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의 미각기능과 치료에 따른 미각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2005년 4월부터 2006년 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에 구강검사와 방사선검사를 통해 구강작열감증후군으로 진단되어진 환자 33명을 실험군으로 선택하고 같은 기간 내원한 치과환자 중에 구강검사와 설문지를 사용하여, 미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신질환, 약물복용, 구강내 국소적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은 치과환자 100명을 대조군으로 선택하여 각각 전기미각역치를 측정한 후 비교분석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군의 전기미각역치는 대조군에 비해 매우 낮았다. 2. 남성과 여성에서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군의 전기미각역치는 대조군에 비해 각각 낮았다. 3.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의 단일/복수 병소 및 만성도에 따른 미각역치는 차이가 없었다. 4.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군의 치료에 따른 전기미각역치와 NAS는 매우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any changes in taste function with buring mouth syndrome(BMS). 133 subjects (31 males and 99 females) were included for the study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2 groups BMS 33 persons, control 100 persons) and investigated in the Dep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전기미각측정법을 이용해 미각기능의 객관적인 평가를 위한 연구는 진행 되었으나, 주로 정상인에 있어서 연령증가에 따른 미각의 변화나 성별, 흡연 또는 환경요인에 의한 영향, 전신질환에 의한 영향만을 고려하여 시행하였으며, 구강작열감증후군과 같은 증상과 관련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구강작열감증후군을 가진 환자의 전기 미각역치를 측정하여 일반인과 차이가 있는가를 관찰하였으며 또한 치료 전, 후의 미각역치의 차이를 살피고 병소발생 수에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시도하여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이종흔, 김중수. 구강생리학. 3판., 서울, 1989, 신광출판 사, pp.208-231 

  2. 이승우 외. 노인치과학, 서울 ,지성출판사, 2001;113-125 

  3. Guyton, A.C. Hall, J.E.: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9th ed., Philadelpia, 1996, W.B. Sanuders Co., pp.676-677 

  4. 이승우 외. 노인치과학, 서울 ,지성출판사, 2001;222-223 

  5. Zakrzewska JM, Harrison SD.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Orofacial Pain; Pain Reserch and Clinical Management, Vol.14, 2002, Elservier Science B.V.:371-373 

  6. Grushka M. Clinical features of burning mouth syndrom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7;63:30-36. 

  7. Bergdahl M, Bergdahl J. Burning mouth syndrome: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 J Oral Pathol Med 1999;28:350-354 

  8. Grushka M, Sessle BJ, Howley TP. Psychophysical evidence of taste dysfunction in burning mouth syndrome. Chemical Senses 1986;11(4):485-499 

  9. Skouby AP, Zilstorff-Pedresen K. The influence of acetylcholine, menthol and strychnine on taste receptors in man. Acta. Physiol., 1995;34:250-256 

  10. Mahoko N, Sohei E, Hiroshi T. Influence of aging on electrogustometric threshold. journal of the Oto Rhino Laryngological Society of Japan, 1995;98:1140-1153 

  11. Perros P, Counsell C, MacFarlane TW, Frier BM. Altered taste sensation in newly-diagnosed NIDDM. Diabetes Care, 1996;19:768-770 

  12. 고건성. 만성중이염 환자에 있어서 전기미각검사역치에 관한 연구. 대한 이비인후과학회지, 1976;19:377-382 

  13. 심영자, 김경진. Electrogustometer를 이용한 한국여대생의 미각역치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986;15: 176-180 

  14. 김은실. 한국남자대학생의 표준미각 역치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4. 

  15. 박성근, 김선희, 기우천, 최재갑. 한국인에 있어서 연령 증가에 따른 미각의 변화.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8; 23:327-341 

  16. 이용한, 안종모, 박준상, 고명연. 의치착용 환자의 미각.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4;29;311-319 

  17. 김정우, 박준상, 고명연, 안용우. 전기미각측정기를 이용 한 구강편평태선환자의 미각평가.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6;31:113-120 

  18. Murphy C, Quinonez C, Nordin 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lectrogustometry and its application to young elderly persons. Chem. senses, 1995;20: 499-503 

  19. 신동민. Electrogustometry: A simple way to test taste,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96;34:105-109 

  20. Niler K, Nilson B. Intraoral currents of taste threshold. Swed Dent J. 6;105, 1982 

  21. Johansson B, Stenman E, Bergman M. Clinical study of patients referred for investigation regarding so-called oral galvanism. Scand J Dent Res. 1984;92:469 

  22. Nilsson B. Taste acuity of the human palate. 2 Studies with electrogustometry on subjects in different age groups. Acta. Odontol. Scand., 1979;37:217-234 

  23. Nakazato M, Endo S, Tomita H., Yoshimura I. Influence of aging on electrogustometry threshold. Nippon Jibiinkoka Gakkai Kaiho, 1995;98:1140-1153 

  24. Miller IJJr., Bartoshuk LM. Taste perception, taste bud distribution, and spatial relationships. In Getchell, T.V., Doty, R.L.,Bartoshuk, L.M.(eds.): Smell and taste in health and disease, New York, Raven Press, 1991, pp.205-215 

  25. Bloom W, Fawcett DW. Oral cavity and associated gland. A textbook of histology, W.B.Saunders Company Philadelphia, 1968. pp598-617 

  26. 김양희. 미각의 증령적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의학회지, 1979;17:43-47 

  27. Bartoshuk LM, Rifkin B, Marks LE, Bars P. Taste and aging J. Gerontol., 1986;41:51-57 

  28. Bartoshuk LM. Comparing sensory experience across individuals: recent psychophysical advances illuminate genetic variation in taste perception. Chem senses 2000;25:447-460 

  29. Bartoshuk LM, Grushka M, Duffy VB, Fast K, Lucchina L, Prutkin JSD. Burning mouth syndrome: damage to CN VII and pain phantoms in CN V. Chem Senses 1999;24:609 

  30. Grushka M, Sessle BJ, Miller R. Pain and personality profiles in burning mouth syndrome. Pain. 1987;28:155-1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