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실무 경험
The Experiences of Transplantation Coordinators' Practice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6 no.6, 2006년, pp.1012 - 1022  

손행미 (동국대학교 간호학과) ,  고문희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  김춘미 (여주대학교 간호학과) ,  이명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henomenological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in the transplantation coordinators' practice. Method: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tape-recorded in-depth interview from nine participants who were transplantation coordinators of their hospitals. It was analyz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복잡한 과정의 중심에서이 과정을 진행시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장기이식코디네이터의 실무 경험의 실체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장기이식 코디네이터가 수행하는 업무의핵심적인 특성과 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보람, 대처 등 진솔한 체험을 생생한 언어로 밝혀내는 것이며이를 위하여 현상학적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심층면담을 통하여 장기이식 코디네이터들의 경험의 실체를 파악함으로써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들의 실무 체험의 본질과 구조를있는 그대로 기술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전문직 뿐만 아니라, 의료기관의 조직과 사회적으로 장기이식코디네이터에 대한 실무 이해와 인식을 향상시켜 장기이식코디네이터의 역할 정체성 및 전문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질문은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경험의 본질은 무엇인가?, 이다.
  • 과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복잡한 과정의 중심에서이 과정을 진행시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장기이식코디네이터의 실무 경험의 실체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장기이식 코디네이터가 수행하는 업무의핵심적인 특성과 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보람, 대처 등 진솔한 체험을 생생한 언어로 밝혀내는 것이며이를 위하여 현상학적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 본 연구는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실무 경험을 이해하기위한 현상학적 연구로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생생한 실무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여 기술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질문은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경험의 본질은 무엇인가?, 이다.
  • 본 연구는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실무 경험의 실체를 드러내고자 현상학적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자료는 아홉명의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수집하였고 Colaizzi ]978)가 제시한 분석절차를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한 질적연구이다. 현상학적 방법론은 주체 혹은 객체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주체의 경험에 초점을 두는 접근법으로 인간됨을 중시하는 방법론이다.
  • 그대로 기술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전문직 뿐만 아니라, 의료기관의 조직과 사회적으로 장기이식코디네이터에 대한 실무 이해와 인식을 향상시켜 장기이식코디네이터의 역할 정체성 및 전문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자료수집기간은 2003년 9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이었다. 연구팀은자료수집을 하면서 면담한 자료를 모두 서로 공유하였고 자료수집 시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해 의논하였다. 부가적으로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NOS) 홈페이지 방문과 외국의 장기이식 코디네이터 관련 홈페이지 방문, 코디네이터 제도 등에대한 책자 등을 통해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역할과 활동, 그리고 법적 기준 등을 참고하였다.
  • 또한장기이식 코디네이터들은 이 모임의 구성원들을 개별적으로접촉하면서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는 자문을 구하기도 하고, 협조를 요청하기도 하면서 상호지지와 격려를 해주었다. 아울러 타 병원의 좋은 사례들과 시스템들을 건설적으로 벤치마킹하면서 더 나은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노력하였다.
  • 한편 본 연구팀의 연구자들은 모두 질적연구로 학위를 받고 질적연구 학회를 통해 질적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탐구와연구 수행을 계속하고 있는 사람들로 본 연구에서 적용한 현상학적 방법론의 존재론과 인식론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습득하고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enner, P. (2001). From novice to expert: Excellence power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Addison-Wesley 

  2. Byun, S. J., Kim, H. K., Kim, A. R., Ha, H. S., & Joen, K. O. (2003). Task analysis of Korean transplantation nurse practitioner, J Korean Acad Nurs, 33(2), 179-188 

  3. Colaizzi, P.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S. Valle & M. King(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pp. 48-71).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Inc 

  4. Han, Y. J., Kim, M. H., Lee, K. S., Kim, N. S., & Kim, D. J. (2002). The reports of state and policy subjects of organ transplantation. Seoul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5. Hickey, J. V., Ouimette, R. M., & Venegoi, S. L. (2000). Advanced nursing practice : Changing roles & clinical application. Philadelphia : Lippincott 

  6. Hong, S. J. (2001).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families consent for donation of solid organs for transplan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Seoul 

  7.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2006). Statistics of organ transplantation by year. Retrieved Jun 7, from the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Web site: http://www.konos.go.kr 

  8. A notice of course in advanced nurses. (2004, January 8).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News, p.4 

  9. Hwangbo, H. M. (2004).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families consent for donation of solid organs for transplan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0. Jo, K. W., & Han, H. J. (2001). Nurses' painful experiences through terminal patient. J Korean Acad Nurs, 31(6), 1055-1066 

  11. Kim, B. S. (2002). Nurses' socialization process in the hospital.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Chung Ang University, Seoul 

  12. Kim, D. H. (2002). Understanding experience of nurses dealing with difficult patient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Kim, J. S. (2000). A model curriculum development policy of clinical nurse specialist training program for organ transpla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4. Lee, H. S. (2003). The description of role behaviors of Korean transplant nurse speciali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Lee, W. H. (2001). A study on the analysis of related factors of ICU nurses' attitudes in brain-death organ don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6. Morse, C. J. (2001). Advance practice nursing in heart transplantation. Prog Cardiovasc Nurs, 16(1), 24-28 

  17. Oh, S. E. (2000). The lived experienc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muscular dystroph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8. Parker, P. A., & Kulic, J. A. (1995). Burnout, self- and supervisor- rated job performance and absenteeism among nurses. J Behav med, 18, 581-599 

  19. Patton, M. 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Thousand Oaks, California : SAGE Publications 

  20.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 Nurs Seci, 8, 27-37 

  21. Yi, M. S., Choi, K. S., Son, H. M., & Eun, Y. (2004). Understanding nursing practice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Seoul : Koonja Publishing 

  22. Yi, M. S., Lee, E. O., Choi, M. E., Kim, K. S., Ko, M. H., Kim, M. J., Kim, H. S., Son, J. T., Eom, M. R., Oh, S. E., Lee, K. S., Jang, E. H., Cho, G. J., & Choe, J. S. (2000). Expertise in ICU nursing : A qualitative approach. J of Korean Acad Nurs, 30(5), 1230-12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