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나물이 고콜레스테롤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mpinella brachycarpa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9, 2006년, pp.1151 - 1158  

이재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추명희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명렬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유발된 고콜레스테롤혈증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고콜레스테롤식이만을 급여한 HC군은 정상식이만을 급여한 NC군에 비하여 높은 체중증가량을 나타내었다. 고콜레스테롤식이와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저용량과 고용량 병합투여한 HC-PBL군과 HC-PBH군은 HC군에 비하여 체중증가량이 저하되었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식이섭취량은 HC군이 다른 실험군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식이효율은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HC군, HC-PBL군 및 HC-PBH군은 NC군에 비하여 높았다. 체중 당 간 무게는 HC군이 다른 모든 실험군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병합투여로 체중 당 간 무게가 저하되었으며 NC군 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고콜레스테롤식이 급여로 증가된 혈청 중 AST, ALTALP 활성은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병합투여로 활성이 감소되었으며,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투여 용량이 증가할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중 지질 함량에서,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HC군은 정상식이를 급여한 NC군에 비하여 중성지질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고콜레스테롤식이와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투여로 감소되었으나 고용량 병합투여한 HC-PBH군만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혈청 중 인지질 함량은 HC군이 NC군에 비하여 감소하였고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증가되었으나 NC군에 비하여는 낮았다. 혈청 중 유리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함량은 고콜레스테롤식이와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투여한 HC- PBL군과 HC-PBH군은 HC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투여 용량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비율은 각 실험군들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혈청 중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HC군이 NC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고콜레스테롤식이와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투여한 HC-PBL군과 HC-PBH군은 HC군에 비하여 LDL-콜레스테롤 함량이 저하되었으나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투여 용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HC-PBL군과 HC-PBH군의 혈청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HC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심혈관위험지수와 동맥경화지수는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나 NC군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간 중 중성지질 및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HC군이 NC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고콜레스테롤식이와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투여한 HC-PBL군과 HC-PBH군은 HC군에 비하여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저하되었으나 NC군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간 중 중성지질 함량은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투여 용량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으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용량 병합투여한 HC-PBH군만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혈청 및 간 중의 지질 함량 변화는 정상식이를 급여한 NC군과 NC-PB군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따라서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하면서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투여 시에만 지질대사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고용량 병합투여 시 효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하였으며, 이는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을 포함한 여러 생리활성물질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은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증가된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Pimpinella brachycarpa (PB) on serum and liver lipid metabolism in rats. 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administered 1% cholesterol and 0.25% sodium cholate to induce hypercholesterolemia. PB ethanol extract (200 mg/kg/day or 4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천연 식품을 식품재료화 하여 기능성 식품의 신소재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영양학적인 연구 및 생리활성 실험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이 고콜레스 테롤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방대사 개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혈청 및 간 중의 지질 조성 변화를 검 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박석근, 정경진. 1995 한국 민속채소의 효능과 이용. 서원출판사, 서울. p 204-205 

  2. Hendrich S, Lee KW, Xu X, Wang HJ, Murphy PA. 1994. Defining food components as new nutritions. J Nutr 124: 1789S-1792S 

  3. Ueda S, Kuwabara Y, Hirai N, Sasaki H, Sugahara T. 1991. Antimutagenic capacities of different kinds of vegetables and mushrooms. Nihon Shokubin Kogyoo Cakkaishi 38: 507-514 

  4. Hwang BH, Zhao JL, Choi KP, Jung SW, Kim EJ, Ham SS. 1996. The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 of Taxus cuspidat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1062-1068 

  5. Jhee OH, Yang CB. 1996.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 from Bangah herb.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157- 1163 

  6. Lee BW, Shin DH. 1991. Screening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00-204 

  7. Ham SS, Lee SY, Oh DW, Jung SW, Kim SH, Chung CK, Kang IJ. 1998. Antimutagenic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745-750 

  8. 임웅규, 박석근, 류종원, 사동민, 이미순, 임규옥. 1996. 자원식물학. 서일출판사, 서울. p 16-22 

  9. Traditional animal and plants in Kangwon province. 1995. Chuncheon, Kangwon, Korea 

  10. Kim TJ. 1996. Korean resources pla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Vol IV, p 230 

  11. Computer Dong Ei Bo Gam. 1991. Ace published C&M. Solvit Media, Seoul, Korea 

  12. RDA. 1997. Food composition table.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Suwon, Korea. p 126 

  13. Choi NS, Oh SS, Lee JM. 2001. Change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of Pimpinella brachycarpa (Chamnamul) by blanching conditions. Korean J Dietary Culture 16: 388-397 

  14. Lee SH. 1998. Studies on antimutagenicity and cytotoxicity of edible mountain herbs extracts. MS Thesis. Kangwon University, Gangwon 

  15. Oh D, Ham SS, Lee SY, Park BK, Kim SH, Chung CK, Kang IJ. 1998. Effect of irradiation and blanching on the quality of juices of Spuriopinella brachycarpa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333-340 

  16. Ham SS, Kim SW, Kim YM. 1990. Studies on antimutagenic effects and gene repair of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632-639 

  17. Kim JD, Lee SY, Kim SW. 1997. Modulation of hepatic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defenses by wild plants extracts. Kor J Pharmacogn 28: 48-53 

  18. Kwon CS, Kwon YS, Kim YS, Kwon GS, Jin I, Ryu IJ, Sohn HY. 2004. Inhibitory activities of edible and medicinal herbs against human thrombin. J Life Sci 14: 509-513 

  19. Lee JM, Choi SW, Cho SH, Rhee SJ. 2003. Effect of seeds extract of Paeonia lactiflora on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of liver in rats fed high-cholesterol diet. Korean J Nutr 36: 793-800 

  20. Henriksen T, Mahoney EM, Steinberg D. 1983. Enhanced macrophage degradation of biologically modified low density lipoprotein. Atherosclerosis 3: 149-159 

  21. LaRosa JC, Hunninghake D, Bush D, Criqui MH, Getz GS, Gotto AM Jr. 1990. The cholesterol facts. A summary of the evidence relating dietary fats, serum cholesterol, and coronary heart disease. A joint statement by the America Heart Association and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The Task Force on Cholesterol Issue, America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81: 1721-1733 

  22. Peffley D, Sinensky M. 1985. Regulation of 3-hydroxy- 3-methyl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synthesis by a non-sterol mevalonate-derived product in Mev-1 cells. J Biol Chem 260: 9949-9952 

  23. Clark LT. 2003. Treating dyslipidemia with statins: The risk-benefit profile. Am Heart J 145: 387-396 

  24. Yugarani T, Tan BKH, Teh M, Das NP. 1992. Effects of polyphenolic natural products on the lipid profiles of rats fed high fat diets. Lipid 27: 181-186 

  25. Reeves PG, Nielson FH, Fahey GC Jr. 1993.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s: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writing committee on the reformulation of the AIN-76A rodent diet. J Nutr 123: 1939- 1951 

  26. Reitman S, Frankel S. 1957.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oacetic determination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m J Clin Pathol 28: 56-63 

  27. McGowan MW, Artiss JD, Strandbergh DR. 1983. A peroxidase-coupled method for the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serum triglycerides. Clin Chem 29: 538-542 

  28. Richmond W. 1976. Use of cholesterol oxidase for assay of total and free cholesterol in serum by continuous flow analysis. Clin Chem 22: 1579-1588 

  29. Eng LF, Noble EP. 1957. The maturation of rat brain myelin. Lipids 3: 157-162 

  30. Takayama M, Itoh S, Naguski T, Tanimizn I. 1977. A new enzymat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erum choline-containing phospholipids. Clin Chem Acga 79: 93-98 

  31. Noma A, Nakayama KN, Kota M, Okabe H. 1978.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erum cholesterol in high and low density lipoprotein with use of heparin, Ca2+ and an anion exchange resin. Clin Chem 24: 1504-1580 

  32. Friedwald WT, Levy RL,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33. Folch J, Lees M, Sloane-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34. Sale FO, Marchesini S, Fishman PH, Berra B. 1984. A sensitive enzymatic assay for determination of cholesterol in lipid extracts. Anal Biochem 142: 347-350 

  35. Wursch P. 1979. Influence of tannin-rich carob pod fiber on the cholesterol metabolism in the rat. J Nutr 109: 685-692 

  36. Rhee SJ, Park HK. 1984. Changes of lipid content and histochemical observation in liver of rats fed high fat diet. Korean J Nutr 17: 113-125 

  37. Plaa GL, Charbonneau M. 1994. Detection and evaluation of chemically induced liver injury. In Principles and Methods of Toxicology. Hayes AW, ed. Raven Press, New York. p 839-870 

  38. Lim SS, Kim MH, Lee JH. 1997.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Circium japonicum var ussuriense on liver function body lipid and bile acid of hyperlipidemic rat. Korean J Nutr 30: 797-802 

  39. Inkeles S, Eisenberg D. 1981. Hyperlipidemia and coronary atherosclerosis. Medicine (Baltimore) 60: 110-123 

  40. Rifkind BM. 1996. Diet, plasma cholesterol and coronary heart disease. J Nutr 116: 1578-1580 

  41. Kim SY, Kim HS, Kim SH, Su IS, Chung SY. 1993. Effects of the feeding Platycodon grandiflorum and Codonopsis lanceolata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erum and liver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2: 524-530 

  42. Kinnunen PKJ, Virtanen JA, Vainio P. 1983. Lipoprotein lipase and hepatic endothelial lipase. Atheroscler Rev 11: 65-80 

  43. Oda T, Shikata T, Natio C, Suzuki H, Kanetaka T. 1970. Phospholipid fatty liver: a report of three cases with a new type of fatty liver. Jpn J Exp Med 40: 127-140 

  44. Goodman DS. 1964. The turnover of plasma cholesterol in man. Physiol Rev 45: 747-760 

  45. 김기홍. 1980. 검사성적의 임상적 활용. 고문사, 서울. p 164- 165 

  46. Goldstein JL, Brown MS. 1983. Lipoprotein receptors: genetic defense against atherosclerosis. Clin Res 30: 417-423 

  47. William P, Robinson D, Bailey A. 1979. High density lipoprotein and coronary risk factor in normal men. Lancet 313: 72-75 

  48. Steinberg D. 1983. Lipoproteins and atherosclerosis: a look back and look ahead. Atherosclerosis 3: 283-301 

  49. Kinnuen PKJ, Virtanen JA, Vainio P. 1983. Lipoprotein lipase and hepatic endothelial lipase. Atherosclerosis Rev 11: 65-71 

  50. Castelli WP, Garrison RJ, Wilson PWF, Abborr RD, Kalousdian S, Kannel WB. 1986.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The Framingham study. JAMA 256: 2835-2845 

  51. Cha JY, Cho YS, Yanagita T. 1999. Effect of cholesterol on hepatic phospho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diet containing fish oil and beef tallow. J Food Sci Nutr 4: 125-129 

  52. Kang SM, Shin JY, Hwang SJ, Hong SG, Jang HE, Park MH. 2003. Effects of Saengshik supplementation on health improvement in diet-induced hypercholesterol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906-9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