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Analyses of Scientific Inquiry in Science VII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3 no.5, 2003년, pp.494 - 504  

유모경 (김화중학교) ,  조희형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초록

이 연구는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저술된 7종의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적 탐구 과정 및 활동의 개수를 확인하고 그 적절성을 판단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전반적으로 볼 때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학적 탐구의 기본적 과정은 어느 정도 잘 반영되어 있으나, 통합적 탐구 활동은 대체로 미흡하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적 탐구 과정 및 활동이 그 과제와 일치하지 않는 것이 많으며, 특히 실험은 단 1개도 엄격한 의미의 실험으로 볼 수 없다.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과학적 탐구의 통합적 과정과 탐구 활동도 충분히 반영될 수 있게 해야 하며, 특히 실험과 조사의 의미를 분명하게 정의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mary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quiry processes described in Science VII's written based o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basic processes were well reflected on the textbooks analyzed for the research. However, only a few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은 저1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저술된 7종의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적 탐구의 과정과 활동의 적절성을 조사 .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한 연구의 결과이다.
  • 이 연구는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학적 탐구 요소가 각 교과서에 어느 정도 반영되었는지 확인하고, 각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요소의 적절성을 확인하는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과학과 교육과정이 반영된 정도는 탐구의 유형과 제시된 요소의 수로 나타냈으며, 탐구 요소의 적절성은 다음과 같은 정의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 이런 상황에서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저술되어 현장에 투입된 과학 교과서에 실린 탐구 및 그 과정의 적절성을 확인해보아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연구는 중학교 1학년용 과학 교과서에 포함된 과학적 탐구 및 요소의 적절성을 확인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 실험은 변인을 통제 . 조절하여 그 변인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되며, 조사는 인과관계 이외에 상관관계나 실태를 파악할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관찰 .

가설 설정

  • 측정 : 도구나 기계를 사용하여 길이 , 넓이 . 부피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교육부(1997).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김현영(1996). 제5차 및 제6차 중학교 과학교과서 생물분야의 탐구활동 비교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조회형, 최경희(2001). 과학교육총론. 서울 : 교육과학사 

  4.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AAAS) (1990). Science...A process approach(SAPA II), Delta Education, Inc. 

  5. Guthrie, J. T.(1981). Forms and functions of textbooks. Journal of Reading, March, 554-556 

  6. Hurd, D. P.(1997), Inventing science education for the new millenium. New York : Teachers college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