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사회복지교육 이러닝 콘텐츠 개발과 운영전략을 위한 탐색적 사례연구 Exploratory Case Study for Developing Contents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e-Learning on Social Welfare Education원문보기
본 연구는 사회복지분야에서의 효과적인 이러닝 구축과 개발을 위한 사례연구이다. K-이러닝센터에서 2006년도부터 1, 2학기 2007년도 1학기 운영된 [사회복지개론]과목과 관련된 전체 운영참여자(교수, 학생, 이러닝 전문가, 학습관리시스템운영자, 사례이러닝 운영자)가 자료수집에 참여하였다. 사회복지 영역에서의 e-Learning 커스터마이징화를 위하여 질적, 양적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분석결과, 사회복지개론 이러닝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체계적 준비과정, 현장중심 학습내용, 시간 효율적인 학습관리,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효과증진, 과제를 통한 과정평가 중심의 평가방법, 기술적 지원과 교육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으로 상호작용 학습모형 개발, 커스터마 이징화된 모형개발, 운영과정의 표준화와 체계화, 교수자들의 정보교환, 과제중심 과정평가체계구축, 운영 참여자의 협력적 작업시스템 기회의 정규화 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분야에서의 효과적인 이러닝 구축과 개발을 위한 사례연구이다. K-이러닝센터에서 2006년도부터 1, 2학기 2007년도 1학기 운영된 [사회복지개론]과목과 관련된 전체 운영참여자(교수, 학생, 이러닝 전문가, 학습관리시스템운영자, 사례이러닝 운영자)가 자료수집에 참여하였다. 사회복지 영역에서의 e-Learning 커스터마이징화를 위하여 질적, 양적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분석결과, 사회복지개론 이러닝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체계적 준비과정, 현장중심 학습내용, 시간 효율적인 학습관리,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효과증진, 과제를 통한 과정평가 중심의 평가방법, 기술적 지원과 교육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으로 상호작용 학습모형 개발, 커스터마 이징화된 모형개발, 운영과정의 표준화와 체계화, 교수자들의 정보교환, 과제중심 과정평가체계구축, 운영 참여자의 협력적 작업시스템 기회의 정규화 등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ntents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e-Learning.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who were attended to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e-Learning in K center between first semester, 2006 and first semester, 2007 as w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ntents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e-Learning.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who were attended to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e-Learning in K center between first semester, 2006 and first semester, 2007 as well as professors and system operator. It is important meaning to performance as the first empirical study which is on the e-Learning of social welfare studies. As a results, it has been proved that systematic preparation process, study contents which is centered field, active interaction among students, study management in time efficiency, technological supports for system improvement are significant factors on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e-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ntents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e-Learning.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who were attended to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e-Learning in K center between first semester, 2006 and first semester, 2007 as well as professors and system operator. It is important meaning to performance as the first empirical study which is on the e-Learning of social welfare studies. As a results, it has been proved that systematic preparation process, study contents which is centered field, active interaction among students, study management in time efficiency, technological supports for system improvement are significant factors on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e-Learning.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우리나라의 이러닝이 21세기 정보화 사회에 부응하고 보다 교육의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해 주는 모습을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시행착오에 기반하여 구체적인 미래의 전략들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사회복지 비전공자들을 위한 사회복지 개론과목의 이러닝 사례를 분석하고 참여자의 요구와 역할을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사회복지 과목 이러닝 커스터마이징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사회복지 비전공자들을 위한 사회복지 개론과목의 이러닝 사례를 분석하고 참여자의 요구와 역할을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사회복지 과목 이러닝 커스터마이징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교수-학습매체로서 이러닝의 대학 생 사회복지교과 적용과 연구는 '인간에 의한, 인간을 위한, 인간중심의' 휴먼서비스라는 학문적 특성으로 인해 지체된 발전을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교 육에 있어서 이러닝 활용을 위한 탐색적인 연구로서 의 의를 갖는다 하겠다.
또한 이러닝과 관련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사회복지교육 이러닝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때 전문가들은 적어도 이러닝운 영에 참여한 경력이 적어도 3년 이상이 된 점문가로서 평판법(Reputation method)에 의해 샘플링 하였다.
본 연구는 K 이러닝센터의 수업 사례분석을 통하여 사회복지교육에서의 이러닝 교수-학습을 커스터마이 징 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시사점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둘째 사례분석의 결과, 학습과정은 전형적인 15주수 업, 개별과 조별 2번의 과제물, 중간고사, 기말고사로 구성되어 있어 면대면 수업의 일정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사례의 학습목표는 비전공자 들의 사회복지인식에 대한 이해확대이다. 때문에 사회 복지 이론학습보다는 상대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노 인, 장애인, 가족, 아동, 자원봉사 등 각 분야의 현황과 과제 등이 차지하는 비율이 면대면 수업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 방법
사례에 대한 기준으로 사회복지 비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교육을 제공하는 이러닝 과정을 기준으로 삼았다. 선행연구들의 단일대학 운영 이러닝이라는 한계에서 벗어나고자, 다양한 대학의 학습자 참여가 가능한 컨소시엄형태를 두 번째 기준으로 삼았다.
사실,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교수-학습과정이 진행되는 19개 원격대학을 제외하고는 이런 기준을 만족하는 연구대 상은 아주 한정적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전국의 권역별 다양한 대학이 참여하는 K이 러닝 센터 사회복지교육과 목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주로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위하여 우선 관련문헌들을 분석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사례분 석도구를 선정하였다.
첫째,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활동 유형 분석을 위해서 Bonk(2000)의 이러닝 협동학습 분석체크 리스트를 수정하여 활용하였다.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행하였다[13].
둘째, 문헌검토와 2006년도 1, 2학기 2007년 1학기 학 습자 만족도 조사를 토대로, 이러닝 전문가 3명, 교수 3 명, 이러닝 운영담당자 3명 총 9명을 대상으로 전체학 습과정, 수업구성과 교수-학습전략에 대한 포커스 전문 가 그룹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룹인터뷰 결과를 녹취 하여 개념화 하고 이 개념들에 대하여 하위노드(node) 로 유형화 하였다.
둘째, 문헌검토와 2006년도 1, 2학기 2007년 1학기 학 습자 만족도 조사를 토대로, 이러닝 전문가 3명, 교수 3 명, 이러닝 운영담당자 3명 총 9명을 대상으로 전체학 습과정, 수업구성과 교수-학습전략에 대한 포커스 전문 가 그룹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룹인터뷰 결과를 녹취 하여 개념화 하고 이 개념들에 대하여 하위노드(node) 로 유형화 하였다. 이를 다시 상위노드로 구성하였다.
2006년 1학기부터 3학기동안 K 이러닝센터의 [사회 복지개론] 수업과정을 이수한 학기별 70명에게 14강 수 업후 학습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사용한 학습자만족도 조사도구는 이러닝 만족도를 연구한 선 행연구들에서 본연구와 관련되 었다고 판단되는 문항들 로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2006년 1학기부터 3학기동안 K 이러닝센터의 [사회 복지개론] 수업과정을 이수한 학기별 70명에게 14강 수 업후 학습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사용한 학습자만족도 조사도구는 이러닝 만족도를 연구한 선 행연구들에서 본연구와 관련되 었다고 판단되는 문항들 로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는 연구에 참여했던 교수 3명과 이러닝 전문가 3명에게 검증받았 다.
사회복지개론 과목인 운영되기 시작한 2006년도 1학 기부터 14주차시 학습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음 [표 6]은 그 결과이다.
다섯째, 학습자 만족도 조사에서는 2006년 1학기부터 2007년 1학기 까지 3회 만족도 변화결과를 분석하였다. 가장 큰 변화를 보이는 항목은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 습내용, 콘텐츠의 적절성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 데이터
전체 교육과정은 15주차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교재 1권과 부교재는 사회복지 비전공자들이므로 사회복지 현장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회복지협의회에서 발행하는 B사회복지신문으로 선정 하였다. 1 주차의 교수활동 은 e-Stream 을 이용한 15분 동영상강의 3회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에 대한 이해와 인식변화를 목적으로 개설된 사회복지개론 이러닝과정과 그 과정의 참 여운영자인 교수, 학생을 그 사례분석의 대상으로 삼았 다.
소요시간 기본산정을 위하여, 2007년도 1학기 K 이러 닝센터 사회복지개론 수업에 참여했던 학습자 70명을 대상으로 강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인터넷설문을 실행 하였다. 다음 [표 3]은 학습자활동으로 소요된 시간이다.
데이터처리
첫째,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활동 유형 분석을 위해서 Bonk(2000)의 이러닝 협동학습 분석체크 리스트를 수정하여 활용하였다.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행하였다[13].
7이 상으로 나타나 내적일관성을 검증하였다. SPSS 프로그 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행하였다.
이론/모형
또한 이러닝과 관련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사회복지교육 이러닝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때 전문가들은 적어도 이러닝운 영에 참여한 경력이 적어도 3년 이상이 된 점문가로서 평판법(Reputation method)에 의해 샘플링 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전체 인터뷰 과정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는 N-Vivo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는 연구에 참여했던 교수 3명과 이러닝 전문가 3명에게 검증받았 다. 내적일관성 확보를 위해 크론바하 알파계수를 측정하였다. 학습, 시스템 행정, 상호작용요인 모두 0.
성능/효과
전문가그룹인터뷰 분석결과 사회복지교육을 위한 커 스터마이징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념과 노드(node) 로 유형화된다. 기록은 전체 102개의 개념으로 나뉘어 졌고 이 개념들은 다시 '교수학습활동 계획과 같은 21 개의 하위노드로 유형화로 나타났다. 하위노드는 6개의 상위노드로 나타났다.
하위노드는 6개의 상위노드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상위노드는 상호작용으로 전체 24%로 나타났다. 그리고 하위노드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학습자간 심리적 상호작용의 중요성과 과제중심의 과 정평가활동으로 인터뷰내용에서 동일하게 각각 9%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상위노드는 상호작용으로 전체 24%로 나타났다. 그리고 하위노드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학습자간 심리적 상호작용의 중요성과 과제중심의 과 정평가활동으로 인터뷰내용에서 동일하게 각각 9%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협동학습 분석결과 교수자와 학습자의 메시지 유형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과 도움및 피드백주기는 교수역할로 학습자는 도움요청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협동학습 분석결과 교수자와 학습자의 메시지 유형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과 도움및 피드백주기는 교수역할로 학습자는 도움요청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지원과 정보교환은 학습 자간의 상호작용으로 통해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사례분석의 결과, 학습과정은 전형적인 15주수 업, 개별과 조별 2번의 과제물, 중간고사, 기말고사로 구성되어 있어 면대면 수업의 일정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사례의 학습목표는 비전공자 들의 사회복지인식에 대한 이해확대이다.
본 사례의 학습목표는 비전공자 들의 사회복지인식에 대한 이해확대이다. 때문에 사회 복지 이론학습보다는 상대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노 인, 장애인, 가족, 아동, 자원봉사 등 각 분야의 현황과 과제 등이 차지하는 비율이 면대면 수업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퀴즈시험은 교수자와 학습 자간의 상호작용을 높이며, 경쟁을 통해 학습효과를 높 이는 시너지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때문에 사회 복지 이론학습보다는 상대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노 인, 장애인, 가족, 아동, 자원봉사 등 각 분야의 현황과 과제 등이 차지하는 비율이 면대면 수업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퀴즈시험은 교수자와 학습 자간의 상호작용을 높이며, 경쟁을 통해 학습효과를 높 이는 시너지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교수-학습활동 추정 시간에서 학습자는 면대 면 수업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교수자는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의 시간 투자와 부담의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포커스그룹인터뷰 분석결과에서는 이러닝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뿐만 아니라 운영관리자들이 협력적 작업이 요청되었다. 전문가 들은 이론보다는 비전공자들의 학습목표 달성을 위한 이슈화되고 있는 분야별 내용이 학습효과를 높이며, 효율적인 학습과정을 위해서는 학습, 평가, 과제활동 등에 소요되는 시간의 적절한 배분이 요청했다.
다섯째, 학습자 만족도 조사에서는 2006년 1학기부터 2007년 1학기 까지 3회 만족도 변화결과를 분석하였다. 가장 큰 변화를 보이는 항목은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 습내용, 콘텐츠의 적절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두 매학기 종결시점에서 만족도 조사와 K-이러닝센터 운 영회의에서 각 과목 특성에 따라 또는 전체적인 의견개 진을 통해서 수정 보완하는 피드백작업을 적용했기 때 문이라 볼 수 있다.
셋째, 학습자의 수업준비과정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학습자의 활동 소요시간에서 수업참여 시간은 전 통적 교실수업보다 상대적으로 적고, 수업준비시간은 오히려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수업준비과정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학습자의 활동 소요시간에서 수업참여 시간은 전 통적 교실수업보다 상대적으로 적고, 수업준비시간은 오히려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모든 콘텐 츠에서 수업참여와 평가, 과제참여 등만을 관리할 뿐이 지 수업준비에 소요되는 학습자들의 시간과 노력에 대한 관리와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후속연구
더불어 학습 자 대상의 명세화, 전략을 통한 교수-학습과정 운영 등의 과정적 질적 연구들이 필요하다 하겠다. 그리고 교 수자, 학습자, 시스템 운영자 각각의 의견에 대한 접근 보다는 행정적 지원 등을 포함하는 운영참여자 전체의 통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심리 적 성향은 지속적인 교육 및 학습에 의해 그 수준을 점 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미래사회의 주인공 이 될 대학생들에게 더욱 그 효과를 더욱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체계적이고 바람직한 사회복지교육 에 의해 보다 긍정적이고 구체적인 사회복지의식의 확 립이 가능할 것이다.
둘째,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습자에게는 적합한 수 업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학습자별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
본 연구는 사례분석을 통하여 사회복지교육에 있어서 대학에서의 이러닝 운영모형을 정립하고 이러닝 모 형에 따른 구체적인 지원체계를 수립하는데 기초자료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교수-학습의 전략적인 측면에서 교수자와의 상 호작용과 함께 학습자간의 상호작용모형이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닝에서 사용되는 상호작용방식은 면대 면 수업과는 차이가 있으며,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활발 한 상호작용이 교육목적 달성에도 중요한 영향요인이 라고 다수 연구자들에 의해 제시된바 있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