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산자고 자생지의 생육특성 및 토양요인간 상관모형
Correlation Model between Growth Characteristics and Soil Factors of Tulipa edulis Habitat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19 no.1, 2006년, pp.180 - 188  

유주한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이철희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약용 및 관상용 자원으로써 기대되는 산자고의 자생지 환경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재배법 및 생태적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자생지 환경은 해발 245 m, 방위는 남향, 자생지 면적은약 $49\;m^2$이고, 건조한 양지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속식물상은 28과 59속 50종 11변종 1품종 등 총 6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자원식물상은 관상용 23종(37.1%), 식용 43종(69.4%), 약용 34종(54.8%), 기타용 29종(46.8%)으로 분류되었다. 토양요인 분석결과, 산도는 pH 4.9, 유기물함량 4.8%, 유효인산 3.6 mg/kg, 치환성 칼륨 $0.5\;cmol^{+}/kg$, 치환성 칼슘 $3.0\;cmol^{+}/kg$, 치환성 마그네슘 $0.8\;cmol^{+}/kg$, 양이온치환용량 $12.3\;cmol^{+}/kg$, 전기전도도 0.3 dS/m로 나타났다. 화학적 특성간 상관분석결과, 치환성 칼슘과 양이온치환용량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산자고의 생육특성은 초장 7.6cm, 엽폭 0.6 cm, 엽장 12.7cm, 화폭 2.8 cm, 화경장 5.4 cm, 엽록소량은 $34.7\;{\mu}g\;mg^{-1}$로 조사되었다. 생육특성간 상관분석 결과, 초장과 화경장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토양요인과 생육특성간 상관성 분석결과, 치환성 칼륨과 엽장이 높은 상관성으로 보였으나 이들의 관계는 부적 상관성으로 확인되었다. 생육모형 분석 결과, 엽폭과 치환성 칼륨의 설명력은 약 86.4%, 엽록소량과 치환성 칼륨은 약 83.7%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the raw data on the method of cultiva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 by systematical analysing habitat environment of Tulipa edulis that was expected as medicinal and ornamental resource. The habitat environment was that the altitude was 245 m, the aspect of s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약용 및 관상용 자원으로써 기대되는 산자 고의자생지 환경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재배법 및 생태적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자원식물 중 하나인 산자고에 대해 자생지 내 생육특성을 면밀히 검토하여 화훼자원화의 기초이론제공과 아울러 토양인자간 상관성 도출을 통해 재배법 및 생태학적 특성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강병화, 심상인.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으 발생상황. 한국잡초학회지 22(3): 207-226 

  2. 강현경, 大黑 俊哉, 井手 任. 2003. 절멸위기종 낙지다리 자생지의 식생구조 및 환경특성- 일본 茨城縣 南部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1(2): 83-93 

  3. 구본학, 강재선, 김정욱. 2000. 서해안 임해매립지 녹지공간 토양성분들의 상관성 및 경시적 변화특성. 한국조경학회지 27(5): 161-169 

  4. 기상청. 2003. 기상연보. 기상청.pp.293 

  5. 김대향, 박춘봉, 강찬호, 김종엽, 임주락, 최정식, 최영근. 2003. 천문동자생지 환경 및 생육특성.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1(3): 212-215 

  6. 김도균, 장병문, 김용식. 2000. 임해매립지의 토양환경이 곰속과 느티나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8(4):9-20 

  7. 김승현, 이종석. 1992. 제주도 한라산말나리의 자생지생육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화훼연구회지 1(1):37-46 

  8. 김지연, 이종석. 1998. 복주머니란(Cypripedium macranthum Sw.) 자생지의 생육환경에 관하여. 원예과학기술지 16(1): 30-32 

  9. 김태정. 1996. 한국의 자원식물 V. 서울대학교출판부.pp.165 

  10. 문형태, 표재훈, 김준호. 1998. 여천공단 주변지역 토양의 화학적 성질. 한국생태학회지 21(1): 1-6 

  11. 박정민, 장계현, 이성태, 송근우, 강진호. 2000. 삽주의 자생지환경과 생육특성. 한국약용작물학회지8(4):327-333 

  12. 배기환. 2000. 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pp.544 

  13. 서부일, 이은숙. 2003. 산자고의 독성에 관한 문헌적 고찰. 한약응용학회지 3(1):73-82 

  14. 송주택. 1985. 식물학대사전. 거북출판사. pp. 24-1582 

  15. 송천영, 방창석. 2001. 페튜니아 일대 잡종에서 초장과 개화관련형질의 상호관계 및 조합능력. 한국원예학회지 42(5):601-605 

  16. 신현철, 박남창, 송호경, 최재채, 정영교, 권영한, 이광수, 김영걸. 2002. 후박나무림의 식생구조와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91(6): 765-774 

  17. 안영희, 최광율. 2002. 자생 뻐꾹채의 분포와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원예과학기술지 20(2): 130-137 

  18. 안영희,. 2003. 제주도의 자생 황근 분포와 자생지 생태적 특성. 원예과학기술지 21(4): 440-446 

  19. 유기억, 이우철, 오영주. 1999. 모데미풀의 자생지별 외부형태 및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2(4): 312-323 

  20. 유용권, 오장근, 박천호. 2000. 자란 자생지의 지리적 분포 및 식생. 한국원예학회지 41(2): 212-216 

  21.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조흥원, 김덕식, 이철희. 2004a, 충청북도 미동산의 자원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7(2): 122-134 

  22. 유주한, 조흥원, 정성관, 이철희. 2004b. 미선나무 자생지의 생육특성과 환경특성간의 상관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210-220 

  23.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pp. 1-491 

  24.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pp. 5-791 

  25. 이철희. 2003. 자생식물의 이용과 재배기술.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26. 임진희, 상채규. 1990. 노루귀(Hepatica asiatica Nakai) 재배화를 위한 자생지 생육환경에 관하여. 한국원예학회지 31(1): 81-89 

  27. 정정학, 김기선, 홍영표. 1991. 한국 자생 나리의 분포와 자생지의 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원예학회지 32(2): 270-277 

  28. 정정학. 1999. 한국 자생 둥근잎꿩의 이름(Sedum rotundifolium)의 분포와 생육환경 및 자생지에서의 형태적 특성조사. 원예과학기술지17(4): 501-503 

  29. 정진현, 구교상, 이충화, 김춘식. 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6): 694-700 

  30. 조인상, 허봉구, 김이열, 조성진. 1985. 우리나라 토양의 물리화학적특성 상화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8(2): 134-139 

  31. 최종명, 정석기, 차기휴, 정해준, 서관석. 2000. 칼퓸의 시비농도 조절에 따른 딸기 '여봉'의 결핍증상, 생육 및 무기원소 흡수. 원예과학기술지 41(4): 350-355 

  32. 허권, 이채곤, 장민영, 조동하, 유창연. 2000. 금낭화의 생육특성 및 자생지 식생조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3(3): 188-194 

  33. Marschner, H. 1995. Mineral nutrition of higher plants. 2nd ed. Academic Press. Inc. San Diego. pp. 436-47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