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MBL실험에 대한 인식
Perceptions on 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Experiments of Science Teachers that Participated in In-Service Train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7 no.1, 2007년, pp.59 - 69  

박금홍 (전북대학교) ,  구양삼 (전북대학교) ,  최병순 (한국교원대학교) ,  신애경 (한국교원대학교) ,  이국행 (전북대학교) ,  고석범 (전북대학교)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과학실험의 새로운 방법으로 학교현장에서 도입 단계에 있는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MBL실험에 대하여 초 중 고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초 중 고등학교의 과학교과서에 나오는 실험 주제 중 MBL(microcomputer based laboratory) 실험으로 대체할 수 있는 실험주제를 세 가지씩 선정 하여 초 중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에게 연수를 실시한 후 MBL실험 연수 내용 MBL실험기대효과 연수 후 MBL실험 적용 의지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 중 고등학교 교사 모두 MBL실험 연수가 매우 유익하고 유용하다고 생각하였으나 연수내용 수준에 대하여 약간 높게 생각하였다. 또한 MBL실험에 대한 기대효과로는 컴퓨터를 이용하는 MBL실험은 정확하고 빠르게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 할 수 있어 실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단축된 실험시간을 실험결과를 분석하고 토론하는 활동에 활용할 수 있어서 올바른 개념 형성과 그래프 해석 능력 및 탐구력 신장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실험기구 조작 능력 향상에는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의 교사들은 연수 후에 과학실험 수업에 바로 이용하려는 의지가 높게 나타났으나, 새로운 교육과정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MBL실험을 위한 도구 구입과 낙후된 실험실 여건, 교사 연수 기회 부족 등이 장애라고 지적하였다. MBL실험의 확장 적용을 위해서는 MBL실험 도구의 단가를 낮추기 위한 기술 개발 및 각종 센서의 제작 보급과 함께 MBL실험 자료 개발과 교사연수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on MBL (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experiment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the expecting effects of MBL experiment and application of MBL experiment after conducting MBL experiment training for science classes in schools. This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검토 및 수정을 거쳐 개발하였다. 설문지 전체문항의 형태는 5단계 리커트척도로 응답하거나 '예'와 , 아니오, 또는, 그렇다, 와, 그렇지 않다'와 "기타 의견, 을 선택하여 응답한 후에 이유를 진술하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MBL실험 연수 내용'에 대한 4문항은 5 단계 리커트척도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 'MBL실험의 기대 효과, 에 대한 문항은 전체 4개 문항으로, 그렇다, , , 그렇지 않다, , , 기타, 로 응답한 후 그 이유를 기술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MBL실험의 기대 효과에 대한 세부 범주별 교사들의 인식 분포를 표 5에 제시 하였는데 연수에 참여한 초 .
  • , MBL실험 연수 내용, 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문항 내용은 '연수의 유익성, 연수시간의 적절성, 연수내용의 수준, 학교 현장에서의 유용성, 의 4개 문항이며 5등급의 리커트척도로 평가하였다. MBL실험 연수에 대한 나머지 4개의 문항에 대한 응답 결과는 표 4에 정리하였으며 각 문항별 응답의 평균은 그림 1에 제시하였다.
  • 'MBL실험 연수 내용'에 대한 4문항은 5 단계 리커트척도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MBL실험의기대효과, 와, 연수 후 MBL실험 적용 의지, 에 대한 영역은 전체 8문항 중에서 7문항은 '그렇다' 혹은 '그렇지 않다', '기타 의견'을 선택한 후에, 이유를 기술하는 형식으로 구성하였으며, 나머지 'MBL실험을 도입할 때 장애 요인, 문항은 7개의 보기를 제시한 후순위를 정하도록 하였다. 7개의 보기 문항은 2004년 교사 연수 중에 교사들이 제시한 장애 요인들을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 , 연수 후 MBL실험 적용 의지, 에 대한 문항은 4개 문항으로 3개 문항은 긍정적 혹은 부정적 응답과 그 이유를 기술하는 방법으로 구성하였고, 나머지 1개 문항은 7개의 보기를 제시하여 순위를 정하도록 하였다. 연수 후 MBL실험 적용의지에 대한 세부 범주별 교사들의 인식 분포는 표 10과 같으며 교사들의 긍정적 인식 비율은 그림 3에 나타내었다.
  • , MBL실험의기대효과, 와, 연수 후 MBL실험 적용 의지, 에 대한 영역은 전체 8문항 중에서 7문항은 '그렇다' 혹은 '그렇지 않다', '기타 의견'을 선택한 후에, 이유를 기술하는 형식으로 구성하였으며, 나머지 'MBL실험을 도입할 때 장애 요인, 문항은 7개의 보기를 제시한 후순위를 정하도록 하였다. 7개의 보기 문항은 2004년 교사 연수 중에 교사들이 제시한 장애 요인들을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 실험 주제에 따른 MBL실험 안내서가 제시 되었으나 대부분의 교사들이 MBL실험에 대하여 처음 접하였기 때문에 연수강사의 실험안내를 받으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세가지 주제의 실험 활동을 마친 후 설문지를 나누어주고 작성하도록 하였다.
  • 중 . 고 교사들의 인식을 각각 비교하여 보았다.
  • 중. 고 교육현장에 컴퓨터에 기반을 둔 새로운 실험 방법인 MBL실험의 도입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과학실험연수 과정에 있는 교사들에게 몇 가지 주제의 MBL실험 연수를 실시한 후, MBL실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였는데 첫 번째는 MBL실험 연수 내용에 대한 인식, 두 번째는 MBL실험의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 세 번째는 연수 후 MBL실험 적용 의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 중 . 고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실험주제 중 각각 세 가지 주제씩 선정하여 컴퓨터, 인터페이스, 센서를 사용하는 MBL실험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MBL 실험들을 전라북도교육청에서 주관한「초 .
  • 설문지는 교사의 개인적인 배경에 관한 문항(6문항), MBL실험 연수 내용에 대한 문항(4문항), MBL 실험의 기대효과에 대한 문항(4문항), 연수 후 MBL 실험 적용 의지에 대한 문항(4문항) 등 전체 18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과학교육전문가 4인과 현장교사 2 인의 검토 및 수정을 거쳐 개발하였다. 설문지 전체문항의 형태는 5단계 리커트척도로 응답하거나 '예'와 , 아니오, 또는, 그렇다, 와, 그렇지 않다'와 "기타 의견, 을 선택하여 응답한 후에 이유를 진술하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 고등학교 교사 모두 4인 1조 또는 3인 1조의 모둠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실험 주제에 따른 MBL실험 안내서가 제시 되었으나 대부분의 교사들이 MBL실험에 대하여 처음 접하였기 때문에 연수강사의 실험안내를 받으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세가지 주제의 실험 활동을 마친 후 설문지를 나누어주고 작성하도록 하였다.
  • 고등학교 교사들의 응답 비율은 유사하였다. 이 문항에 대해 응답을 한 교사들이 기술한 이유를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으로 나누어 범주화 시켜 백분율로 비교하여 보았다(표 8).
  • 7%가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그림 2). 이 문항에 대해 응답을 한 교사들이 기술한 이유를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으로 나누어 범주화 시켜 비교하여 보았다(표 6). 표 6에서 선택형 무응답은 설문에 응답하지 않은 인원수를 의미하며 서술형 무응답은, 그렇다' 혹은, 그렇지 않다, 로 응답은 하였으나 그 이유를 기술하지 않은 인원수를 의미한다.
  • 이 문항에 대해 응답을 한 교사들이 기술한 이유를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으로 나누어 범주화시켜 비교하여 보았다(표 7).
  • 고 교육현장에 컴퓨터에 기반을 둔 새로운 실험 방법인 MBL실험의 도입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과학실험연수 과정에 있는 교사들에게 몇 가지 주제의 MBL실험 연수를 실시한 후, MBL실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였는데 첫 번째는 MBL실험 연수 내용에 대한 인식, 두 번째는 MBL실험의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 세 번째는 연수 후 MBL실험 적용 의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런데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3학년에서 5학년까지는 주제 중심, 6, 7학년은 주제와 개념중심, 8학년 이상은 개념 중심으로 단원 내용이 구성되어있다(교육인적자원부, 2001).
  • 고 교사들의 생각을 탐색해 보고 MBL실험 도입 가능성에 대한 시사점을 찾기 위하여 과학실험 연수 과정 에 있는 초 . 중, 고등학교 교사들에게 각각 연수를 실시한 후, MBL실험 연수 내용, , , MBL실험의 기대 효과, , , 연수 후 MBL실험 적용 의지, 등 3영역에 대하여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대상 데이터

  • 초등학교 교사는 전공 구분이 뚜렷하지 않아 구분을 하지 않았다. 설문에 응답한 149명의 교사 모두, MBL실험 도입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 이들 중 설문에 응답한 초등 93명, 중학교 30명, 고등학교 26명, 전체 149명의 교사들의 응답 결과로부터 MBL실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응답한 교사들의 구성 특성을 표 1에 제시하였다.
  • 전라북도교육청에서 주관한 2005년 과학교사 실험 연수 대상자 158명(초등학교 교사 : 96명 , 중학교 교사 : 32명^, 고등학교 교사 : 30명)을 대상으로 MBL 실험 연수를 실시한 후에 설문조사를 하였다.

데이터처리

  • 중 . 고등학교 교사의 수가 동일하지 않으므로 빈도수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MBL실험의 기대효과에 대한 긍정적 응답 비율은 그림 2에 정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교육인적자원부 (2001).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구양삼, 박금홍, 최병순, 신애경, 이국행, 고석범 (2006). 토론을 강조한 MBL실험 수업에서 리더유형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 특성. 대한화학회지, 50(6). 494 -505 

  3. 김덕곤 (2005). MBL을 이용한 전기회로 실험 매뉴 얼 작성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4. 박금홍, 구양삼, 최병순, 신애경, 이국행, 고석범 (2005). 중학생들의 끓는점 학습에서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실험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867 -872 

  5. 송인범 (2004). 물질의 상태변화 수업에 적용한 MBL 실험의 효과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6. 유병길 (2006). 초등학생의 컴퓨터 기반 실험 수업 효과. 초등과학교육, 25(1), 1-7 

  7. 이재희, 장세중 (1997). 디지털 비디오를 이용한 운 동 분석 프로그램의 개발. 물리교육, 15(2), 129-134 

  8. 이향미 (2002). 고등학생의 역학적 에너지 보존학습 에서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상호작용적 시범 실험 수업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전재록 (2004). 운동 제2법칙에서 MBL의 현장 적 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10. 차상옥 (1998). 비디오 차메라와 시융레이션을 이용 한 역학단원 지도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11. Adams, D. D., & Shrum J. W. (1990). The effects of 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exercises on the acquisrtion of line graph construction and interpretation skills by high school biology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8), 777-787 

  12. Atar, H. Y (2002). Chemistry students' challenges in using MBL's in science laboratories. 23p.: In proceedings of the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teachers in science(Charlotte, NC, January 10-13, 2002); see SE 066 324 

  13. Castleberry, S. J., Culp, G. H., & Lagowski, J. J. (1973). The impact of computer-based instructional methods in general chemistry.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50, 469-476 

  14. David, W. R, Keith, B. L., & Campbell, J. M (2004). Role of the 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display in supporting the construction of new understandings in thermal phys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2), 165-185 

  15. Enochs, L. G., Scharmann, L. C, & Riggs, I. M (1995). The relationship of pupil control to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self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Science Education, 79(1), 63-75 

  16. Friedler, Y, Nachmias, R, & Linn, M C (1990). Learning scientific reasorring skills in microcomputer-based laboratori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2), 173-191 

  17. Gangoli, S. G. (1995). A study of the effect of a guided open-ended approach to physics experi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7(2), 233-241 

  18. Good, R, & Berger, C (1998). The computer as a powerful tool for understanding science. In Mintzes, J, J. Wandersee, J. H., & Novak J, D. (Eds.), Teaching science for understanding. San Diego: Academic Press. 

  19. Heck, R. H. (1990). Secondary science teachers' attitudes about 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techniques: Instructional uses and needed improvements. Computers in the Schools, 7(3), 71-85 

  20. Lapp, D. A, & Cyrus, V. F. (2000). Using data-collection devices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Mathematics Teacher, 93(6), 504-10 

  21. Leonard, W. H. (1983). An experimental study of a BSCS-style laboratory approach for urriversity general biolog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9), 807-813 

  22. Nakhkeh, M B. (1994). A review of microcomputer -based labs: How have they affected science learning? Journal of Computers in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ing, 13(4), 368-381 

  23. Rogers, L. T. (1995). The computer as an aid for exploring graphs. School Science Rewiew, 76, 31-39 

  24. Roth, W. (1989). Experimenting with temperature probes. Science and Children, 27(3), 52-54 

  25. Shymansky, J. A, Kyle, W. C, & Alport, J. M (1983). The effects of new science curricula on student performa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387-404 

  26. Stein, J. S., Nachrnias, R, & Friedler, Y (1990). An experimental comparison of two science laboratory environments: Traditional and microcomputer-based.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6(2), 183-202 

  27. Tamir, P. (1977). How are the laboratories used?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4(4), 311-316 

  28. Thornton, R K. (1987). Tools for scientific thinking microcomputer-based laboratories for physics teaching. Physics Education, 22(4), 230-238 

  29. Tbornton, R, & Sokoloff, D. (1990). Learrring motion concepts using real-time 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tool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58(9), 858-866 

  30. Tobin, K. (1990). Research on science laboratory activiti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5), 403-418 

  31. Watson, D. M (2001). Pedagogy before technology: Re-thin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CT and teaching.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6(4), 251-2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