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3-10학년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기초탐구과정 분석: 관찰 및 측정 탐구요소를 중심으로
Analyses of the Basic Inquiry Process in Korean 3-10 Grade Science Textbooks: Focused on Observation and Measurement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7 no.5, 2007년, pp.421 - 431  

박보화 (단국대학교) ,  김희경 (단국대학교) ,  이봉우 (강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3학년부터 10학년까지의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기초탐구과정 중 관찰과 측정이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찰에서는 시각을 많이 사용하고, 고학년으로 올라가면서 관찰의 수준이 높아져 '단순관찰'에서 '비교하며 관찰하기'의 수가 증가하였고, 언어표현보다 글표현 방식이 증가하였다. 측정대상은 온도측정이 가장 많았고, 저학년에서 고학년보다 측정 설계가 많이 발견되었다. 측정도구의 사용법은 학년에 맞게 계획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교과서의 탐구활동에서 관련된 측정도구가 제시될 때 설명되어 학생들이 측정방볍을 체계적으로 학습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었다. 학년이 올라가면서 정성적 측정에서 정량적 측정이 많아졌으며, 단순측정보다 조작측정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측정결과의 활용에서는 단위사용, 단위변환, 유효 숫자처리, 오차와 불확실도 등에 대한 내용은 거의 제시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observation and measurement inquiry process in the Korean science textbooks. For the inquiry process of observation, the higher grade textbooks contained more 'comparative observation' rather than 'simple observation'. Students should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외국의 교육과정에서 가장 강조된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측정 대상과 측정 도구의 사용이다(이봉우, 김희경, 2007). 본 연구에서는 측정 대상을 도구나 기계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대상, 즉 어떤 물리량을 측정하는지로 구분하였으며 학년별 측정에 사용하는 도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과 측정 도구를 연결하여 분석하였다. 측정에 있어 기본적인 물리량에 해당하는 길이, 질량, 온도, 부피, 시간, 무게 등을 각각 소항목으로 정하였고 다른 물리량은 기타 항목으로 정하였다.
  • 새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 포함되는, 자유 탐구'를 위한 내용에는 여러 탐구요소들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 속에 관찰과 측정 탐구요소가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새로운 교과서 속에 포함될 탐구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신장시켜야 할 탐구능력의 기준을 세우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탐구과정 중 관찰과 측정 탐구요소가 우리나라 과학 교과서에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관찰과 측정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도구와 감각 사용', , 관찰의 단계', '결과 표현', '조작 여부', 관찰 목적 유무', '관찰자'의 6개의 범주와 26개의 세부범주로 되어 있는 관찰 탐구요소 분석틀과 '어림하기', '측정설계', , 측정 대상', '측정의 단계', '측정 도구의 사용', , 측정 결과 활용', , 측정자'의 7개의 대범주와 26개의 세부범주로 되어 있는 측정 탐구요소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탐구과정 중에서 관찰과 측정탐구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틀을 개발하여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여 실제 학교 과학 수업에서 관찰 탐구요소와 측정 탐구요소가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여러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찰 탐구요소 분석틀과 측정 탐구요소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 그러나 우리나라의 과학교육과정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고 해서 학교 현장에서 탐구 교육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볼 수는 없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탐구활동의 모습을 교과서 속에서 찾아보려는 것이다. 그 첫 번째 연구로 기초탐구과정이 교과서 속에서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 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5). 성공적인 중학 과학 탐구수업을 위한 길라잡이 자료 

  3. 서정아 (2002). 측정이론에 관한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선개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455-465 

  4. 이봉우 (2005). 외국 과학교육과정의 탐구기준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873-884 

  5. 이봉우, 김희경 (2007). 외국 과학교육과정의 관찰과 측정 기준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87-96 

  6. 이재봉, 이성묵 (2006) 학생들의 측정불확실도 개념의 결핍으로 인한 물리탐구과정에서의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81-591 

  7. 조희형, 최경희 (2000). 과학 교수 학습과 수행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8. Abd-EI-Khalick, F, Bell, R. L., & Lederman, N. G. ( 1998).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Making the unnatural. Science Education, 82, 417-436 

  9.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65). Science - A Process Approach. Washington, DC: Ginn and Co 

  10.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4). Benchmarks for Scientific Literacy: Project 2061. New York, USA Oxford University Press 

  1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0). Science - A Process Approach II. Delta Education, Inc 

  12. Bell, R. L., Blair, L. M, Crawford, B. A, & Lederman, N. G. (2003) . Just do it? Impact of science appren- ?ticeship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Joum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487-509 

  13. Buffler, A, Allie, S., Lubben, F & Campbell, B. (2001). The development of first year physics students' ideas about measurement in terms of point and set paradigm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11), 1137-1156 

  14. Chadwick, B., & Barlow, S. (1994). Science in perspective: Book 1. Marrickvil. Australia: Science Press 

  15. Driver, R, Gott, R, Johnson, S., Worsley, C, & Wylie. F (1982). Science in Schools. Age 15: Report No1. London: HMSO 

  16. Germann, P. J., Haskins, S., & Auls, S. (1996). Analysis of nine high school biology laboratory manuals: Promoting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 475-499 

  17. Hodson, D. (1998). Is this really what scientists do? Seeking a more authentic science in and beyond the school laboratory. In J. J. Wellington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tpp. 93-108). NY: Routledge 

  18. Klopfer, L. (1990). Learning scientific inquiry in the student laboratory. In E. Hegarty-Hazelflid.), The student laboratory and the science curriculum (p.101 ). London: Rutledge 

  19. Lubben, F, Campbell, B., buffler, a., & Allie, S. (2001). Point and set seasoning in practical science measurement by entering university freshman. Science Education, 85(4), 311-327 

  20. Malcolm, C. (1987). The science framework P-10: Science for every child. Melbourne, Australia: Ministry of Education 

  21.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USA: National Academy Press 

  22.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USA: National Academy Press 

  23. Park, Jongwon & Kim, Ikgyun. (2004). Classification of Students' Observational Statements in Science. in R Nata (Ed.), Progress in Education, Vol.13. (pp.139-154) NY: Nova Science Publishers, Inc 

  24. Penner, D. E., & Klahr, D. (1996). The interaction of domain-specific knowledge and domain general discovery strategies: A study with sinking objects. Child Developrrent, 67 

  25. Tamir, P. & Lunetta, V. N. (1981). Inquiry related tasks in high school science laboratory handbooks. Science Education, 65, 477-484 

  26. Welch, W. W. (1981). Inquiry in school science. In N. Hams, & R. Yager, Project synthesis, What research says, Vol 3 NSTA 

  27. Wellington, J. J. (1998). Practical work in science: time for a reappraisaL In J. J. Wellington(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pp. 3-15). NY: Routled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