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배추김치의 최적발효 및 저장을 위한 김치냉장고의 자동숙성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uto-aging System Built in Kimchi Refrigerator for Optimal Fermentation and Storage of Korean Cabbage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9 no.4 = no.194, 2007년, pp.432 - 437  

노정숙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서현주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오정환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이명주 (삼성전자 시스템가전사업부 냉기개발팀) ,  김명희 (삼성전자 시스템가전사업부 냉기개발팀) ,  최홍식 (부산보건환경연구원) ,  송영옥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초록

김치의 최적 숙성 및 장기저장을 위한 김치냉장고에서의 발효, 저장조건을 연구하기 위하여 온도별(5, 10, 15, $20^{\circ}C$)로 김치의 이화학적${\cdot}$관능적 특성 검사를 하여 S사 김치냉장고의 자동숙성 mode($23^{\circ}C$에서 25시간 후 $-1^{\circ}C$ 자동전환)에서 발효시킨 김치와 비교하였다. 김치 냉장고 초기 발효 온도 설정에 관한 연구결과 발효 적숙기에 도달하는 시간, 적숙기 기간 및 김치 맛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김치냉장고 초기 발효 온도는, $10-15^{\circ}C$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냉장고의 초기 발효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10^{\circ}C$$15^{\circ}C$에서 김치를 산도 $0.4{\pm}0.05$, $0.6{\pm}0.05$ 그리고 $0.8{\pm}0.05%$에 도달할 때까지 발효시킨 후 즉시 $-1^{\circ}C$에서 7일간 저장한 후 산도 변화와 김치 맛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특정산도에 도달하는 시간은 $15^{\circ}C$가 산도 0.4%에서 $-1^{\circ}C$로 저장한 김치의 경우 신맛, 새콤한 맛 그리고 종합적인 평가 점수는 올라갔으며, 덜 익은 맛의 강도가 크게 낮아졌다. 그러나 산도가 0.6% 및 0.8% 에서 $-1^{\circ}C$로 저장한 김치의 관능평가의 종합 점수는 낮아졌고, 군덕 맛의 강도는 높아졌다. 저장온도에 대한 실험에서 기존 김치냉장고에서 사용하고 있는 $-1^{\circ}C$ 저장온도는 김치의 미생물의 발육을 완전히 억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pm}0.5^{\circ}C$ 저장온도는 김치가 얼지 않는 최저 온도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 배추김치를 김치냉장고에서 자동적으로 발효${\cdot}$저장할 때 관능적 특성 및 저장기간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 자동숙성 시스템은 $15^{\circ}C$에서 김치의 산도가 0.4%에 도달할 때까지 발효시킨 후 $-2{\pm}0.5^{\circ}C$로 온도를 전환하여 저장하는 조건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onditions for an auto-aging system placed within a kimchi refrigerator for optimal fermentation, and to prolong the storage time of kimchi. Various characteristics of kimchi fermen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5-23^{\circ}C$) were compared. We observe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김치냉장고에서 자동숙성 모드를 이용하여 김치를 저장하였을 때 향미가 우수하고 가식기간이 장기간 연장되는 온도 자동변환설정을 위하여 초기 숙성조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김치냉장고의 숙성온도는 온도별 발효양상 실험 결과에 의거하여 10 또는 15℃로 하였고, 저장온도는 기존의 김치냉장고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rc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eigh HS. Critical review on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5: 89-101 (1995) 

  2. Cheigh HS, Park KY.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Cric. Rev. Food Sci. 34: 175-203 (1994) 

  3. Lee IS, Park WS, Koo YJ, Kang KH. Changes in some characteristics of brined Chinese cabbage of fall cultivar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39-245 (1994) 

  4. Choi SY, Kim YB, Yoo JY, Lee IS, Chung KS, Koo YJ.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s concentration of kimchi manufacturing on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07-710 (1990) 

  5. Hahn YS. Effect of salt type and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43-747 (2003) 

  6. Park WS, Lee IS, Han YS, Koo YJ. Kimchi preparation with brined Chinese cabbage and seasoning mixture stored separately.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31-238 (1994) 

  7. Yoo MJ, Kim HR, Chung HJ.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in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Diet. Culture 16: 431-441 (2001) 

  8. Kim HS. The effect of storage method and duration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acceptance of kimchi. Korean J. Food Culture 17: 638-645 (2002) 

  9. Hwang JH, Yu KW, Lee KH. Studies on the pasteurization conditions for long-term storage of kimchi. Food Eng. Prog. 8: 30-39 (2004) 

  10. Kim WJ, Kang KO, Kyung KH, Shin JI. Addition of salts and their mixtures for improvement of storage stability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88-191 (1991) 

  11. Cha BS, Kim WJ, Byun MW, Kwon JH, Cho HO. Evaluation of gamma irradiation for extending the shelf life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109-119 (1989) 

  12. Jo JS. Analytical survey on the study of traditional fermented food in Korea. Korean J. Diet. Culture 4: 375-382 (1989) 

  13. Ko YD, Kim HJ, Chun SS, Sung NK. Development of control system for kimchi fermentation and storage using refrigerator.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199-203 (1994) 

  14. Electronic Times Internet. Kimchi refrigerator sale, big regional difference. Available from: http://www.etnews.co.kr/news/detail. html?id200610120200. Accessed May. 01, 2007 

  15. So MH, Lee YS. Influences of cultural temperature on growth rat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Nutr. 10: 110-116 (1997) 

  16. Kang JH, Kang SH, Ahn ES, Yoo MJ, Chung HJ.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time on the properties of baechukimchi. Korean J. Food Culture 19: 30-42 (2004) 

  17. Kim MJ, Ha JY, Yun YR, Noh JS, Song YB, Song YO. Extension of shelf life of kimchi by addition of encapsulated mustard oil. Food Sci. Biotechnol. 15: 884-888 (2006) 

  18. Lee MK, Park WS, Kang KH.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and enum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754-760 (1996) 

  19. Kim KO, Lee YC. Sensory Evaluation of Food. Hakyeon Publishing Com., Seoul, Korea. pp. 192-268 (1995) 

  20. Lee YH, Yang IW. Studies on the packaging and preservation of kimchi. J. Korean Agric. Chem. Soc. 13: 207-218 (1970) 

  21. Choi SY, Lee MK, Choi KS, Koo YJ, Park WS. Changes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kimchi on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44- 649 (1998) 

  22. Mheen TI, Kwan TW.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1984) 

  23. Ku KH, Kang KO, Kim WJ. Some quality changes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476-482 (1988) 

  24. Kim MH, Chang MJ. Fermentation property of Chinese cabbage kimchi by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7-11 (2000) 

  25. Ryu JY, Lee HS, Rhe HS. Changes of organic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imchis fermented with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169-174 (1984) 

  26. Gardner NJ, Savard T, Obermeier P, Caldwell G, Champagne CP. Sel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xed starter cultures for lactic acid fermentation of carrot, cabbage, beet, and onion vegetable mixtures. Int. J. Food Microbiol. 64: 261-275 (2001) 

  27. Lee KH, Cho HY, Pyun YR. Kinetic modelling for the prediction of shelf-life of kimchi based on total acidity as a quality index.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306-310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