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목질진흙(상황)버섯과 동충하초 투여가 운동 시 혈중 피로요인 변화와 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hellinus linteus and Cordceps militaris Supplementation on Blood Fatigue Element Changes and Antioxidant System During Exercise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6 no.7 = no.80, 2006년, pp.1090 - 1096  

백일영 (연세대학교 체육교육과) ,  한대석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박태선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곽이섭 (동의대학교 레저스포츠학과) ,  서상훈 (연세대학교 체육교육과) ,  진화은 (연세대학교 체육교육과) ,  김영일 (연세대학교 체육교육과) ,  우진희 (동아대학교 스포츠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체를 대상으로 목질진흙버섯동충하초 투여 후 운동과 회복 중 피로유발 지연과 항산화 방어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으며, 남자 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목질 진흙버섯 투여군(PL), 동충하초 투여군(CM), 그리고 위약 투여군(PB) 등 세 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해당음료 100ml/day을 구강으로 투여하였고, 투여 전과 후 운동수행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운동수행시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운동수행에 따른 PL군과 CM군의 피로물질 축적이 부분적으로 감소됨을 보였으며, 지질과산화 생성량은 감소되었고, 항산화효소 활성은 향상됨을 나타냈다. 따라서, 목질진흙버섯과 동충하초는 임상치료 목적의 약리작용 뿐만 아니라, 운동 시 에너지 동원과 피로물질 제거, 그리고 조직의 항산화 방어 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 Linteus and C. militaris supplement on lactate, phosphorous, ammonia, MDA(malondialdehyde), GPX(glutathione peroxidase) and TAS(total antioxidant status) following $VO_{2max}$, and 85% $VO_{2max}$ exercise. The 15 m...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목질진흙버섯과 동충하초 투여가 최대 및 최대하부하의 유산소 운동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피로물질의 생성과 항산화 방어 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인체를 대상으로 목질진흙버섯과 동충하초 투여 후 운동과 회복 중 피로유발 지연과 항산화 방어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 알려져 있지만, 암모니아 그 자체가 피로를 유발하는 요인으로서의 타당성 검증에 대해서는 아직도 불분명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질진흙버섯과 동충하초 투여가 운동시 암모니아 축적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는 일관된 근거를 찾기가 힘들었다. 우선 목질진흙버섯 투여군에서 투여 전과 투여 후, 두가지 운동 형태 모두에서 운동종료와 회복시 암모니아 축적의 형태가 일정하게 나타나지 않아 강한 강도의 운동과 최대 하부하에서의 운동 중에 암모니아 축적의 생성근원을 분리하기가 힘들었고, 축적 수치도 서로 교차되는 양상을 보여 목질진흙버섯 투여 효과에 대한 근거가 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긍정적인 도움을 실제로 주진 못하였다. 즉, 목질진흙버섯이 생체 전 반의 생리작용을 활성화 시킨다는 연구와 목질진흙버섯이 함유된 풍부한 탄수화물(다당류)이 에너지 동원에 기여함으로써 운동 수행력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실증할 결과를 얻을 수는 없었다. 또한, 동충하초가 약리적 특성면에서 생체기관 전반의 기능을 증대시켜주는 촉진작용에 기인하여, 지구력과 근력의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2이, 그리고 동충하초에 함유된 풍부한 탄수화물이 지방대사의 전자역할로 지방산화를 촉진시켜 지구성 운동수행의 증진을 보였다는 연구들과 일치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bbas, A. K., A. H. Lichtman & J. S. Pober. 1997.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W.B. Saunders. Co. Philadelpia. pp. 89-95 

  2. Aguilo, A., P. Tauler, I. Gimeno, E. Fuentspina & A. Pons. 2000. Changes in erythrocyte antioxidant enzymes during prolonged submaximal exercise. Biafactars 11, 27-30 

  3. Bao, Z. D., Z. G. Wu & F. Zheng. 1994. Amelioration of aminoglycoside nephrotoxicity by Cordyceps sinensis in old patient. Chin. J. Integr. Med. 14, 271 

  4. Bejma, J., P. Ramires & L. L. Ji. 2000. Free radical generation and oxidative stress with ageing and exercise: differential effects in the myocardium and liver. Acta Physial. Scand. 169, 343-351 

  5. Blomstrand, E. E. & E. A. Newsholme. 1996. Glucose-Fatty acid cycle & fatigue involving 5-hydroxytptamine:Maughan, R. J., and Shirreffs, S. M. eds. In: Biochemisty of exercise IX. Human Kinetics Publishers, Inc. pp185-195 

  6. Cotran, R. S., V. Kumar & Collins, Tucker. 1999. Pathologic Basis of Disease. 6th ed. WB. Saunders Co. Philadelphia. pp494-541 

  7. Demling, R, C. La Londe, P. Saldinge & J. Knox. 1990. Multiple-organ dysfunction in the surgical patient : Pathophysiology, prevention, and treatment. Current Problems of Surgery. 30, 345-351 

  8. Febbraio, M.A & J. Dancey. 1999. Skeletal muscle energy metabolism during prolonged, fatigue exercise. J. Appl. Physiol. 87, 2341-7 

  9. Ikekawa, T., M. Nakanish, N. Uehara & G. Chihara. 1968. Antitumor action of some basidiomycetes, especially Phellinus linteus. Gann 59, 155-157 

  10. Kiho, T., A. Yamane, J. Hui, S. Usui and S. Ukai. 1996. Polysaccharide (CS-F30) from the cultural mycelium of Cordyceps sinensis and its effect on glucose metabolism in mouse liver. Biol. Pharm. Bull. 19, 294 

  11. Kuo, Y. C., C. Y. Lin, W. J. Tsai, C. L. Wu, C. F. Chen & M. S. Shiao. 1994. Growth inhibitors against tumor cells in Cordyceps sinensis other than cordycepin and polysaccharides. Cancer Invest. 12, 611 

  12. Kuo, Y. C., W. J. Tsai, M. S. Shiao, C. F. Chen & C. Y. Lin. 1996. Cordyceps sinensis as an immunomodula tory agent. Am. J. Chin. Med. 24, 111 

  13. Kubo, M., H. Matsuda, M. Tanaka, Y. Kimura, T. Tani, S. Arichi, H. Okuda & M. Kirigiya. 1980. Ganoderma lucidum, fruit body study. Base and Clinic 14, 2455 

  14. Lee, G. D., H. K. Chang & H. K. Kimj. 1997. Antioxidative and nitrite-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Kor. J. Food Sci. Technol. 29, 432-436 

  15. Lee, J. W., S. J. Baek, K. W. Bang, S. W. Kang, S. M. Kang, B. Y. Kim & I. S. Ha. 2000. Biological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the fruit body and cultured mycelia of Phellinus linteus IY001. Kor. J. Food Sci. Technol. 32, 726-735 

  16. Lee, J. W., S. J. Baek, K. W. Bang, Y. S. Kim, M. D. Han & I. S. Ha. 1999. Characteristics of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the fruit body and cultured mycelia of Phellinus linteus IY001. Kor. J. Mycol. 27, 424-429 

  17. Liang, Y. L., Y. Liu, J. W. Yang & C. X. Liu. 1997. Studies on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cultivated Cordyceps sinensis. Phytotherapy Res. 11, 237 

  18. Liu, Y., C. Wu & C. Li. 1991. Antioxidation of Paesilomyces sinensis (S. pnov.). Chin. Med. J. 16, 240 

  19. Lui, J., H. C. Yeo, E. Overvik-Douki, T. Hagen, S. T. Doniger, D. W. Chu, G. A. Brooks & B. N. Ames. 2000. Chronically and acutely exercised rats: biomarkers of oxidative stress and endogenous antioxidants. J. Appl. Physiol. 89, 21-28 

  20. McGuffin M., C. Hobbs, R. Upton , A. Goldberg eds. 1997. Botanical safety handbook. BocaRaton. FL: CRC Press 

  21. McMurray, R. G., B. E. Ainsworth, J. S. Harrell, T. R. Griggs & O. D. Williams. 1998. Is physical activity or aerobic power more influential on reducing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0, 1521-1529 

  22. Rossiter, H. B., E. R. Cannell & P. M. Jakeman. 1996. The effect of oral creatine supplementation on the 1000-m performance of competitive rowers. J. Sports. Sci. 14, 175-179 

  23. Vincent, H. K., S. K. Powers, D. J. Stewart, H. A. Demirel, R. A. Shanely & H. Naito, 2000. Short-term exercise training improves diaphragm antioxidant capacity and endurance. Eur. J. Appl. Physiol. 81, 67-74 

  24. Yates, M. T., L. E. Lambert, J. P. Whitten, I. McDonald, M. Mano, G. Ku & S. J. T. Mao. 1992. A protective role for nitric oxide in the oxidative modific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s by mouse macrophages. Federation of European Biochemical Societies 309, 135-1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