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용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검색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47 no.1, 2004년, pp.135 - 140  

정성제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및 식물대사 연구센터) ,  이진희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및 식물대사 연구센터) ,  송효남 (세명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과) ,  성낙술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원 작물시험장) ,  이승은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원 작물시험장) ,  백남인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및 식물대사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한약재 및 약용식물 118종에 대해서 80%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 이들의 항산화 활성을 DPPH 와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괴화 (Sophora japonica: 줄기부)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76.9%의 활성을 보였고 회수(Camptotheca acuminata Dence: 지상부)의 추출물에서는 50.9%의 활성을 보였으며 박하(Mentha arvensis: 지상부), 비파엽 (Eriobotryajaponica: 지상부), 소엽(Perilla frutescens: 줄기부), 애엽(Artemisia asiatica: 줄기부 ), 초과(Amomum. costatum: 지상부) 의 추출물과 산비장이(Serratula koreana: 잎), 살구나무(Prunus ansu: 잎)는 30% 이상의 활성을 보였다.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은 박하(Mentha arvensis), 비파엽(Eriobotrya jαponica), 초과(Amomum costatum), 희수(Camptotheca acuminata Dence)의 지상부에서 80% 이상의 활성을 보였으며 괴화(Sophora jαponica), 소엽(Perilla frutescens), 애엽(Artemisia asiatica), 순비기나무 (Vitex rotundifolia)의 줄기부 , 짚신나물(Agrimonia pilosa)의 잎, 창질경이(Plantago lanceolata) 지상부는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박하(Mentha arvensis) 와 비파엽(Eriobotrya jαponica), 초과(Amomum costatum), 희수(Camptotheca acuminata Dence)의 지상 부는 DPPH뿐만 아니라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에서도 높은 활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80% m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118 medicinal plants were tested through the evaluation of DPPH and superoxide anion radicals scavenging activity. Methanol extracts of Sophora japonica (76.9%) and Camptotheca acuminata Dence (50.9%) were found to have more than 50%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많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예로부터 우리가 상용하거나 식용 또는 약재로 사용되어 그 안전성이 확인된 각종 생약재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이들 추출물의 DPPH 와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을 검색하여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mes, B. N. and Saul, R. L. (1987) Oxidative DNA damage, cancer and aging. Oxygen and human disease. Ann. Inter. Med. 107, 536-539 

  2. Branen, A. 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 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3. Choe, S. Y. and Yang, K. H.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 anisole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283 

  4. Pratt, D. E., Huang, M. T., Ho, S. T. and Lee, C. Y. (eds.), (1992) In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Antioxidants and Cancer Prevention, Washington D.C. pp. 54-71 

  5.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6. Bang, M. H., Song, J. C., Lee, S. Y, Park, N. K. and Baek, N. I. (1999) Isol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s from the Root of Paeonia lactiflora.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170-175 

  7. Bang, M. H., Song, J. C., Kim, S. L., Hur, H. S. and Baek, N I. (2001) Isol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the root of Zingiber officinale. R.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202-205 

  8. Kweon, M. H., Hwang, H. J. and Sung, H. C. (2001) Ident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vel chlorogenic acid derivatives from bamboo (Phyllostachys edulis). J. Agric. Food Chem. 49, 4646-4655 

  9. Choi, J. H. and Oh, S. K. (1985) Studies on the anti-aging of Korean Ginse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506-515 

  10. Trush, M. A., Mimnaugh, E. G. and Gram, T. E. (1982) Activation of pharmacologic agents to radical intermediates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free radicals in dmg action and toxicity. Biochem. Pharmacol 31, 3335-3346 

  11. Aust, S. D., Morehouse, L. A. and Thomas, C. E. (1985) Role of metals in oxygen radical reactions. J. Free Radicals Biol. Med. 1, 3-25 

  12. Amoma, 0. I. (1994) Nutiition and health aspects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Food Chem. Toxicol. 32, 671-683 

  13. Davies, K. J. and Goldberg, A. L. (1987) Proteins damaged by oxygen radicals are rapidly degraded in extracts of red blood cells. J. Biol. Chem. 262, 8227-8234 

  14. Miquel, J., Quintanilha, A. T. and Weber, H. (1989) In Handbook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biomedicine. CRC Press, I p. 223 

  15. Harman, D. (1982) In Free radicals in biology V. Academic Press, New York. pp. 255-2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