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 리모델링 설계단계에서의 사업수행 프로세스 구축
Constitution of Work Process for Apartment Renovation Project in Design Phase 원문보기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8 no.4 = no.38, 2007년, pp.167 - 175  

권원 (단국대학교 건축대학) ,  전재열 (단국대학교 건축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동주택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성능개선과정은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의뢰단계, 기획 및 조사진단 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의 4단계의 사업절차로 구분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 리모델링 사업은 각 단계별 의사결정 업무체계와 사업수행절차가 체계화 되어있지 못하여 사업수행시 설계자 관점의 종합적 관리계획 수립의 어려움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겪고 있다. 그 중 리모델링 설계단계는 사업시행자, 설계자, 거주자, 엔지니어 등 사업 참여 주체의 역할 및 업무절차가 타 단계에 비해 매우 복잡하고 정형화되어 있지 못하여 사업에 대한 시행착오, 사업지연, 설계부실 등을 발생시키는 주요 단계로 볼 수 있다. 특히 설계단계에서 각 사업참여자별 발생되는 정보활용 능력에 대한 부족과 부적절한 의사결정으로 인한 설계도서의 부실은 시공단계에 각종 문제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거주자가 원하는 리모델링 성능향상에 대한 만족과 신뢰를 어렵게 하고 있다. 따라서 리모델링 설계단계는 매우 주요한 관리대상 단계이며, 설계관리 기술과 함께 사업수행 프로세스에 관한 종합적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리모델링 설계단계를 대상으로 참여사업주체의 역할과 책임을 규정하고, 설계 프로세스 단계별 발생정보를 중심으로 정보활용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정보활용은 발생정보(Input)와 활용기법(Tool) 및 결과물(Output)의 과정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설계단계별 의사결정 방법을 정립하고, 설계관리 전반의 사업수행 프로세스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renovation project of apartment housing is generally divided into four stages: Project inquiry stage, planning and feasibility stage, design stage and construction stage. Currently, procedure and managerial technique for a remodeling project has not been systematically established so that many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계단계를 중심으로 사업수행 각 단계별 업무절차 및 의사결정을 위한 분석기법 등을 제시함으로서리모델링 설계 프로세스의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리모델링 싸이클 중(기획, 타당성- 설계-시공f 관리) 설계단계를 대상으로 단계별 정보활용 과정에 따른 결과물(Output)을 기술하고 리모델링 설계관리 전반의 수행프로세스를 기술하여 사업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통해 성공적 사업수행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 한다. 또한 단계별 프로세스 및 선행단계의 발생정보 (Input)를 분석하고, 이를 가공 할 수 있는 도구기술(Tool)을 통하여 결과(Output)를 산출 하는 프로젝트 관리 기법 PMPeProject Management Process)의 계획 개념을 사용하여 사업수행 프로세스 및 설계정보관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리모델링 설계단계에 대한 사업수행의 기본적 프로세스를 고찰하고 각 진행단계별 수행주체의 업무 역할과 책임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단계별 프로세스 및 선행단계의 발생정보 (Input)를 분석하고, 이를 가공 할 수 있는 도구기술(Tool)을 통하여 결과(Output)를 산출 하는 프로젝트 관리 기법 PMPeProject Management Process)의 계획 개념을 사용하여 사업수행 프로세스 및 설계정보관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합리적인 리모델링사업 수행 및 활성화를 위해 설계관리 전산화의 프로토 타입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 되다. 이에 본 연구는 프로젝트 관리개발의 투입물, 도구 및 기법, 산출물의 PMP(Project Management Process)의계획 개념(그림5 참조)을 사용하여 각 세부단계별로 리모델링설계 정보의 활용과정과 업무프로세스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세스 단계별 발생정보의 효율적 활용방법과 의사결정 기술들을 정립하여 리모델링 설계에 대한 성능향상 및 시공성, 유지관리성을 고려한 설계정보관리 방법을 제시하고자한다. 둘째, 사업참여자별 역할과 책임을 규정하고 이에 따른 종합적 사업수행 프로세스를 제시함으로써 리모델링 설계단계에 각 사업참여자들의 역할에 따라 발생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Gregory A. Howell, 'Renovation Projects: Design Process Problems and Improvement Mechanisms', ASCE, 2002. 8 

  2. National Research Council, 'Laboratory design, Construction and Renovation', National Academy Press, March 2003 

  3. 김거백, '리모델링 공사 기획단계의 효율적 수행을 위한 CM 의 역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00. 10 

  4. 김보성,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특성을 고려한 해체공법 선정 모델',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2. 10 

  5. 건설교통부, '리모델링을 고려한 건축물 설계기준 체크리스트', 2001. 12 

  6. 노지연, '건물 리모델링 매뉴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1. 3, pp.462-463 

  7. 변은정, '리모델링공사에서 Fast Track 적용방안',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5. 10 

  8. 이원식, '건축 리모델링', 기문당, 2002. 3, pp105-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