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김치냉장고의 숙성 후 저장 및 저온 저장 모드에서 6개월간 저장한 김장 김치의 발효특성 비교
Comparison of Fermentation Properties of Winter Kimchi Stored for 6 Months in a Kimchi Refrigerator Under Ripening Mode or Storage Mod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1, 2012년, pp.1619 - 1625  

이은화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이명주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냉장고개발그룹) ,  송영옥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장김치를 김치냉장고에서 6개월간 '숙성 후 저장'과 '저온 저장' 모드에서 저장하였을 때 발효 양상을 비교해 보았다. 본 연구에 사용한 '숙성 후 저장' 모드에 보관한 김치는 $10^{\circ}C$에서 5일간 발효시킨 후 $-2.5^{\circ}C$에 저장한 F1김치, $15^{\circ}C$에서 1일 발효시킨 후 $-2.5^{\circ}C$에서 저장한 F2김치이고, '저온 저장'에 보관한 김치는 담금 즉시 $-1^{\circ}C$에 저장한 S1김치와 $-2.5^{\circ}C$에 저장한 F2김치 4종류이다. '숙성 후 저장'한 F1김치는 2주에 pH 4.4, 그리고 산도는 0.6%로 숙성기에 접어들었으나 F2김치는 8주, '저온 저장'한 S1김치는 12주에 그리고 S2김치는 저장 말기에 숙성기로 접어들었다. Lactobacillus spp. 생육은 F1 및 F2김치에서는 저장 초기부터 급속히 증식하여 8주에 최대 균수인 8.0~9.0 log CFU/mL에 도달한 후 F1김치에서는 균수가 6개월간 지속된 반면, F2김치에서는 저장 12주 이후 감소하였다. S1과 S2김치에서는 8주에 최대 균수인 6.8 log CFU/mL에 도달하여 적숙기 최대 균수에 미치지 못하였다. Leuconostoc spp.는 저장모드에 따라 최대 생육 시점은 다르나 8.0~9.0 log CFU/mL에 도달하였다. F1김치의 Leuconostoc spp.는 6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최대 생육에 도달한 반면, 다른 김치 시료에서는 최대 생육 후 균이 감소하였다. 고온 젖산균인 Lactobacillus spp.의 생육은 '저온 저장'한 김치에서 억제되었으나 Leuconostoc spp.의 생육은 $-2.5^{\circ}C$와 같이 낮은 온도에서도 최대 생육을 하였다. 김장김치의 관능은 저장 3개월까지 외관, 신맛, 탄산미, 아삭아삭함에서 F1김치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는데 이는 Lactobacillus spp.와 Leuconostoc spp.의 균수가 가장 높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6개월 후에는 F1와 S1김치가 높은 평가를 받았는데, S1김치는 저장 말기에 신맛과 탄산미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는데, 이는 Leuconostoc spp.의 균수 저장 후기에 높아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김장김치를 저장 기간 내 맛있게 먹기 위해서는 김치를 완전히 숙성시킨 후 저온에서 저장하는 방법인 $10^{\circ}C$에서 5일 동안 발효시켜 $-2.5^{\circ}C$로 온도 변환하는 시스템이 가장 우수하였다. '저온 저장' 온도로는 $-1^{\circ}C$$-2.5^{\circ}C$보다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long-term storage conditions for winter kimchi. Kimchi was stored in a kimchi refrigerator for 6 months with or without fermentation. Four different temperature systems used were as follows: 5 days at $10^{\circ}C$ followed by storage at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김장 김치를 장기간 맛있게 즐길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김장김치 보관 온도알고리즘에 대한 연구는 대형 김치냉장고 개발에 필수적인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온도변환에 따른 김장김치의 발효양상을 비교하여 김장김치를 6개월간 장기 저장하면서 저장기간 내 맛있게 섭취할 수 있는 최적 온도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장김치는 무엇을 일컫는가? 김장은 지역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절기 상 입동 전후에 김치를 대량으로 담가 겨우내 먹는 김치이며 신선한 채소가 부족한 겨울철의 주요한 채소 공급원으로 이듬해 채소가 가능하기 전까지 먹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겨울철 반양식이라고 불리기도 한다(1). 김장김치는 통배추를 사용하는 배추김치와 무를 사용하는 동치미가 대표적이나 통상적으로 김 장김치라 하며 포기 배추김치를 일컫는다. 김장김치는 계절별로 담아 먹는 김치와 달리 장기간 저장 목적으로 젓갈의 첨가량이 많고, 김치의 맛을 증진시키기 위해 김장의 초기에 먹는 김치에는 굴, 새우등의 어패류가 첨가되고, 김장 후기에 섭취하는 김치에는 조기, 갈치, 볼락 등의 생선이 많이 사용되었다(2).
김치 적숙기는 언제인가? 김장김치는 대량으로 담아 저장함으로써 혐기적 발효가 일어날 수 있는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 재철 채소를 이용하여 계절별로 소량 담아 먹는 김치에 비해 젖산균의 생육이 활발하여 김장 김치 특유의 깊은 맛을 내게 된다. 잘 숙성된 김치란 젖산균의 생육이 촉진되어 이들이 생성한 유기산과 탄산이 잘 혼합되어 상큼한 신맛을 내고 채소의 세포벽이 적절히 파괴된 상태의 아삭아삭함을 느낄 수 있을 때로 이 시기를 적숙기라고 한다. 김치 적숙기의 이화학적인 지표는 pH 4.
김장김치의 맛을 증진시키기 위해 초기와 후기에 먹는 김치에는 무엇이 첨가되는가? 김장김치는 통배추를 사용하는 배추김치와 무를 사용하는 동치미가 대표적이나 통상적으로 김 장김치라 하며 포기 배추김치를 일컫는다. 김장김치는 계절별로 담아 먹는 김치와 달리 장기간 저장 목적으로 젓갈의 첨가량이 많고, 김치의 맛을 증진시키기 위해 김장의 초기에 먹는 김치에는 굴, 새우등의 어패류가 첨가되고, 김장 후기에 섭취하는 김치에는 조기, 갈치, 볼락 등의 생선이 많이 사용되었다(2). 김장김치는 대량으로 담아 저장함으로써 혐기적 발효가 일어날 수 있는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 재철 채소를 이용하여 계절별로 소량 담아 먹는 김치에 비해 젖산균의 생육이 활발하여 김장 김치 특유의 깊은 맛을 내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KI, Rhee SH, Han JS, Park KY. 1995.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pecial kimchi in Pusan and Kyungnam province. J Korean Soc Food Nutr 24: 734-743. 

  2. Kang KO, Lee SH, Cha BS. 1995. A study on the material ratio of Kimchi products of Seoul and Chung Cheong area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fermented Kimchis. Korean J Soc Food Sci 11: 487-493. 

  3. Park SH, Lee JH. 2005. The correl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sou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03-109. 

  4. Noh JS, Seo HJ, Oh JH, Lee MJ, Kim MH, Cheigh HS, Song YO. 2007. Development of auto-aging system built in kimchi refrigerator for optimal fermentation and storage of Korean cabbage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32-437. 

  5. Choi MS, Lim JH, Kim J. 2011. Improving the use of Kimchi refrigerator's inner space based on the user behavior study. J Korean Soc Basic Design Art 12: 417-425. 

  6. Lee YK, Lee MY, Kim SD. 2004. Effect of monosodium glutamate and temperature change on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s in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399-404. 

  7. Lee HJ, Joo YJ, Park CS, Lee JS, Park YH, Ahn JS, Mheen TI. 1999. Fermentation patterns of green onion Kimchi and Chinese cabbage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488-494. 

  8. Shin DH, Kim MS, Han JS, Lim DK, Bak WS. 1996.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flora in commercial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37-145. 

  9.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10. Jeon YS, Kye IS, Cheigh HS. 1999. Changes of vitamin C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on different cabbage variety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73-779. 

  11. Kim WJ, Kang KO, Kyung KH, Shin JI. 1991. Addition of salt and their mixtures for improvement of storage stability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88-191. 

  12. Gil BI, Choi ES. 2010.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old heat storage with salt water on the performance of a Kimchi refrigerator. Korean J Air-Cond Refrig Eng 22: 891-896. 

  13. Cho Y, Rhee HS. 1991.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 (I). Korean J Soc Food Sci 7: 15-25. 

  14. Park JA, Heo GY, Lee JS, Oh YJ, Kim BY, Mheen TI, Kim CK, Ahn JS. 2003. Change of microbial communities in kimchi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Korean J Microbiol 39: 45-50. 

  15. Noh JS, Seo HJ, Oh JH, Lee MJ, Kim MH, Cheigh HS, Song YO. 2007. Development of auto-aging system built in kimchi refrigerator for optimal fermentation and storage of Korean cabbage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32-437. 

  16. Kim SD, Park IK, Lee MS. 1997. Effect of dried fishes water extracts on the kimchi fermentation. J Food Sci Technol 9: 33-38. 

  17. Lee MJ, Kim HS, Lee SC, Park WP. 2000. Effects of sepiae os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592-596. 

  18. Yoo MJ, Kim HR, Chung HJ. 2001.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in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Dietary Culture 16: 431-441. 

  19. Kim MS, Jeong YH. 2004. Fermentative properties of taurine added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 438-442. 

  20. Lee KH, Cho HY, Pyun YR. 1991. Kinetic modelling for the prediction of shelf-life of kimchi based on total acidity as a quility index.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306-310. 

  2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60. 

  22. Lee MK, Park WS, Kang KH. 1996.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and enum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754-760. 

  23. So MH, Lee YS. 1997. Influences of cultural temperature on growth rat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 Nutr 10: 110-116 

  24. Kim KO, Lee YC. 1995. A sensory evaluation of food. Hakyeon Publishing Com., Seoul, Korea. p 192-268. 

  25. Kang JH, Kang SH, Ahn ES, Yoo MJ, Chung HJ. 2004.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time on the properties of Baechu kimchi. Korean J Food Culture 19: 30-42. 

  26. Lee YH, Yang IW. 1970. Studies on the packaging and preservation of kimchi. J Korean Agric Chem Soc 13: 207-218. 

  27. Choi SY, Kim YB, Yoo JY, Lee IS, Chung KS, Koo YJ. 1990.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s concentration of kimchi manufacturing on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07-710. 

  28. Yu JJ, Oh SH. 2011. ${\gamma}$ -Aminobutyric acid production and glutamate decarboxylase activity of Lactobacillus sakei OPK2-59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Microbiol 47: 316-322. 

  29. Yoo MJ, Kim HR, Chung HJ. 2001.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in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Dietary Culture 16: 431-441. 

  30. Lee HJ, Baek JH, Yang M, Han HU, Ko YD, Kim HJ. 1993.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l community during kimchi fermentation by temperature downshift. Korean J Microbiol 31: 346-3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