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주지역 및 성에 따른 통영지역주민의 건강식품 이용실태 및 건강관련 제요인과의 관련성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Food and Health-Related Factors by Residence and Sex in Tong-Yeong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6, 2005년, pp.840 - 849  

이복이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학부 식품과학전공) ,  정보영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학부 식품과학전공) ,  김인수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학부 식품과학전공) ,  문수경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학부 식품과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농어촌과 섬지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노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통영시 거주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건강식품의 선택과 섭취를 위한 정보제공 및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도시지역인 동지역, 농어촌 지역인 읍면지역 및 섬지역으로 구분하여 거주지역별, 성별 건강식품의 이용실태와 건강관련 제요인과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남자 $44.7\%$, 여자 $55.3\%$였고, 연령은 남녀모두가 3, 40대까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직업은 무직, 주부, 판매직 순이었으며, 농어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적었다. 교육수준은 무학, 고등학교졸업, 중학교졸업, 전문대졸이상, 초등학교 순이었다. 섬지역주민들의 건강자각 상태가 읍면지역, 동지역에 비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인 스트레스 원인유형을 보면 경제문제, 직장문제, 건강문제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녀 모두 경제문제가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이었다. 피로도의 경우 특히 섬지역에서 피로를 항상 느낀다는 비율이 동지역보다 2배 정도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31.8\%$가 흡연을 한다고 했으며, 남자 $57.5\%$,여자 11.0$\%$로서 남자가 여자에 비해 횔씬 높은 흡연율을 보여 성별간 유의 적인$(p\leq0.001)$ 차이를 나타내었다. 섬지역의 경우 흡연시작 연령이 20세미만의 경우가 $34.8\%$였고, 음주를 처음으로 경험해본 연령은 20세미 만의 경우가 $35.2\%$로 나타났으며 $94.4\%$가 적어도 1주일에 $1\~2$회 이상 술을 마시며, 1회 음주량도 다른 지역에 비해 유의적$(p\leq0.001)$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식품과 스트레스 및 피로도와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영양제 복용은 섬지역이 동, 읍면지역 보다 2배 가까이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p\leq0.01)$ 결과를 보였으며 자신의 건강에 대한 건강자각상태가 좋을수록 더 많이 복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로도와의 상관성의 경우 피로도를 느끼는 회수가 많을수록 건강보조식품의 섭취가 증가하였다. 건강식품과 흡연 및 음주와의 상관성을 본 결과 흡연의 경우 영양제와 보신식품의 섭취는 흡연자와 비흡연자간의 유의적인 차이$(p\leq0.05)$를 나타내었지만, 건강보조식품의 섭취는 흡연자와 비흡연자와의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아 흡연의 여부에 관계없이 복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의 경우 음주자와 비음주자 모두에서 영양제, 건강보조식품, 보신식품의 복용과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인인구의 비율이 높은 읍면지역 및 섬지역의 음주문화는 주로 식사를 하면서 반주로 마시는 경우가 많아 음주가 일상화 되어 있다고할 수 있다. 따라서 음주로 인한 질병 예방이나 치료를 목적으로 건강식품을 섭취한다는 인식은 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결과 통영시에 포함되어 있는 읍면 및 섬지역은 노령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도시의 생활권에서 벗어나 의료혜택을 충분히 받지 못하는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는 실정 이다. 또한 이 지역은 노인인구의 비율이 높으며 , 교육수준도 낮아 건강식품에 대한 정확한 영양지식과 영양에 관한 정보를 충분히 갖지 못할 뿐아니라, 균형잡힌 식생활을 실천하기보다는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건강식품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를 중심으로 한 획일적인 영양교육보다는 각 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ake conditions of health food and health-related factors by residence and sex in Tong-Young area, a survey was carried out from 1,303 adults. Health foods were classified 3 groups including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toner foods and manufac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농어촌과 섬지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노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통영시 거주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건강식품의 선택과 섭취를 위한 정보제공 및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도시지역 인 동지역, 농 어촌 지역 인 읍면지역 및 섬지역으로 구분하여 거주지역별, 성별 건강식품의 이용실태와 건강관련 제요인과의 상관성 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im HK. 2004.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nutraceutical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9: 1-14 

  2. Kim HR. 1996. Provisional national nutrition targets and strategies for health promotion of Korean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 161-177 

  3. Han JH, Kim SH. 2000. Behavior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age by healthy adolescents attending general middle or high schools in Korea. Korean J Nutr 33: 332-342 

  4. Lee MY, Kim JS, Lee JH, Cheong SH, Chang KJ, 2001. A study on usage of dietary supplements and related factors in college students attending web class via internet. Korean J Nutr 34: 946-955 

  5. Chang HS, Kim MR. 2001. Effect of social-economic factors and related factors of health and life-style on health foods intakes among the middle aged in the Jeonbuk regi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617-627 

  6. Kim JS, Lee MY, Cheong SH, Lee JH, Hur YS, Chang KJ, 2003. Supplement use of age-related chronic disease outpatients in Korea. Korean J Nutrition 36: 200-210 

  7. Kim JS, Lee MY, Cheong SH, Lee JH, Kim HD, Lee JH, Hyun TS, Chang KJ, 2001. A study on supplements use in the middle-aged and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798-808 

  8. Kim YO. 2001. Food and nutrient consumption patterns of Korean adults by socioeconomic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645-656 

  9. Koo NS, Park JY. 2000. Consumption pattern of health food by adults in Taej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 452-460 

  10. Lee JS, Yu CH, Park SH, Han GJ, Lee SS, Moon HK, Paik HY, Shin SY. 1998. A study on nutritional intake of the rural people in Korea-Comparison of the nutrient intake by area and age. Korean J Nutrition 31: 1468-1480 

  11. Lee JH, Kim C. 2002. A nutritional survey of women divers in Tongyoung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7: 741-748 

  12. Kim SH. 1994. Pattern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age among the middle-aged in Korea. Korean J Nutr 27: 236-252 

  13. Song Be, Kim MK. 1997. Pattern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age by the elderly in Korea. Korean J Nutr 30: 139-146 

  14. Yoo YJ, Hong WS, Choi YS. 2001. The experience of nutrient supplement use among adults in Seou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357-363 

  15. Lee SS, Kim MK, Lee EK. 1990. Nutrient supplement usage by the Korean adult in Seoul. Korean J Nutrition 23: 287-297 

  16. Song HS, Oh SY. 2000. The experience and intention of health food use among middle-aged men in urb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 193-200 

  17. Polk MR. 1985. The dietitian vs. food faddism: an educational challenge. J Am Diet Asscc 85: 1335-1337 

  18. Jung BM, Lim SS, Kim ES. 2002. A study on health management and life habits for the urban salaried work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482-491 

  19. Choi HS, Lee JK. 1999. A survey of people on awareness of health in urban a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4: 203-209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9. Report on 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Report on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2. Kwak CS, Lee JW, Hyun WJ. 2000. The effects of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on nutritional status and eating habits in adult mal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 161-171 

  23.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3.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based on vital registration). Seoul, Korea 

  24. Choi HJ, Kim SH. 2003. A study on food habit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Gyeongnam Namhae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147-1152 

  25. Lim HS, Nam KS, Heo YR. 2001. The relationships of health-related lifestyles with homocysteine, folate and vitamin $B_{12}$ status in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507-515 

  26. Lee SH, Kim HY. 1991. Relationship of habitual alcohol consumption the nutritional status in middle aged men. Korean J Nutrition 24: 58-65 

  27. Lee SH, Kee CS, Chang YK. 1998. The dietary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of fatty liver pati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 622-629 

  28. Lim HS, Baik IK, Lee HS, Lee YJ, Chung NS, Jho SK, Kim SS. 1995. Effects of the life styl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on the serum lipid concentrations and atherosclerotic coronary lesion. Korean J Lipidology 5: 71-83 

  29. Kim JH, Lee MJ, Moon SJ, Shin SC, Kim MK. 1993. Ecological analysis of food behavior and life-styles affecting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Korea. Korean J Nutr 26: 1129-1137 

  30. Sevcikova L, Stefanikova Z, Jurkovicova J. 2001. Stress and health-related behaviour, presonality characteristics and blood pressure in older school children. Bratisl Lek Listy 102: 420-423 

  31. Susan L, Henrietta L, Lester K. 2000. Effect of relation and stress on the capsaicin-induced local inflammatory response. Psychosomatic Medicine 62: 524-534 

  32. Tanja G, Vrijkotte, Lolenz J. 1999. Work stress and metabolic and hemostatic risk factors. Psychosomatic Medicin 61: 796-805 

  33. Park HR. 1996. Current nutritional status by different age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 301-3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