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과학습과 연계한 학습독서의 실제
A Practice of Reading to Learn Linking the Subject Learning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38 no.1, 2007년, pp.423 - 441  

송기호 (영신고등학교)

초록

독서능력은 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그리고 평생학습능력을 위한 핵심능력이며, 학습독서는 자원기반학습이나 탐구기반학습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독서의 한 방법으로서 통합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교과교사와의 협력을 통해서 완성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과정과 협동수업을 위한 구체적인 학습모형으로서 독서기반 정보문제 해결모형을 소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ading abilities are the key for students' problem-solv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lifelong competency. Reading to learn is usually created through resources-based learning or inquiry-based learning. This study shows a integrated cross-curriculum approach as a alternative method of the reading ...

주제어

참고문헌 (37)

  1. 이재승, ‘구성주의와 독서교육,’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을 여는 학교 독서교육 (대전 : 충청남도교육과학연구원,2000), pp.5-16의 내용을 요약함 

  2. 독서의 기능이란 독서가 개인과 사회에 끼치는 긍정적인 영향으로 문화적 기능, 사회적 기능, 교육적 기능 그리고 생활적 기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박영모, ‘학습사회와 독서.‘ 독서연구, 창간호 (1996), p.94 

  3. 김지도, 초등학교 독서교육 (서울 : 교학사, 1998), pp.19-24 

  4. 남미영, 엄마가 어떻게 독서지도를 할까 (서울 : 대교출판, 1998), pp.19-21 

  5. 김지도 , op. cit., pp.32-34 

  6. 신헌재 등, 독서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 : 박이정, 1993), pp.29-36 

  7. AASL/AECT,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for Student Learning (Chicago: ALA, 1998), pp.45-46 

  8. 학생들은 문제인식(가설 설정), 정보수집(탐구의 설계 및 수행), 정보의 조직화(자료의 해석 및 분석), 논리적으로 생각하기(논리적 추론), 결론도출 이라는 문제해결과정을 통해서 논리적 사고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민섭, 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서울: 한이름, 1993), pp.1l-16 

  9. ASLA, Policy Statement-Resource Based Learning and the Curriculum. . [cited 2006. 10. 2] 

  10. EBC. What is inquiry-based learning . [cited 2006. 10. 2] 

  11. Barbara K. Stripling, Sandra Hughes-Hassell, Curriculum Connections Through the Library (London Libraries Unlimited. 2003). p.8 

  12. 유현숙,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관리 방안 연구 (III)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2003). p.32 

  13. 이석재 등,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 의사소통능력 . 문제해결능력 . 자기주도 주습능력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3) 

  14. Barbara K. Stripling, Sandra Hughes-Hassell, Curriculum Connections Through the Library (London Libraries Unlimited, 2003). pp.7 -8 

  15. 전경원, 박정옥, 창의적인 문제해결력 (서울 서원, 1997), p.88 

  16. 서혜애, 창의성 계발 교수 . 학습모형 및 자료개발 연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2002), p.24 

  17. IRA, Adolescent Literacy : A Position Statement For the Commission Adolescent Literacy of Th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1999-2000, [cited 2006. 10. 20] 

  18. Carol A. Kearney. Curriculum Parter: Redefining the Role of the Library Media Specialist (London : GreenWood Press. 2000). pp.2-5 

  19.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습능력향상을 위한 초등독서지도자료 (서울 : 同교육청. 2005) 

  20. 김용철 등, 초등학교 정보와도서관 (서울 : 대한교과서. 2002) 

  21. Jenny Hamilton. RESOURCE-BASED LEARNING ACTIVITIES IN HISTORICAL STUDIES. 2004. [cited 2006. 10. 2] 

  22. 송기호 등, 독서를 통한 정보활용능력 가이드 개발 : 초등학생용 (서울 : 사단법인 국민독서문화진흥회. 2005).pp.93-96 

  23. 함명식, 문헌정보교육학개론 (대구 : 태일사. 2003). p.417. 423. 430 

  24. Ibid., p.418 

  25. 교육인적자원부,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교도서관 운영편랍 (서울 : 同교육청, 2003), p.107 

  26. Babara K. Stripling, Sandra Hughes-Hassell, op. cit., p.4 

  27. Carol A. Doll, Collaboration and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Maryland : The Scarecrow Press, Inc. 2005), pp,4-5 

  28. Silvana Carletti, Suzanne Girard, Kathlene Willing, The Library/Classroom Connection (Ontario Pembroke Publishers Limited, 2001), p.11 

  29. Ibid., p.10 

  30. Peter Milbury. 'Collaboration: Ten Important Reasons to Talk It Seriously:’ Knowledge Quest (2005. 3.),pp.30-32 

  31. 외국의 사례를 보면. 협동수업은 학교 최고 경영자가 전 교과에 적용하도록 강제하는 것보다는 사서교사가 1-2명의 교과교사와의 인간적인 유대관계를 바탕으로 1년에 1-2번 정도 실시하고 학년 및 교과단위로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Carol A. Doll, Carol A. Doll, op. cit., p.20 

  32. 자크 아탈리, 인간적인 길 : 새로운 사회민주주의를 위하여, 주세열 옮김 (서울 : 에디터,2006), p.158 

  33. Lawrence Leonard, Pauline Leonard. The Continuing Trouble with Collaboration: Teachers Talk. Current Issues in Education (2003. 6), [cited 2006. 5. 18.] 

  34. Silvana Carletti, Suzanne Girard, Kathlene Willing, op. cit., p.25 

  35. 송기호, 학교도서관 교육의 실제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6), p.337 

  36. 이 모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연구보고서와 단행본 등을 참조하기 바람. 송기호,이상훈,이승길,이수경,독서를 동한 정보활용능력 가이드 개발 : 초등학생용 (서울 . 사단법인 국민독서문화진흥회, 2005) : 송기호, 이상훈, 이승길, 이수경, 독서를 통한 정보문제 해결능력 기르기 (서울 : 사단법인 국민독서문화진흥회, 2005):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인용 2006. 11. 10] 

  37. 송기호 이상훈, 이승길, 이수경, 독서를 통한 정보문제 해결능력 기르기 (서울 : 사단법인 국민독서문화진흥회,2005), pp.183-18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