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약용 및 관상용 자원으로써 기대되는 산자고의 자생지 환경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재배법 및 생태적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자생지 환경은 해발 245 m, 방위는 남향, 자생지 면적은약 $49\;m^2$이고, 건조한 양지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속식물상은 28과 59속 50종 11변종 1품종 등 총 6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자원식물상은 관상용 23종(37.1%), 식용 43종(69.4%), 약용 34종(54.8%), 기타용 29종(46.8%)으로 분류되었다. 토양요인 분석결과, 산도는 pH 4.9, 유기물함량 4.8%, 유효인산 3.6 mg/kg, 치환성 칼륨 $0.5\;cmol^{+}/kg$, 치환성 칼슘 $3.0\;cmol^{+}/kg$, 치환성 마그네슘$0.8\;cmol^{+}/kg$, 양이온치환용량$12.3\;cmol^{+}/kg$, 전기전도도 0.3 dS/m로 나타났다. 화학적 특성간 상관분석결과, 치환성 칼슘과 양이온치환용량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산자고의 생육특성은 초장 7.6cm, 엽폭 0.6 cm, 엽장 12.7cm, 화폭 2.8 cm, 화경장 5.4 cm, 엽록소량은 $34.7\;{\mu}g\;mg^{-1}$로 조사되었다. 생육특성간 상관분석 결과, 초장과 화경장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토양요인과 생육특성간 상관성 분석결과, 치환성 칼륨과 엽장이 높은 상관성으로 보였으나 이들의 관계는 부적 상관성으로 확인되었다. 생육모형 분석 결과, 엽폭과 치환성 칼륨의 설명력은 약 86.4%, 엽록소량과 치환성 칼륨은 약 83.7%였다.
본 연구는 약용 및 관상용 자원으로써 기대되는 산자고의 자생지 환경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재배법 및 생태적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자생지 환경은 해발 245 m, 방위는 남향, 자생지 면적은약 $49\;m^2$이고, 건조한 양지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속식물상은 28과 59속 50종 11변종 1품종 등 총 6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자원식물상은 관상용 23종(37.1%), 식용 43종(69.4%), 약용 34종(54.8%), 기타용 29종(46.8%)으로 분류되었다. 토양요인 분석결과, 산도는 pH 4.9, 유기물함량 4.8%, 유효인산 3.6 mg/kg, 치환성 칼륨 $0.5\;cmol^{+}/kg$, 치환성 칼슘 $3.0\;cmol^{+}/kg$, 치환성 마그네슘 $0.8\;cmol^{+}/kg$, 양이온치환용량 $12.3\;cmol^{+}/kg$, 전기전도도 0.3 dS/m로 나타났다. 화학적 특성간 상관분석결과, 치환성 칼슘과 양이온치환용량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산자고의 생육특성은 초장 7.6cm, 엽폭 0.6 cm, 엽장 12.7cm, 화폭 2.8 cm, 화경장 5.4 cm, 엽록소량은 $34.7\;{\mu}g\;mg^{-1}$로 조사되었다. 생육특성간 상관분석 결과, 초장과 화경장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토양요인과 생육특성간 상관성 분석결과, 치환성 칼륨과 엽장이 높은 상관성으로 보였으나 이들의 관계는 부적 상관성으로 확인되었다. 생육모형 분석 결과, 엽폭과 치환성 칼륨의 설명력은 약 86.4%, 엽록소량과 치환성 칼륨은 약 83.7%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the raw data on the method of cultiva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 by systematical analysing habitat environment of Tulipa edulis that was expected as medicinal and ornamental resource. The habitat environment was that the altitude was 245 m, the aspect of s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the raw data on the method of cultiva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 by systematical analysing habitat environment of Tulipa edulis that was expected as medicinal and ornamental resource. The habitat environment was that the altitude was 245 m, the aspect of south, the size of approximately $49\;m^2$, and there was analyzed that Tulipa edulis grew wild in the dryly sunny spot.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62 taxa; 28 families, 59 genera, 50 species, 11 varieties and 1 forms, and the resource plants were classified that there were 23 taxa of ornamental plants(37.1%), 43 taxa of edible plants(69.4%), 34 taxa of medicinal plants(54.8%) and 29 taxa of others(46.8%). In the results of soil factors analysis, there showed that acidity was pH 4.9, organic matter content of 4.9%, available $P_{2}O_{5}$ of 3.6 mg/kg, exchangeable $K^+$ of $0.5\;cmol^{+}/kg$, exchangeable $Ca^{2+}$ of $3.0\;cmol^{+}/kg$, exchangeable $Mg^{2+}$ of $0.8\;cmol^{+}/kg$, cation exchange capacity(C.E.C) of $12.3\;cmol^{+}/kg$ and electrical conductivity(EC) of 0.3 dS/m.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oil factors, exchangeable $Ca^{2+}$ and C.E.C were highly correlativ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ulipa edulis were surveyed that height was 7.6 cm, leaf width of 0.6 cm, leaf length of 12.7 cm, flower width of 2.8 cm, peduncle of 5.4 cm and chlorophyll of $34.7\;{\mu}g\;mg^{-1}$.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rowth characteristics, height and peduncle were highly correlative.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oil factors and growth characteristics, exchangeable $K^{+}$ and leaf length were high relativity but they were confirmed negative relation. In the results of growth model analysis, R-square of leaf width and exchangeable $K^{+}$ was some 86.4% and that of chlorophyll and exchangeable $K^{+}$ was some 83.7%.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the raw data on the method of cultiva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 by systematical analysing habitat environment of Tulipa edulis that was expected as medicinal and ornamental resource. The habitat environment was that the altitude was 245 m, the aspect of south, the size of approximately $49\;m^2$, and there was analyzed that Tulipa edulis grew wild in the dryly sunny spot.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62 taxa; 28 families, 59 genera, 50 species, 11 varieties and 1 forms, and the resource plants were classified that there were 23 taxa of ornamental plants(37.1%), 43 taxa of edible plants(69.4%), 34 taxa of medicinal plants(54.8%) and 29 taxa of others(46.8%). In the results of soil factors analysis, there showed that acidity was pH 4.9, organic matter content of 4.9%, available $P_{2}O_{5}$ of 3.6 mg/kg, exchangeable $K^+$ of $0.5\;cmol^{+}/kg$, exchangeable $Ca^{2+}$ of $3.0\;cmol^{+}/kg$, exchangeable $Mg^{2+}$ of $0.8\;cmol^{+}/kg$, cation exchange capacity(C.E.C) of $12.3\;cmol^{+}/kg$ and electrical conductivity(EC) of 0.3 dS/m.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oil factors, exchangeable $Ca^{2+}$ and C.E.C were highly correlativ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ulipa edulis were surveyed that height was 7.6 cm, leaf width of 0.6 cm, leaf length of 12.7 cm, flower width of 2.8 cm, peduncle of 5.4 cm and chlorophyll of $34.7\;{\mu}g\;mg^{-1}$.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rowth characteristics, height and peduncle were highly correlative.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oil factors and growth characteristics, exchangeable $K^{+}$ and leaf length were high relativity but they were confirmed negative relation. In the results of growth model analysis, R-square of leaf width and exchangeable $K^{+}$ was some 86.4% and that of chlorophyll and exchangeable $K^{+}$ was some 83.7%.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는 약용 및 관상용 자원으로써 기대되는 산자 고의자생지 환경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재배법 및 생태적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원식물 중 하나인 산자고에 대해 자생지 내 생육특성을 면밀히 검토하여 화훼자원화의 기초이론제공과 아울러 토양인자간 상관성 도출을 통해 재배법 및 생태학적 특성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안 방법
우(동) . 중앙에 생육하는 개체를 샘플링 측정하였다. 조사항목은 초장, 엽장, 엽폭, 화폭, 화경장, 엽록소량을 측정하였고 측정 장비로는 디지털 캘리퍼스(CD-L5CP, Mitutoyo, Japan), 스틸 자(Satinless steel, Kawasa, Japan), 엽록소즉정기 (SPAD-502, Minolta, Japan)를 사용하였다.
중앙에 생육하는 개체를 샘플링 측정하였다. 조사항목은 초장, 엽장, 엽폭, 화폭, 화경장, 엽록소량을 측정하였고 측정 장비로는 디지털 캘리퍼스(CD-L5CP, Mitutoyo, Japan), 스틸 자(Satinless steel, Kawasa, Japan), 엽록소즉정기 (SPAD-502, Minolta, Japan)를 사용하였다. 측정 방법은 초장의 경우 근생엽이 있는 지상부에서 화경이 형성되어 있는 꽃의 정단부까지 수직으로 조사하였고 엽장은 근생엽 전체 길이를, 엽폭은 근생엽의 나비를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은 초장, 엽장, 엽폭, 화폭, 화경장, 엽록소량을 측정하였고 측정 장비로는 디지털 캘리퍼스(CD-L5CP, Mitutoyo, Japan), 스틸 자(Satinless steel, Kawasa, Japan), 엽록소즉정기 (SPAD-502, Minolta, Japan)를 사용하였다. 측정 방법은 초장의 경우 근생엽이 있는 지상부에서 화경이 형성되어 있는 꽃의 정단부까지 수직으로 조사하였고 엽장은 근생엽 전체 길이를, 엽폭은 근생엽의 나비를 조사하였다. 화폭의 경우 산자고는 태양광이 약할 시 화피가 닫히기 때문에 태양광이 강한 12〜13시경에 조사하였고 화경장은 추대되어 개화된 것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초장의 경우 근생엽이 있는 지상부에서 화경이 형성되어 있는 꽃의 정단부까지 수직으로 조사하였고 엽장은 근생엽 전체 길이를, 엽폭은 근생엽의 나비를 조사하였다. 화폭의 경우 산자고는 태양광이 약할 시 화피가 닫히기 때문에 태양광이 강한 12〜13시경에 조사하였고 화경장은 추대되어 개화된 것을 측정하였다. 엽록소는 엽당 3반복 측정한 수치를 산술평균하였다.
화폭의 경우 산자고는 태양광이 약할 시 화피가 닫히기 때문에 태양광이 강한 12〜13시경에 조사하였고 화경장은 추대되어 개화된 것을 측정하였다. 엽록소는 엽당 3반복 측정한 수치를 산술평균하였다.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분석을 위해 토성, 토양산도 (pH), 유효인산(P2O5), 치환성양이온(*, K Ca2+, Mg2+), 양이온 치환 용량(C.E.C), 전기전도도(EC)를 사용하였다.
자생지의 식물상 조사는 2004년 4월, 6월 8월, 10월 중순경에 현지 답사를 통해 수행하였다. 내부는 전수조사를 통해종분류를 하였고 외부는 10 m 내외에 생육하는 식물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생지 환경요인 조사는 해발, 방위의 경우 GPS를 이용하였고 경사는 아날로그식 경사계 (PM-5/360PC, Suunto, Finland), 토양경도는 관입식 경도계(Soil hardness tester, Takemura, Japan)를 사용하였다. 기후는 청주기상대를 기준으로 한 연평균기온, 연평균강수량, 연평균풍속, 주풍향, 극값(최고기온, 최저기온)의 2003년도 문헌 자료를 활용하였다.
기후는 청주기상대를 기준으로 한 연평균기온, 연평균강수량, 연평균풍속, 주풍향, 극값(최고기온, 최저기온)의 2003년도 문헌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생지의 면적은 현장에서 간이 삼각측량을 통해 방안지 작성 후 내업과정을 통해 면적을 환산하였고 개체 수는 rrf당 생육하는 개체를 전수조사하였으며, 산술평균하여 산출하였다.
대상 데이터
그러나 미동산의 경우 양지 기슭에 대군락을 형성하고 있어 본 연구대상지로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선정하게 되었다. 이 지역은 충청북도 청원군 미원면에 위치하고 있고 GPS 좌표는 북위 36° 37', 동경 127° 39' 이다. 조사기간은 2003년 4월 예비조사 후 2004년 4월부터 10월까지 본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 지역은 충청북도 청원군 미원면에 위치하고 있고 GPS 좌표는 북위 36° 37', 동경 127° 39' 이다. 조사기간은 2003년 4월 예비조사 후 2004년 4월부터 10월까지 본 조사를 수행하였다.
토양조사는 생육특성조사와 동일한 5개 지점에서 채취하였고 채취방법은 표층으로부터 약 10cm 깊이에서 시료를 수집하였다.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분석을 위해 토성, 토양산도 (pH), 유효인산(P2O5), 치환성양이온(*, K Ca2+, Mg2+), 양이온 치환 용량(C.
현지 답사를 통해 수행하였다. 내부는 전수조사를 통해종분류를 하였고 외부는 10 m 내외에 생육하는 식물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은 이(1980)의 목록에 따라 작성하였고 식물종 확인 및 분류는 이(1980), 이(1996)의 문헌을 이용하였다.
Takemura, Japan)를 사용하였다. 기후는 청주기상대를 기준으로 한 연평균기온, 연평균강수량, 연평균풍속, 주풍향, 극값(최고기온, 최저기온)의 2003년도 문헌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생지의 면적은 현장에서 간이 삼각측량을 통해 방안지 작성 후 내업과정을 통해 면적을 환산하였고 개체 수는 rrf당 생육하는 개체를 전수조사하였으며, 산술평균하여 산출하였다.
데이터처리
이상의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상관모형을 도출하였고 통계프로그램 인 SPSS Windows for ver. 10(SPSS, Inc., 2000)을 사용하였다.
토양요인과 생육특성간 상관모형 개발을 위하여 종속변수의 경우 생육특성(초고, 엽폭, 엽장, 화폭, 화경장, 엽록소량) 을, 독립변수의 경우 토양요인(산도,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치환성 칼륨, 치환성 칼슘, 치환성 마그네슘, 양이온 치환 용량, 전기전도도)을 지정하여 Stepwise 법에 의거한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생육특성에 있어 엽폭과 엽록소량, 토양인자의 경우 치환성 칼륨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여 상관모형이 성립되지 않았다.
이론/모형
내부는 전수조사를 통해종분류를 하였고 외부는 10 m 내외에 생육하는 식물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은 이(1980)의 목록에 따라 작성하였고 식물종 확인 및 분류는 이(1980), 이(1996)의 문헌을 이용하였다. 또한 자원식물상은 송(1985)의 목록을, 귀화식물은 강과 심(2002)의 문헌에 의해 분류하였다.
3 dS/m로 나타났다. 화학적 특성간 상관분석결과, 치환성 칼슘과 양이온 치환 용량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1'로조사되었다. 생육특성간 상관분석 결과, 초장과 화경장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토양요인과 생육특성간 상관성 분석결과, 치환성 칼륨과 엽장이 높은 상관성으로 보였으나 이들의 관계는 부적 상관성으로 확인되었다. 생육모형 분석 결과, 엽폭과 치환성 칼륨의 설명력은 약 86.
확인되었다. 생육모형 분석 결과, 엽폭과 치환성 칼륨의 설명력은 약 86.4%, 엽록소량과 치환성 칼륨은 약 83.7%였다.
산자고 자생지 확인을 위해 충청북도 내 제천시 백운산, 괴산군 박달산, 보은군 구병산, 청원군 미동산을 탐색한 결과 백운산과 박달산에는 개체 확인을 할 수 없었고 구병산의 경우 산자고가 자생하나 10여개체가 불연속적으로 존재하여 자생지 조사를 할 수 없었다. 그러나 미동산의 경우 양지 기슭에 대군락을 형성하고 있어 본 연구대상지로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선정하게 되었다.
5 kg/cnf로 조사되었다(Table 1). 해발의 경우 삽주가 해발 200〜400 m와 같은 저지대에서 많이 출현하는 것과 유사하게 산자고도 낮은 해발에서 분포하였고 방위의 경우 남향의 양지쪽에서 자생하는 자란(유 등, 2000)과 비슷한 환경에서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생지의 면적은 약 49 rrf로써 nf당 평균 28.
산자고 자생지 주변에서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은 28과 59 속 50종 11변종 1품종 등 총 62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2). 분류단계로 살펴보면 속새강은 1과 1속 1종, 고사리강은 2과 2속 1종 1변종, 나자식물강은 1과 1속 1종, 피자식물 강 중 단자엽식물아강은 6과 18속 16종 3변종, 쌍자엽식물아강은 18과 37속 31종 7변종 1품종으로 분류되 었다.
주요 출현식물목록은 Appendix와 같이 정리되었으며, 자생지 내부의 경우 고사리, 잔디, 강아지풀, 꿩의밥, 산달래, 타래난초, 미나리아재비, 할미꽃, 양지꽃, 꿀풀, 조개나물 등이 확인되었고 자생지 외부의 경우 원추리, 제비꿀, 붉은토끼풀, 장대나물, 사상자, 큰까치수영, 탑꽃, 왕고들빼기, 솜나물, 뱀고사리 등이 조사되었다.
산자고 자생지 내외부로 자생하는 자원식물상을 살펴보면 관상용 자원식물은 23종(37.1%), 식용 자원식물은 43종 (69.4%), 약용 자원식물은 34종(54.8%), 기타용 자원식물은 29종(46.8%)으로 나타났다(Table 3). 대표적인 자원 식물들을 보면 관상용의 경우 원추리, 타래난초, 패랭이꽃 등, 식용의 경우 산달래, 산부추, 왕고들빼기 등, 약용의 경우 이질풀, 무릇, 둥굴레 등, 기타용은 리기다소나무, 괭이사초, 토끼풀 등으로 조사되 었다.
79 c*/kmg ol 보다는 낮게 나타났는데(유등, 2004b) 이는 산자고가 미선나무보다 강산성토양에서 생육하기 때문으로 산성토양에서는 세탈에 의해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이 낮아진다는 것(문 등, 1998)과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종합해보면 산자고는 비교적 척박한 산성토양에서 자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9 ㎍ . mg-1 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나 각 지점별로 통계적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비교적 균일한 생육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26으로 정적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 관계 해석은 초장이 길어질수록 엽장 또한 길어지고 엽장이 길수록 화경장의 생장에 영향을 주며, 화경장이 길수록 화폭이 넓어지는 상호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05)로써 상기 상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Table 10). 결정계수는 0.837로써 약 83.7%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으며, 비표준화 회귀계수가 양(+)의 부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독립변수가 증가할수록 종속변수 또한 비례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치환성 칼륨이 많을수록 엽록소량이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나 정확한 생육자료 획득을 위해서는 칼륨 시비량과 농도와 같은 실험을 통해 정확한 생육 반응을 파악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자생지 환경은 해발 245 m, 방위는 남향, 자생지 면적은 약 49 nf이고, 건조한 양지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속식물상은 28과 59속 50종 11변종 1품종 등 총 62 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자원식물상은 관상용 23종(37.
토양요인 분석결과, 산도는 pH 4.9, 유기물함량 4.8%, 유효 인산 3.6 mg/kg, 치환성 칼륨 0.5 cmol7kg, 치환성 칼슘 3.0 cmol+/kg, 치환성 마그네슘 0.8 cmol+/kg, 양이온 치환 용량 12.3 cmol+/kg, 전기전도도 0.3 dS/m로 나타났다. 화학적 특성간 상관분석결과, 치환성 칼슘과 양이온 치환 용량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후속연구
차후 지역별 수집종간 유연관계분석이나 형태적 특성 간 상관 분석을 통해 정확한 유전형질 검정이 요구되어진다.
7%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으며, 비표준화 회귀계수가 양(+)의 부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독립변수가 증가할수록 종속변수 또한 비례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치환성 칼륨이 많을수록 엽록소량이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나 정확한 생육자료 획득을 위해서는 칼륨 시비량과 농도와 같은 실험을 통해 정확한 생육 반응을 파악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차후 생육모형 및 환경모형 개발을 위해서는 토양습도, 토성 등의 환경요인간 상관성 해석 및 종다양성지수, 식생의상대우점치 등을 활용한 정밀 모형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또한 각 지 역별로 자생하는 산자고에 대한 형질 특성을 파악하여 지역별 모형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각 지 역별로 자생하는 산자고에 대한 형질 특성을 파악하여 지역별 모형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