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술로서의 패션 - Morris Weitz의 '예술에 대한 열린 개념'을 중심으로 -
Fashion as Art - Based on Morris Weitz's Open Concept of Art -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5 no.1 = no.227, 2007년, pp.1 - 7  

이예영 (고려대학교 가정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of fashion as art by examining whether or not university students, rather than professional art critics, consider fashion to be art. The survey subjects were 146 university students, randomly chosen from textiles and clothing-related classes offered in 4 differ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aiser(1997: 4)는 패션을 과정 과 대상'으로 설명하였는더〕, 과정으로서의 패션은 새롭게 창조되어 대중에게 소개된 후 널리 받아들여지는 역동적인 사회적 현상을 의미하고 (Sproles, 1979: 5), 대상으로서의 패션은 특정 시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는 스타일을 의미한다 (Kefgen & Touchie-Specht, 1986), 그러므로 대상적 개념으로서의 패션 역시 복식에 포함된다 할 수 있다 (김민자, 2004: 17).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복식에 포함되는 개념이며 복식미학의 핵심 연구 대상인 패션이 과연 예술인지에 관해 논하고자 한다. 오늘날의 패션은 대량생산을 위한 스타일과 사이즈의 표준화와 빠른 유행의 변화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예술의 개념에 포함시키기에 많은 논쟁의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 예술에 대한 열린 개념적 시각은 새로운 예술 운동과 형태를 기존 예술과의 유사성을 이용해 예술의 일부로 받아들일 수 있는 논리적 기반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예술과 많은 유사성을 지니면서도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 패션을 예술적 측면에서 논하는데 Weitz(1967)의 예술에 대한 열린 개념을 적용하도록 하겠다.
  • 본 연구에서는 패션이 예술인지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Morris Weitz의 예술에 대한 열린 개념(the open concept of fashion)' 을 중심으로 논하도록 하겠다. 설문 조사는 2005년 9월에서 2006년 6월 사이에 서울 시내 4 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14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분석한 내용을 중심으로 응답자들이 예술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있는지 확인한 후, 패션과 예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과연 패션이 예술인지에 관해 논하도록 하겠다.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기에 앞서, 복식 또는 패션과 예술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후 이어 본 논문에서 이론적 틀로 사용할 Morris Weitz의 '예술에 대한 열린 개1!' 을 소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 패션은 예술인가? 3. 패션이 예술이라면 왜 그렇다고 생각하는가? 또한, 아니라면 왜 아니라고 생각하는가? 평상시에 예술과 패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응답자들의 자연스럽고 다양한 답변을 유도하기 위하여 질문에 대해 자유롭게 기술하는 응답 방식을 택하였다.
  • 예술이란 무엇인가? 2. 패션은 예술인가? 3. 패션이 예술이라면 왜 그렇다고 생각하는가? 또한, 아니라면 왜 아니라고 생각하는가? 평상시에 예술과 패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응답자들의 자연스럽고 다양한 답변을 유도하기 위하여 질문에 대해 자유롭게 기술하는 응답 방식을 택하였다. 응답 결과는 공통되거나 비슷한 단어나 표현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 둘째, 패션과 예술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 둘째, 예술 작품 창조에는 일정한 법칙이 존재한다. 셋째, 예술이란 표현이다. 넷째, 예술은 자연 그대로가 아닌 인간 행위의 창조물이다.
  • 셋째, 패션은 예술인가?
  • 첫째, 예술이란무엇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강손근(역) (1995). 미와 예술의 논리. 木幡順三의 美と 藝術の論理 서울: 집문당 

  2. 김민자 (1989). 예술로서의 의상디자인: 인상주의와 의상. 대한가정학회지, 27(2), 1-19 

  3. 김민자 (2004). 복식미학 강의1. 서울: 교문사 

  4. 김정선 (1996). 빅토리아 시대 유행복식과 반유행복식 운동에 나타난 여성성과 인체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양숙희 (편역) (1997). 복식과 예술: 예술가와 모드. E. Thiel의 Kuunstler und mde: Vom modeschopfer zum modegestalter. 서울: 교학연구사 

  6. 윤난지 (역) (1993). 20세기의 미술. N. Lynton의 The history of modern art. 서울: 예경 

  7. 이주연 (1992). 라파엘 전파 회화에 표현된 복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임범송, 김해룡 (1990). 미학에의 초대. 서울: 이웃 

  9. 정흥숙 (1989). Art Nouveau와 Art Deco 예술 양식을 통해 본 복식의 조형예술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Kaiser, S. B. (1997).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 (2nd ed.).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11. Kefgen, M., & Touchie-Specht, P. (1986). Individuality in clothing selection and personal appearance (4th ed.). New York: Macmillan 

  12. Kim, S. B. (1998) Is fashion art? Fashion Theory, 2(1), 51-72 

  13. Mackrell, A. (2005). Art and fashion: The impact of art on fashion and fashion on art. London: Batsford 

  14. Parker, D. (1953). The nature of art. In E. Vivas & M. Krieger (Eds.), The problems of aesthetics (pp. 90-104). New York: International Thomson Publishing 

  15. Roach-Higgins, N. E., & Eicher, J. B. (1992). Dress and identity.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4), 1-8 

  16. Sproles, G. B. (1979). Fashion: Consumer behavior toward dress. Minneapolis: Burgess 

  17. Tatarkiewicz, W. (1980). A history of six ideas: An essay in aesthetics. Warszawa: PWN-Polish scientific publishers 

  18. Weitz, M. (1967). The role of theory in aesthetics. In M. C. Beardsley & H. M. Schueller (Eds.), Aesthetic inquiry: Essays on art criticism and the philosophy of art (pp. 3-11). Belmont, CA: Dickenson Publishing Company, Inc 

  19. Wittegenstein, L. (1953).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G. E. Anscombe, Trans.). New York: Macmill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