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잎의 일반성분, 비타민, 무기질 함량 분석 및 항산화 효과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Vitamin, Mineral and Antioxidative Effect of the Lotus Leaf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2, 2008년, pp.1622 - 1626  

이경석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권용준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이기영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연은 식용뿐만이 아니라 민간치료제로도 널리 이용되어져 왔다. 특히 연잎은 오랫동안 사찰에서 차와 술 등으로 제조되어 음용돼 왔으나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잎의 성분분석 및 항산화 활성 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건조한 연잎을 분석한 결과 탄수화물 63.8%, 단백질 16.9%, 지질 1.0%, 조회분 9.3%였다. 엽류 중 녹차와 비교했을 경우 단백질함량은 비교적 낮았고 탄수화물, 지방, 회분의 함량은 높았다. 비타민, 무기질 등 미량성분 분석결과를 녹차와 비교한 결과 비타민과 무기질은 큰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으나 칼슘의 함량이 2.2%로 녹차에 비해 20배 이상 높았다. 연잎으로부터 효과적으로 기능성 물질을 추출하기 위해 다양한 용매로 고형분 함량, 총 페놀함량,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비교실험결과 70% ethanol 추출물을 사용할 때 가장 높은 추출수율인 0.11%를 나타냈다. 또한 용매별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과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해 비교한 결과 70% ethanol을 용매로 사용하였을 경우 가장 큰 효과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otus leaf. The lotus leaf contained 63.8% of crude carbohydrate, 16.9% of crude protein, 1.0% crude fat, and 9.3% of crude ash including high amount of calcium (2.2%). The antioxidative effect of se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잎은 위궤양, 출혈 등 일부 질환에 민간에서 치료제로 사용되어져 왔으며 차와 술 등으로 지금까지도 음용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비한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잎의 기초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성분 및 비타민, 미네랄 함량을 분석하였고 추출용매에 따른 총 페놀함량 및 항산화효과를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은 무엇인가? 연(Nelumbo nucifera)은 수생식물 중 부엽식물에 속하는 쌍떡잎식물로서 아시아 남부, 북호주가 원산지이다. 주로 연못에서 자라고 논밭에서 재배되기도 한다(1,2).
연잎은 주로 건조된 형태로 맛이 쓰고 성질은 유하며 예로부터 무엇에 민간치료제로 이용되었는가? 꽃은 관상용과 차의 재료로 이용해 왔으며 잎과 뿌리는 식용하여 왔다(3). 연잎은 주로 건조된 형태로 맛이 쓰고 성질은 유하며 예로부터 출혈성 위궤양이나 위염, 치질, 출혈, 설사, 두통과 어지럼증, 토혈, 산후 어혈치료, 야뇨증, 해독작용 등에 쓰여 민간치료제로 이용되어왔다(4). 하지만 이러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아직 연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연잎의 기초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성분 및 비타민, 미네랄 함량을 분석하고 추출용매에 따른 총 페놀함량 및 항산화효과를 검증하는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에서는 연잎의 성분분석 및 항산화 활성 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건조한 연잎을 분석한 결과 탄수화물 63.8%, 단백질 16.9%, 지질 1.0%, 조회분 9.3%였다. 엽류 중 녹차와 비교했을 경우 단백질함량은 비교적 낮았고 탄수화물, 지방, 회분의 함량은 높았다. 비타민, 무기질 등 미량성분 분석결과를 녹차와 비교한 결과 비타민과 무기질은 큰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으나 칼슘의 함량이 2.2%로 녹차에 비해 20배 이상 높았다. 연잎으로부터 효과적으로 기능성 물질을 추출하기 위해 다양한 용매로 고형분 함량, 총 페놀함량,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비교실험결과 70% ethanol 추출물을 사용할 때 가장 높은 추출수율인 0.11%를 나타냈다. 또한 용매별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과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해 비교한 결과 70% ethanol을 용매로 사용하였을 경우 가장 큰 효과를 나타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orsch T, Barthlott W. 1994.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genus Nelumbo adans (Nelumbonaccae). Beitr Biol Pflazen 68: 421-450 

  2. Dahlgren R, Rasmussen FN. 1983. Monocotyledon evolution characters and phylogenetic estimation. J Evol Biol 16: 255-265 

  3. Kim SB, Rho SB, Rhyu DY, Kim DW. 2005. Effect of Nelumbo nucifera leaves on hyperlipidemic and atheroselerotic bio FIB hamster. Kor J Pharmacogn 36: 229-234 

  4. Yuk CS. 1990. Coloured medicinal plants of Korea. Academy book Co, Seoul, Korea. p 219-230 

  5. Bhat R, Sridhar KR. 2008. Nutritional quality evaluation of electron beam-irradiated lotus (Nelumbo nucifera) seeds. Food Chem 107: 174-184 

  6. Rai S, Wahile A, Mukherjee K, Pada Saha B, Mukherjee PK.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Nelumbo nucifera seeds. J Ethnopharmacol 104: 322-327 

  7. Chiang PY, Luo YY. 2007. Effects of pressurized coo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texture changes of lotus root (Nelumbo nucifera Gaertn). Food Chem 105: 480-484 

  8. Onoa Y, Hattori E, Fukaya Y, Imai S, Ohizumi Y. 2006. Anti-obesity effect of 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in mice and rats. J Ethnopharmacol 106: 238-244 

  9. AOAC. 1995. Official Methods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69-90 

  10. AOAC. 1995. Official Methods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1110 

  11. AOAC. 1995. Official Methods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1045 

  12. Wimalasiri P, Wills RB. 1983. Simultaneous analysis of ascorbic acid and dehydroascorbic acid in fruit and vegetable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gr Agric 15: 113-116 

  13. Jung GT, Ju IO, Choi JS, Hong JS. 2000. Th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28-935 

  14. AOAC. 1990. Offic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8-35 

  15. Tepe B, Daferera D, Sokmen A, Sokmen M, Polissiou M. 2005.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 and various extracts of Salvia tomentosa Miller (Lamiaceae). Food Chem 90: 333-340 

  16.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R.D.A. 2001. Food Composition Table Sixth Revis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p 352-357 

  17. Kim SD, Kim MK, Kang MS, Lee YK, Kim DS. 2000. Effect of ark shell powder on the fermentation and quality of kimchi. Food Sci Biotechnol 9: 280-284 

  18. Cho YS, Seo KI, Shim KH. 2000. Antimicrobial activities of Korean sword bean (Canavalia gladiata) extract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113-116 

  19. Chung HJ. 2000.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Korean J Soc Food Sci 16: 160-166 

  20. Shim CJ, Lee GH, Yi SD, Kim YH, Oh MJ.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s from Rhodiola sachlinensis. Korean J Food Preservation 11: 63-70 

  21. Lee BW, Kang NS, Park KH. 2004. Isolation of antibacterial prenylated flavonoids from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70-273 

  22. Ahn EY, Shin DW, Baek NI, Oh JA. 199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 from Glycyrrhiza uralensis FISCH.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80-687 

  23. Ahn EY, Shin DW, Baek NI, Oh JA. 199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 from Sophora flavescens Ait.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72-679 

  24. Son KM, Bae SM, Jung JY, Shin DJ, Seong TS. 2005. Antioxidative effect on the green tea and puer tea extracts. Korean J Food & Nutr 18: 219-224 

  25. Ju IO, Jung GT, Ryu J, Choi JS, Choi YG. 2005.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amboo (Phyllostachys bambusoies Starf) extracts prepared with different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42-548 

  26. Min SH, Lee BR.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cultivated in Jecheon. Korean J Food Culture 22: 336-3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