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시설 유아들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상태 평가
Evaluati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in Day -Care Cente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7, 2005년, pp.1008 - 1017  

신은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연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구미지역 보육시설 2개소의 $3\~6$세 아동 57명(남아 24명, 여아 33명 )을 대상으로 3일간의 식이섭취 상태를 조사하고 영양소를 분석하여 이들의 영양섭취상태를 양적, 질적으로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들의 1일 식품섭취량은 992.7 g이었으며 식물성 식품으로 $55\%$, 동물성 식품으로 $45\%$를 섭취하였고 식물성 식품 중에서는 곡류, 동물성 식품 중에서는 우유 및 유제품을 가장 많이 섭취하였다. 유아들의 1일 평균 열량섭 취 량은 1249.2 kcal였으며 열량영양소의 비율은 권장 비율과 비교하여 탄수화물의 섭취는 약간 낮았고 지방의 섭취는 높았다. 영양소 섭취량의 권장량에 대한 비율이 $75\%$ 미만을 섭취하는 비율이 $20\%$를 초과하는 영양소로는 열량$(29.8\%)$, 철분$(35.1\%)$, 나이아신$(28.1\%)$, 칼슘$(21.1\%)$으로 조사되었다. 섭취열량에 대한 식품군별 기여도는 전체열량의 $68\%$를 식물성 식품으로부터, $32\%$를 동물성 식품으로부터 얻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칼슘의 경우에는 전체의 $22\%$를 식물성 식품으로부터, $78\%$를 동물성 식품으로부터 얻었으며, 철분의 경우에는 전체의 $78\%$를 식물성 식품으로부터, $22\%$를 동물성 식품으로부터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섭취량의 끼니별 분포는 아침:점심:저녁:간식이 13:15:13:59로 전체 $59\%$의 식품을 간식으로 섭취하였고, 섭취 열량의 끼니 별 분포도 아침:점심:저녁:간식이 15:20:19:46으로 간식의 비중이 높은 편이었다. 영양소별 적정도(NAR)를 분석한 결과 단백질, 비타민 A, 인은 0.95이상으로 높았고 칼슘(0.84)과 철분(0.85)은 낮았으며, 평균영양소 적정도(MAR)는 0.92로 양호한 편이었다 INQ는 모두 1을 넘어 식사의 질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 중 6가지 식품군(곡류, 육류, 과일류, 채소류, 우유 및 유제품, 유지류 및 당류)을 모두 섭취하는 유아는 $29.5\%$였고 과일류만을 섭취하지 않는 유아가 $31.6\%$로 가장 많았다. 식품군점수(DDS)가 증가함에 따라 영양소 적정도(NAR)도 유의하게 증가되어 식품섭취가 다양할수록 영양섭취의 질적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성장 발육이 왕성한 보육시설 유아들에게 열량공급이 부족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칼슘, 철분, 나이 아신이 풍부한 식단을 개발하여 필수영양소의 부족이 없도록 해야 하겠다 또한 다양한 식품들을 이용하여 모든 영양소가 권장량에 충족되는 질적으로 우수한 식사가 제공되도록 해야 할 것이며 열량 및 영양소의 높은 간식 비중을 막기 위해서 세끼 식사의 적절한 공급에 더욱 힘써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food and nutrient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were 57 children aged 3 to 6 years in Gumi day-care centers. Total daily dietary intakes were calculated by weighing food consumed at the day-care centers taken togeth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시설 유아들의 3일간의 식품군 섭취 양상, 영양소 섭취상태 등을 조사하여 식품 및 영양소 섭취의 양적, 질적,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보육시설 유아들의 영양 및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영양교육자료 개발 시 유용한 기초자료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구미지 역 보육시설 2개소의 3〜6세 아동 57명 (남아 24명, 여 아 33명)을 대 상으로 3일간의 식 이 섭 취 상태 를조사하고 영양소를 분석하여 이들의 영양섭취상태를 양적, 질적으로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들의 1일 식품섭취량은 992.
  • 유아기 성 장에 필수적 인 칼슘과 철분의 양적 , 질적 인 보충은 본 연구뿐만 아니라 선행연구들(8, 9)에서도 지적된 바와 같이 보육시설과 가정 에서의 식단작성과 영양관리 시 특별히 신경 써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NAR=The subject daily intake of a nutrient/RDA of that nutrient. All NAR values are truncated at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Hammond GK, Barr SI, McCargar LJ. 1994. Teacher's perception and use of an innovative early childhoo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J Nutr Educ 26: 233-237 

  2. Wright DE, Radiclife J. 1992. Parents perceptions of influences on food behavior development of children attending day care facilities. J Nutr Educ 24: 198-201 

  3. www.nso.go.kr 

  4. Joung HJ, Lee NH, Choi YS, Cho SH 2000. Improved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by nutritional management programs at child care centers in Korea. Korean J Nutrition 33: 901-908 

  5. Ko YM, Lee JS, Kim BH, Lee YN, Kwak CS, Choi HM. 1994. Serum lipid levels and growth of kindergarten children in low income area in Seoul. Korean J Lipidology 4: 190-196 

  6. Park SY, Paik HY, Moon HK. 1999. A survey on the food habit and dietary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Korean J Nutrition 32: 419-429 

  7. Park SM, Choi HS, Oh EJ. 1997. A survey on anthropometry and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in three different kinds of kindergarten in Cheonan. J Korean Diet Assoc 3: 112-122 

  8. Joung HJ, Lee NH, Choi YS, Cho SH. 2000. Baseline dietary behavior of children for nutritional management programs at child care centers in Korea. Korean J Nutrition 33: 890-900 

  9. Ryou HJ, Kim YJ, Nam HJ, Min YH, Park HR. 2004. Analysis of food habits and nutrients intake of nursery school children living in Anyang city based on z-score of weight for height. J Korean Diet Assoc 10: 1-12 

  10. Kwak TK, Lee HS, Jang MR, Hong WS, Yoon GS, Lyu ES, Kim EK, Choi EH, Lee KE. 1996. Assess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and nutritional adequacy of foods served in child care centers. Korean J Diet Cult 11: 243-253 

  11. Lee JH. 1996. Foodservice and nutrition survey of children of day care centers in Gyeongnam area. Korean J Soc Food Sci 12: 178-185 

  12. Krebs-Smith SM, Smiciklas-Wright H, Guthrie H, Krebs-Smith J. 1987. The effects of variety in food choices on diet quality. J Am Diet Assoc 87: 897-902 

  13. Cox DR, Skinner JD, Carruth BR, Morgan J, Houck KS. 1997. A food variety index for toddlers (VI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J Am Diet Assoc 97: 1382-1386 

  14. Moon SJ, Lee MH. 1987. An effect of children's food attitude on nutritional status and personality. Korean J Nutrition 20: 258-271 

  15. Lee JS. 1993. Nutrition survey of children of a day care center in the low income area of Pusan. I . a study on nutrient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J Korean Soc Food Nutr 22: 27-33 

  16. Kye SH, Park KD. 1993. A survey on nutritional status and anthropometry of preschool children in orphanage. J Korean Soc Food Nutr 22: 552-558 

  17. Kim KS, Lee SH, Chae KS, Lim HJ, 1994. Nutrition survey of children in a kindergarten of a private elementary school in Pusan 1. a study on nutrient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J Korean Soc Food Nutr 23: 587-593 

  18. Nishimune T, Sumimoto T, Yakusiji T, Kunita N. 1991. Determination of total dietary fiber in Japanese foods. J Assoc Off Anal Chem 74: 350-359 

  19. Yim KS. 1997. Elderly nutrition improvement program in the community health center: nutritional evaluation of the elderly using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and food group intake pattern. J Korean Diet Assoc 3: 182-196 

  20. Guthrie HA, Scheer JC. 1981. Validity of a dietary score for assessing nutrient adequacy. J Am Diet Assoc 78: 240-245 

  21. Lim HJ. 1999.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food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in P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80-1390 

  22. Kant AK, Block G, Schafzkin A, Ziegler RG, Nestle M. 1991. Dietary diversity in the US population NHANES Il 1976-1980. J Am Diet Assoc 91: 1526-1531 

  2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2. Report on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4. Lim SJ, Ahn HS, Kim WJ. 1995.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school children's nutrition awareness Ill. dietary intakes and nutrition awareness of children. Korean J Diet Cult 10: 345-355 

  25. Chung EJ, Nam HW, Um YS. 1998.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ers in different income levels in Seoul and KyunggiDo: 2. focusing on preschoolers' nutrients and fatty acid intakes. Korean J Diet Cult 13: 293-305 

  26. Kikafunda JK, Walker AF, Allan EF, Tumwine JK. 1998. Effect of zinc supplementation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Ugandan preschool children: a radomized, controled intervention trial. Am J Clin Nutr 68: 1261-1266 

  27. Lozoff B, Jimenez E, Wolf AW. 1991. Long-term developmental outcome of infants with iron deficiency. New Eng J Med 325: 687-694 

  28. Roncagliolo M, Garrido M, Walter T, Peirano P, Lozoff B. 1998. Evidence of altered central nervous system development in infants with iron deficiency anemia at 6 months: delayed maturation of auditory brain stem responses. Am J Clin Nutr 68: 683-690 

  29. Hurtado EK, Claussen AH, Scott KG. 1999. Early childhood anemia and mild or moderate mental retardation. Am J Clin Nuir 69: 115-119 

  30. Allen LH, Wood R. 1994. Calcium and phosphorus. In Modem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8th ed. Shils ME, Olson DA, Shike M, eds. Lea and Febiger, Philadelphia. p 144-163 

  31. Prentice A. 1995. Calcium requirements of children. Nutr Rev 53(2): 37-40 

  32. Cho MS. 2000. Nutrition and health status of day-care center children. Korean J Diet Cult 15: 313-323 

  33. Lim HJ. 1999. A study on the food habit and the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in P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69-1379 

  34. Chung MR, Lee YM, Lee KW. 2000. A study on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food service managements at snack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Korean J Home Economics Association 38: 99-113 

  35. Lee SY, Ju DL, Park HY, Shin CS, Lee HK. 1998.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obtained by 24-hour recall method in adults living in Yeonchon area (2): assessment based on food group intake. Korean J Nutrition 31: 343-353 

  36. Jung HJ, Moon SJ, Lee LH, Yu CH, Paik HY, Yang IS, Moon HK. 1997. Evaluation of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menus on its nutrient contents and diversity of the food served. Korean J Nutrition 30: 854-869 

  37. Caliendo MA, Sanjur D, Wright J, Cumming G. 1977. An ecological analysis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J Am Diet Assoc 71: 20-26 

  38. Caliendo MA, Sanjur D. 1978. The dietary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An ecological approach. J Nutr Educ 10: 69-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