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산시 일부 여대생의 건강상태 및 영양섭취 실태 조사
A Study on Health Condition and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Masan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9, 2004년, pp.1501 - 1514  

박은주 (경남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 ,  정효숙 (경남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 ,  신동순 (경남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남 마산지역에 거주하는 여대생 285명을 대상으로 건강상태 및 영양섭취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 참여한 285명의 여대생의 평균연령은 20.1세(18~26세)이며 흡연자는 5명(1.8%)으로 그들은 하루에 평균 3.6개피의 담배를 피우고 있으며 그들의 평균 흡연기간은 1.8년이었으며 대상자 모두가 간접흡연을 경험한다고 답했다. 음주습관은 82.5%의 대상자가 술을 마신다고 답했고 그들이 술을 마시기 시작한지는 평균 2.8년, 일주일에 94.1 g의 알코올을 섭취하였다. 규칙적으로 운동을 한다고 답한 사람은 약 11%이며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사람은 31.6%이었다. 식사를 규칙적으로 한다고 답한 사람은 불과 11.6%이며, 36.8%가 식사를 불규칙으로 한다고 답했다. 하루 3끼식사를 거의 거르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는 대상자의 54%이며 하루에 한 끼는 매일 거른다고 답한 대상자도 30%나 되었다. 결식을 하게 될 경우 주로 거르는 식사는 아침이 77.9%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저녁, 점심 순이었다. 자주 과식을 한다고 답한 사람은 26.3%이며 대부분이 가끔은 과식을 한다고 답하였다. 1끼 식사 시간은 10~20분, 20분 이상, 10분 미만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편식이 심한 사람은 5%이며 약간 편식을 한다고 답한 사람은 49.1%이었다. 대상자들의 평균 신장과 체중은 161.0 ㎝, 체중 53.9 kg이며 체질량 지수(BMI)는 평균 20.8로 저체중은 13.3%, 정상체중은 80%, 과체중은 6.7%이며 BMI 30이상의 비만군은 없었다. 체지방량은 평균 26.4%이며, 견갑골 피하지방두께와 삼두근 피하 지방두께는 각 14.2 ㎜, 16.9 ㎜이었다. 허리둘레 66.2 ㎝, 엉덩이 둘레 91.9 cm이며 WHR은 0.72로 조사되었다. 대상자들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은 각각 115.9 ㎜Hg, 70.9 ㎜Hg로 전반적으로 정상범위를 보였다. 영양소 섭취는 조사된 영양소 중 단백질, 인, 비타민 E, 비타민 B_6, 비타민 C를 제외하고는 영양권장량보다 낮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칼슘, 철, 아연의 섭취량은 권장량의 70%이하로 매우 낮았다. 열량섭취량은 1634.1 kcal로 일일권장량 대비 81.7%에 해당되며 단백질은 총 64.3 g으로 권장량의 107.2%를 섭취하였다. 대상자의 불규칙적인 식사, 결식, 과식 등의 평소 식습관은 24시간 회상법으로 분석한 영양소 섭취량은 물론 더 나아가 인체계측치에도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불규칙적인 식사, 결식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식습관을 가진 여대생들의 경우, 그 시기에 매우 중요한 영양소인 철분, 아연, 엽산 등의 섭취량이 권장량의 7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식을 하는 대상자의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 등의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국인이 자주 섭취하는 식품을 중심으로 각 식품군별로 지난 1개월간의 식품 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모든 식품군을 합쳐서 마산지역 여대생들이 가장 자주섭취하는 10가지 음식은 쌀밥, 김치, 양파, 잡곡밥, 참기름, 탄산음료, 포도, 아이스크림, 우유, 수박의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마산시에 거주하는 여대생들의 전반적인 건강 및 영양 섭취상태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이 지역 여대생들에 맞는 영양교육을 계획, 실시함으로 그들의 건강향상 및 식생활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ealth condition and nutritional statu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Masan. The 285 subjects aged 20.1 years (18~26 years) were assessed with a set of questionnaire composed of general information, food, smoking, drinking and exercise habits, anthr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마산 지역에 거주하는 여대생의 건강 및 영양실태를 조사함으로서 향후 그들의 건강증진을 위 한 기 초 자료를 수집 하고 이를 영 양교육에 적 극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Selling LS, Ferraro MAS. 1945. Food habits, fats, customs, and aversions. In The psychology of diet and nutrition. W.W. Norton & Co., New York. p 34 

  2. Laurel B, Janice F. 1996. Comparison of college students' current eating habits and recollections of their childhood food practices. J Nutr Educ 31: 304-310 

  3. Choi MJ, Jo HJ. 1999. Studies on nutrient intake and food habit of college students in Taegu. Korean J Nutrition 32: 918-926 

  4. Park HS, Lee HO, Sung CJ. 1997. Body image, eating problems and dietary intake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urban area of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 505-514 

  5. Choi Mi, Jeon YS, Kim AJ. 2001. A comparative study of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alcohol drinking among male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976-985 

  6. Kim HK. 1996.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college students in Ulsan. Kor J Dietary Culture 11: 131-141 

  7. Shin YJ, Park GS. 1995. A study on eating habits of businessman in urban areas. Kor J Dietary Culture 10: 435-442 

  8. Choi MK, Choi SH. 1998. A survey on nutrition intake of the female students in Seoul area according to BM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8: 280-288 

  9. Cheong SH, Chang KJ. 2002. A comparison between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their nutrient intakes and hematological status, with an emphasis on serum iron. Korean J Nutrition 35: 952-961 

  10. Hong SM, Bak KJ, Jung SH, Oh KW, Hong YA. 1993. A study on nutrient intakes and hematological statu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f Ulsan city: Emphasis on serum lipids. Korean J Nutrition 26: 338-346 

  11. Cheong SH, Kwon WJ, Chang KJ. 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s, dietary behaviors and diet qualities of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7: 293- 303 

  12. Ahn GS, Shin DS. 2001. A comparis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 of adolescents between urban areas and islands in south Kyungnam.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271- 281 

  13. Shin DS, Cho OK. 2002. The eating-related characteristics questionnaire and its correlations with anthropometry, nutrient intakes, depression and personality dimensions. Korean J Nutrition 35: 489-497 

  14. The Korean nutrition information center.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1998. Food value of portion commonly used.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15. Rho JO, Woo KJ. 2003. A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 and health-related lifestyles of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university students in Incheon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155-166 

  16. Lee KA. 1999. A comparison of eating and general health practices to the degree of health consciousness in Pusan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32-746 

  17. Kim KH. 2003.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consumptions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 181-191 

  18. Lee MS, Lee JW, Woo MK. 2001.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food consumption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of university students in Taej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 172-181 

  19. Pekkanen J, Tuomilehto J, Uutela A, Vartiainen E, Nissinen A. 1995. Social class, health behaviour, and mortality among men and women in eastern Finland. BMJ 311: 589-593 

  20. Ji SH. 2003. Passive smoking is fatal for cardiovascular diseases. Health Life 11: 32-33 

  21. Lee MS, Woo MK. 2003. Differences in the dietary and health-related habits and quality of diet in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Daeje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 33-40 

  22. No JM. 1997. A study on dietary patterns and behaviors of self-boarding college students in Wonju areas. Korean J Dietary Culture 12: 495-507 

  23. Shin AS, Woo MH. 1999. A study of drinking behavior among students at Yangsan college. Kor J Dietary Culture 14: 131-136 

  24. Lee YN, Choi HM. 199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Kor J Dietary Culture 9: 1-10 

  25. Report on 2002 National Nutrition Survey by Season (I). 2002. Korean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p 112 

  26. Choi YS, Yoo YJ, Kim JG, Nam SM, Jung ME, Chung CK. 2001. Food preferences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in Kangwon provi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75-182 

  27.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2.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28. Chang HW, Kim MR. 2003. A study on the anthropometry and health-related lifestyle habits of women college students in Kunsa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 526-537 

  29. Lee JY. 2000. A study on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health condition and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Kyunggido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0: 372-386 

  30. Chang HS. 1994. A study on total body fat by means of skinfold thickness, energy intake and daily energy expenditure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 219-224 

  31. Choi MJ, Ryoo SH, Kim GJ. 1999. Relations among nutrient intake, body image satisfaction and physicial fitness of college students in Taegu.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 325-335 

  32. Korean Dietitian association. 1994. The Guideline of Clinical Nutrition management 

  33. Must A, Spadano J, Coackley EH, Field AE, Colditz G, Dietz WH. 1999. The disease associated with overweight and obesity. JAMA 282: 1523-1529 

  34. Despres JP. 1998. The insulin resistance dyslipidemic syndrome of visceral obesity: Effect on patients risk. Obes Res 6: 8S-17S 

  35. Lee RD, Nieman DC. 2003. Nutritional Assessment. 3rd ed. McGraw-Hill, New York. p 163-215 

  36. WHO West Pacific Region. 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ad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IOTF 

  37. Kim SM, Kim SS, Youn SJ, Shim KW, Choi HJ, Kim KM, Lee DJ. 1998. What is the best simple anthropometric indexes of abdominal visceral fat in obese patients? Korean J Obesity 7: 157-168 

  38. Lim MY, Nam YS, Kim S, Chang NS. 2004. Vitamin B status and serum homocysteine levels in infertile women. Korean J Nutrition 37: 115-122 

  39. Oh KW, Park KS, Kim TJ, Lee YC. 1991. A study on $\omega$ 6/ $\omega$ 3 and P/M/S ratios of fatty acids ingested by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Nutrition 24: 399-407 

  40.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5. Energy and protein requirements. Report of a Joint FAO/WHO/UNU. Expert consultation.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 724,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41. Young VR, Bier DM, Pellet PL. 1989. A theoretical basis for increasing current estimates of the amino acid requirements in adult men with experimental support. Am J Clin Nutr 50: 80-92 

  42. Young VR. 2003. Protein and amino acids. In Present Knowledge in Nutrition. Bowman BA, Russell RM, eds. ILSI Press, Washington DC. p 45-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