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 감귤의 제조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n Preparation Conditions of Dried Citru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8, 2003년, pp.1297 - 1301  

이기동 (경북과학대학 발효건강식품과) ,  윤성란 (경북과학대학 전통식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귤의 건조에 따른 품질 특성을 모니터링하고 기호도가 우수한 건조 감귤을 제조하고자 건조온도 및 건조시간에 대한 중심합성실험 계획으로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분활성도, 경도(hardness) 및 부드러움 정도(softness)는 건조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 감귤의 건조온도가 증가할수록 수분 활성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드러움 정도는 건조 온도가 낮고 건조시간이 짧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건조감귤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건조온도가 낮을수록 높은 기호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기호도를 가지는 범위에서의 경도는 2.01 ∼ 3.20 ${\times}$ $10^{6}$ dyn/$\textrm{cm}^2$, 부드러움 정도는 62.54 ∼ 146.37 cm/kg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범위를 만족시켜주는 건조 조건범위는 건조온도 66 ∼ 75$^{\circ}C$ 및 건조시간 8 ∼ 14 hr범위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peformed by central composite design based on drying temperature and time of Citrus, to monitor quality property change caused by drying and make dried products with a good overall palatability. In result, water activity, hardness and softness were affected by d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씹었을 때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경도가 높은 것보다는 알맞은 정도의 수분활성도를 지니고, 딱딱하지 않으면서 부드러운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조 감귤의 최적 건조조건을 설정하고자 contour maps를 겹쳐 그려 미생물 증식이 억제되고 관능적으로 우수한 범위를 설정해 보았다. 건조 감귤을 씹었을 때의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좋다(5점) 이상의 점수를 얻고, 수분활성도에 있어서 0.
  • 건조에 의해 발생되어질 수 있는 물리적 변화는 수축, 팽창 및 결정화를 포함하며, 원하거나 원하지 않는 화학적 또는 생화학적 반응은 색상, 조직감, 냄새 및 제품의 다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귤의 건조조건에 따른 품질 특성 변화를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여 살펴보고 감귤의 건조조건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Lee HY, Seog HM, Nam YJ, Chung DH. 198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Mandarin (Citrus reticula) orange jui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338-345. 

  2. Kim BJ, Kim HS, Kang YJ. 1995.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on Citrus varieties. Korean J Post- Harvest Sci Technol Agri 2: 259-268. 

  3. Song EY, Choi YH, Kang KH, Koh JS. 1998. Free sugar, organic acid, hesperidin, naringin and inorganic elements changes of Cheju Citrus fruits according to harvest dat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306-312. 

  4. Chung SK, Kim SH, Choi YH, Song EY, Kim SH. 2000. Status of Citrus fruit production and view of utiliaztion in Cheju.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 42-52. 

  5. Rhee CO, Shin DH, Yoon IH, Han PJ. 1979. Studies on the processing quality of Korean Citrus fruit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22: 28-32. 

  6. Rouseff RL, Nagy S. 1994. Health and nutritional benefits of Citrus fruit components. Food Technol 10: 125. 

  7. Maskan A, Kaya S, Maskan M. 2002. Hot air and sun drying of grape leather (pestil). J Food Engineering 54: 81-88. 

  8. Park SH. 1991. Modern Experimental Design. Minyongsa, Seoul, Korea. 

  9. SAS. 1994. SAS/STAT. User's Guide version 6. 4th ed. SAS Institute Inc., Cary, NC. Vol 2, Ch 37, p 1457-1478. 

  10. Shin DH, Kim DH, Choi U, Lim DK, Lim MS. 1996.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57-161. 

  11. Lee GD, Kwon JH, Kim JG, Kim HK. 1997. Optimization for the prepartion conditions of instant rice gruel using oyster mushroom and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737-744. 

  12. Choi HY, Mim MN, Lee KH. 1973.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s in dried squid stored at different water activities. Bull Korean Fish Soc 6: 97-100. 

  13. Han SB, Lee JH, Lee KH. 1973.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s in dried achovy when stored at different water activites. Bull Korean Fish Soc 6: 37-43. 

  14. Mok CK, Lee HY, Nam YJ, Suh KB. 1981. Effects of water activity on crispness and brittleness, and determination of shelf-life of barley flake.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289-2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