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염 명란젓갈의 품질지표 설정을 위한 연구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Quality Index of Low-salted Myungran-jeot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1 no.4 = no.88, 2005년, pp.440 - 446  

한진숙 (동의과학대학 식품과학계열) ,  조학래 (동의과학대학 식품과학계열) ,  조호성 (동의분석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제조과정에서 조미액즙이 첨가된 저염명란젓갈을 $10^{\circ}C$에 저장하면서 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명란젓갈의 유통기한 예측을 위한 품질지표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명란젓갈의 숙성 중 젖산 생성량의 변화는 저장 7일까지는 서서히 증가하다가 7일 이후에 급격히 증가한 후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19일에 다시 증가하였다. pH의 변화는 젖산 생성량과 반대 경향을 보였다. 아미노태 질소는 숙성 10일까지 일정수준을 유지하다가 그 후에 증가하여 숙성 17일에 최고 값을 나타낸 후 다시 감소하였다. 휘발성 염기질소량은 숙성 5일 이후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여 저장 19일에는 $30mg\%$ 이상으로 나타났다. 미생물시험에서 분변대장균은 전 실험기간동안 검출되지 않았고, 일반 세균수와 내염성균수는 초기에는 각각 $1.5\times10^3$$5.5\tiems10^3 CFU/g$였고, 저장 17일까지 일반 세균수와 내염성균수가 $10^7CFU/g$을 유지하였다. 본 실험에 제공된 시료는 조미액 첨가와 알루미늄 밀봉 포장방식으로 인하여 외관상 알의 표면에 효모군락이나 곰팡이가 발생되지 않아 외관 특성이 명란젓갈의 품질 지표가 되지 못한 반면, 입안에서 명란알의 입자감이 중요한 품질 지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17일까지는 명란젓갈의 관능특성과 기호도가 초기제품과 비교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토대로 명란젓갈이 발효식품임을 감안해 볼 때 제품의 상업적 품질이 유지되는 유통기간은 제품의 관능평가에서 입자감과 종합적 기호도가 초기 제품과 유의적 차이(p<0.05)가 없는 상태로, 휘발성염기질소량은 $30mg\%$이하, 내염성미생물수는 $1.0\times10^8CFU/g$미만으로 각각 설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termine the shelf-life of low salted Myungran-jeot (low salted and fermented Alaska pollack roe), various 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analyses were carried out with Myungran-jeot stored at 10 days. The lactic acid content was slowly increased in the early stage of storage but then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젓갈과 같이 미생물의 작용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발효식품에는 상기 기준을 그대로 적용 시키기는 어렵다고 판단되며(Park CK 1995), 현재 식품공전에는 젓갈의 품질 기준으로 액젓에 대한 이 화학적인 평가기준만 있을 뿐 명란젓갈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규격이 정해져 있지 않아 위생적인 품질 관리가 수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KFDA 200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명란젓갈제조업체에서 생산되고 있는 저염명란젓갈 제품의 유통기한을 설정하기 위해서 생산된 제품을 10℃에 저장하면서 명란젓갈에 대한 품질 판별 지표로 휘발성 염기질소, 아미노태 질소, pH, 산도, 일반세균수와 내염성균수 그리고 관능적 특성을 검사 항목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들 항목의 시험을 저장 중에 시간 경과별로 실험하여 그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제품의 상업적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간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ross JA. 1976. Halophilic Microorganism. p194-203. In: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foods. Marvin LS. 2nd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NW. U.S.A 

  2. Cha SK, Ahn JS, Ahn BH. 2001. Searching and preservation of microbial resources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6(1):60-66 

  3. Cho HR, Park WY, Chang DS. 2002. Studies on the shelf life extension of Jeotkal, salted and fermented sea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4):652-660 

  4. Hur SH. 1996. Critical review on the microbiological standardization of salt-fermented fish product. J Korean Food Sci Nutr 25(5):885-891 

  5. Jung HS, Lee SH, Woo KL. 1992. Effect of salting levels on the changes of taste constituents of domestic fermented flounder Sikhae of Hamkyeng-Do. Korean J Food Sci Technol 24(1): 59-64 

  6. Kim JW. 1992. Fishery Science. Sejinsa. Seoul. Korea 

  7. Kim KO, Kim SS, Seung NK, Lee YC. 1993. Method and application for sensory evaluation. Shinkwang. Seoul. Korea 

  8. Kim SM. 1996. The effects of food additives on the shelf-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6):937-943 

  9. Kim SM. 1996. The effects of sulfites salts on the shelf-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sauced Roe of Alaska Pollack).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6):937-943 

  10. Kim SM, Lee KT. 1997. The shelf-life extension of low salted Myungran-jeot. 2. The effects of commercial preservatives on the shelf-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3):456-461 

  11. Korea Food and Drug Adminstration. 2002. Food Code.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oonyoung Co. Seoul. Korea 

  12. Larmond E. 1982. Laboratory methods for sensory evaluation of food. Canada department of agriculture publication, Ottawa, Canada 

  13. Lee CH. 1989. Fish fermentation technology. Korean J Appl Microbio Bioeng 17(4):645-654 

  14. Lee WD. 2001. Recent development of Jeotagal(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eafood) and its future. Food Ind Nutr 6(3):23-27 

  15. Mayou J. 1976. MPN-Most Probable Number. p152-169. In: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foods. Marvin LS. 2nd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NW. U.S.A 

  16. Oh SH, Heo OS, Bang OK, Chang HC, Shin HS, Kim MR. 2004. Microbiological safety of commercial salt-fermented shrimp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3):507-513 

  17. Park CK. 1995.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anchovy sauce and their quality standardiz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4):471-477 

  18. SAS Institute Inc. 1989. SAS User's Guide, Statistic analysis systems institute, Cary, NC, USA 

  19. Souane M. Kim YB, Lee CH. 1987. Microbial characterization of Gajami Sik-hae fermentation.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5(3): 150-15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