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Solitary Elderly in Rural Area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1 no.2, 2004년, pp.87 - 100  

최연희 (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solitary elderly in rural area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2 solitary elderly, and 65-89, who had been living in four rural areas. Data was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농촌의 노령화, 노인 단독가구의 증가와 더불어 농촌에서 두드러지는 최근의 인구학적 경향은 독거노인의 증가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 정도를 살펴보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서 지역 특성을 반영한 효율적인 노인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노인 관련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의 지침을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 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그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재돈 . 남철현.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대한보건협회지 1997;23(2):173-191 

  2. 노유자. 서울지역 중년기 성인의 삶의 질에 관한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3. 노유자 . 김춘길. 가정노인과 양로원 노인의 체력, 자기효능, 일상생활활동능력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95;25(2):259-278 

  4. 신은영 농촌노인의 건강상태와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5. 이란영. 농촌노인의 역할수행과 역할만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6. 이영석. 일부 농촌지역 재택노인들의 일상생활활동 및 우울정도.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7. 장숙아. 사회적 지지가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8. 정방자.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건강상태간의 관계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9. 하근영 . 홍달아기. 노인의 교우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노년학연구 1996;8:24-31 

  1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도 . 농간 노인복지서비스 수준차이 해소를 위한 정책방안 2003 

  11. 통계청의 ‘2003년 농업 및 어업 기본통계조사’ 

  12. Bae, Y. S., & Park, O. J.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1989:4(1):1-14 

  13. Barera, M. Distinctions between social support concept, measure, and model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986;14:413-445 

  14. Bock, E. W., & Webber, I. L. Suicide among the elderly: Isolating widowhood and mitigating alterativ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1972;34:24-31 

  15. Dacis, M. A., Neuhause, J. M., Moritis, D. J., & Segal, M. R. Living arrangements and survival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the NHANES epidemiolgic follow-up study. Am J Public Health 1992;82(3):401-400 

  16. Kalan, B. H., Cassel, J. C., & Gore, S. Social support and health. Medical Care 1977;15(5):47-58 

  17. Kim, H. J.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chronic illness elderly.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Environment Wonkwang Univ. of Korea. 2000 

  18. Kim, Y. H., & Pyo, K. 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J. of Welfare for the Aged 2002;17:157-189 

  19. Margilvy, J. K. Quality of life hearing order women. Nursing research 1985;34(3):124-128 

  20. Norbeck, J. S., Lindsey, A., & Carrieri, V.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ocial support. Nursing Research 1981;30(5):264-269 

  21. Palys, T. S., & Little, B. R. Perceived life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 of personal project systems. J Person Soc Psychol 1983;44:1221-1230 

  22. Park, E. S., Kim, S. I., Chun, Y. J., Lee, P. S., Kim, H. J., & Han, K. S.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1998;18(3):37-61 

  23. Peter, G. R. Primary-group support systems of the aged. Research on Aging 1986;9(3):392-416 

  24. Ro, Y. J. A study on middle-aged peoloe's life quality in Seoul. Doctroal dissertation, Yonsei Univ. of Korea 1988 

  25. Schwartz, A. N. Snyder, C. L., & Peterson, J. A. Aging and life; An introduction to gerontology(2nd Ed.). NY; The Dryen Press 1984. 

  26.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