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선도표시계를 이용한 계육의 저장 중 신선도 측정 및 품질변화
Use of Freshness Indicator for Determination of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Chicken during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6, 2006년, pp.761 - 767  

신희영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구경주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상규 (광주과기원 신소재공학과) ,  송경빈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계육의 신선도를 판정할 수 있는 신선도표시계를 제작하였고, 냉장저장 중 계육의 신선도 및 품질변화를 측정하고자 저장 중 표면 pH, VBN, TBARS, 총균수, 전자코 측정 및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저장 중 계육의 모든 부위는 저장 3일 경과 후 신선도표시계의 색의 변화로 신선도가 저하되었음을 제시해주었다. 저장 중 품질변화를 측정한 결과 신선도표시계의 반응시점과 같은 저장 3일에 VBN, TBARS, 총균수의 값 또한 부패시점에 도달하였고, 관능검사 결과도 저장 4일 이후에는 이취 및 표면에 점질물 생성 등으로 가식이 불가능하였다. 부패취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전자코 분석에서도 저장 0일차, 저장 3일차, 저장 5일차의 향기분석에서 주성분 분석값이 뚜렷한 차이를 보여 계육 부패시점이 3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신선도표시계인 신선도표시계는 계육의 저장 중 신선도 확인을 실시간으로 해줌으로써 계육의 유통기한 확립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장치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termine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chicken products during storage, we manufactured freshness indicator and monitored the surface pH, volatile basic nitrogen (VBN), thiobarbituric acid reacted substance (TBARS), total bacterial counts, electronic nose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Al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계육의 저장 유통 중 품질 및 신선도 측정을 위한 신선 도표 시계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계육의 부위에 따라 신선도표시 계를 제작, 부착하였으며 저장 중 신선도표시 계의 변화 정도와 pH, TBARS, VBN, 전자 코 분석 및 관능검사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Fig. 2. Color change of freshness indicator in chicken at decay point. The pH meter indicates the pH at decay point (day 3), and arrow shows the change in color of a sensor before and after day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im CR, Kim KH, Moon SJ. 1999. Microbiological evaluations of retail and refrigerated chickens in winter. Korean J Food Sci Anim Res 12: 109-112 

  2. Kim CR. 2001. Microbiological and sensory evaluation of refrigerated chicken in summer. J Fd Hyg Safety 16: 16-20 

  3. Fumiaki U, Uchiyama H. 1986. Low temperature storage and quality evaluation of fish. Fishery Sci Ser 60: 24-35 

  4. Byun MW, Kwon JH, Cho HO, Lee MK, Kim JG. 1985. Physicochemical changes of gamma-irradiated chicken.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186-191 

  5. Yamamoto M, Sonehara M. 1953. An assay method for freshness of ishes by the estimation of pH value. Bull Japan Soc Sci Fish 9: 761-765 

  6. Kim NA. 2004. Biosensors for food quality and contaminant detection. J Food Sci Ind 37: 4-10 

  7. Kim JH, Rhie DH, Kim TJ, Noh BS. 1998. Development of biosensor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glucose lactic acid and ethanol.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2-34 

  8. Park TS, Cho SI. 2005. Information processing and interdisciplinary technology: Development of an enzyme electrode biosensor for lactic acid bacteria. J Biosys Eng 30: 249-253 

  9. Abdel-hamid I, Atanasov P, Wilkins E. 1995. Development of a needle type glucose biosensor. Anal Chem Acta 313: 45-54 

  10. Kinsella JE. 1987. Seafoods and fish oil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Marcel Dekker, New York, USA. p 317 

  11. Cowell DC, Ewen RJ, Flynn CE, Goldie B, Hart JP, Hawkins SJ, Hitch TJ, Honeybourne CL, McCalley DV, Ratcliffe NM. 1994. Sensors for citrus fruit quality. Life Chem Rep 11: 333-338 

  12. Park SK. 2003. A freshness indicator of foodstuffs. Korean Patent 0038202 

  13. KFDA. 2002.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222-223 

  14. Ahn DU, Olsin DG, Jo C, Chen X, Wu C, Lee JI. 1998. Effect of muscle type, packaging, and irradiation on lipid oxidation, volatile production, color in raw pork patties. Meat Sci 49: 27-39 

  15. Zhn MJ, Mendonca A, Ahn DU. 2004. Temperature abuse affects the quality of irradiation pork loin. Meat Sci 67: 673-649 

  16. APHA.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Method 4-54.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17. Shin JA, Kwon JH, Lee KT. 2003. Aroma analysis by the electronic nose on red ginseng powder treated with gamma radiation, methyl bromide and phosph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825-829 

  18. Kim SK, Lee MS, Lee KT, Park SK, Song KB. 2004. Changes in quality of pork and beef during storage and electronic nose analysis. Korean J Food Preserv 11: 441- 447 

  19. SAS. 2001.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Inc., Cary, NC, USA 

  20. Park GB, Kim YJ, Lee HB, Kim JS, Kim YH. 1988. Changes in freshness of meat during postmortem storage. Korean J Anim Sci 39: 561-566 

  21. Asghar A, Gray JI, Buckley DJ, Pearson AM, Booren AM. 1988. Perspective on warmed-over flavor. Food Technol 42: 102-108 

  22. James MJ. 1972. Mechanical and detection of microbial spoilage in meat at low temperature. J Milk Food Technol 35: 467-471 

  23. Kim M. 1997. Effect of lactic acid treatment on microorganism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in chickens. Korean J Soc Food Sci 13: 293-298 

  24. Deymer DI, Vandenkerckhove P. 1979. Compounds determining pH in dry sausage. Meat Sci 3: 161-168 

  25. Khan AW, Van Den Berg L. 1964. Some protein change during postmortem tenderization in poultry meat. J Food Sci 29: 537-546 

  26. Field RA, Chang YO. 1969. Free amino acids in bovine muscle and their relationship to tenderness. J Food Sci 34: 329-335 

  27. Brewer MS, Ikins WG, Harbers CA. 1992. TBA values, sensor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s in ground pork during long-term frozen storage: Effects of packaging. J Food Sci 57: 558-563 

  28. Lefebvre N, Thibault C, Charbonneau R, Piette JPG. 1994. Improvement of shelf-life and wholesomeness of ground beef by irradiation. Meat Sci 32: 371-380 

  29. Jeong RJ, Jong YK, Lee KM, Cho DH. 2005. Anti-obese effects of mixture contained pine needle, black tea and green tea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375- 381 

  30. Choe IS, Kim IS, Samejima K, Min JS, Lee SO, Lee M. 2001. The quality attributes of chicken meats imported from Korea and other countries in Japanese market. Korean J Food Sci Anim Res 21: 307-313 

  31. Kim BK, Lee YB. 1979. Effect of pre-slaughter handling and slaughtering method of chicken on postmortem muscle biochemistry and meat quality. J Anim Sci Technol 21: 515-522 

  32. Barnes EM. 1976. Microbiological problems of poultry at refrigeration temperature. J Sci Food Agric 24: 777-781 

  33. Noh BS, Yang YM, Lee TS, Hong HK, Kwon CH, Sung YK. 1998. Prediction of fermentation time of Korean style soybean paste by using the portable electronic nos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356-362 

  34. Yano Y, Miyaguchi N, Watanabe M, Nakamura T, Youdou T, Miyai J, Numata M, Asano Y. 1996. Monitoring of beef aging using a two-line flow injection analysis biosensor consisting of putrescine and xanthine electrodes. Food Res Int 28: 611-6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