, M, O. (1984).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J Korean Acad Nurs, 14(2), 28-37 

  19. Kleinbaum, D. G., Kupper, L. L. & Muller, K. E. (1988). Applied regression analysis and other multivariate methods. Boston: PWS-KENT Publishing Co 

  20. Ko J. W., Seo, Y. J., & Park, H. Y. (1996).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ospital employees. Korean J Preven Med, 29(2), 295-309 

  21. Koo, O. H. (2000). Clinical nurse's perception of empowerment structural model in nursing organiz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aejon, Korea 

  22. Lee, E. H., & Kim, J. S. (2000). Major effect models of social support and its statistical methods in Korean nursing research. J Korean Acad Nurs, 30(6). 1503-1520 

  23. Lee, J. M., & Park, H. G. (1988). A study on developing oj job stress scale(II). These collection of Chonnam University, 33, 43-62 

  24. Lefcourt, H. M., Matin, R. A., & Saleh, W. E. (1984). Locus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interactive moderators of stress. J Pers Soc Psychol, 47, 378-389 

  25. Lindley, P., & Walker, S. N. (1993).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differentiation of moderation and mediation. Nurs Res, 42, 276-279 

  26. McCrane, E., Lambert, V., & Lambert, C. (1987), Work stress, hardiness, and burnout among hospital staff nurses, Nurs Res, 36(6), 154-159 

  27. Porter, L. W. Steers, R. M., Mowday, R. T. & Boulian, P. V. (1974).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 Appl Psychol, 59, 603-609 

  28. Seo, Y. J. (1995).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employees: Testing a causal model in Korean hospitals. Korean J Health Policy & Admin, 5(2), 173-201 

  29. Seo, Y. J., Ko, J. W. & Price, J. L. (1995). Estimating a causal model of job satisfaction in a Korean hospital. Korean J Health Policy & Admin, 5(1), 161-191 

  30. Slavitt, D. B., Stamps, P. L., Piedomont, E. B., & Hasse, A. M.(1978). Nurse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atisfaction. Nurs Res, 27(2), 114-120 

  31. Yarcheski, A. & Mahon, N. E. (1999). The moderator-mediator role of social support in early adolescents. West JNurs Res, 21, 685-6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