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thognathic surgery, precise analysis and diagnosis are essential for successful results. In facial asymmetric patient, traditional 2D image analysis has been used by lateral and P-A Cephalometric view, Skull PA, Panorama, Submentovertex view etc. But clinicians sometimes misdiagnose because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CT를 이용한 3차원 영상분석을 사용하여, 안면비대칭에 영향을 주는 인자라 생각되는 요소에 대하여 3차원 상에서 실측해 보고, 그중 안면 비대칭과 가장 유의할 만한 상관관계가 있는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면 비대칭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생각되어 지는 것은 무엇이 있는가? 정리해 보면 안면 비대칭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생각되어 지는 것은 상악골 자체의 길이의 차이,  하악체 길이의 차이, 하악지 길이의 차이, 하악과두의 길이의 차이, 두개저의 형태의 차이 등 이며, 이는 하악 자체의 길이의 부조화로 인해 안면 비대칭이 생기는 경우와 상악골 및 두개저의 비대칭이 안면 비대칭으로 표현되는 경우로 크게 나뉠 수 있다.
후 전방 두부 방사선 사진이나, 파노라마, 이하두정 방사선 사진,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 등의 2차원적인 방사선 사진으로 안면 비대칭 요소를 계측하는 방법의 한계는 무엇인가? 전통적으로는 안면 비대칭 환자들의 수술을 계획할 때, 안면 비대칭의 요소들을 2차원적인 방사선 사진 즉 후 전방 두부 방사선 사진이나, 파노라마, 이하두정 방사선 사진,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들을 통해서 계측 했고, 그 변위량을 계산 하였다.5-9)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3 차원적인 환자의 두개나, 안모가 이차원적인 평면으로 옮겨져 표현되는 순간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왜곡을 전제로 하는 방법들이었다. 예를 들어 방사선 사진을 찍는 동안 발생하는 관구의 위치에 따른 왜곡이나, 촬영과정중의 인공허상(artifact), 환자의 두개 위치에 따른 상의 위치변화나, 재연 불가능성, 또는 상의 중첩에 때문에 사진 분석 시 발생하는 기준점(Land mark) 의 부정확성 등 수많은 요소의 간섭을 받게 된다.
Masahito Maeda 등에 의한 분류에 따르면, 안면 비대칭은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가? 이러한 안면 비대칭은 여러 사람들에 의해 분류 되어 왔다. 이중 Masahito Maeda30) 등에 의한 분류에 따르면, 사람들은 안면 비대칭이 없는 그룹(Group I), 하악의 하악체 부위만 비대칭이 있는 그룹(Group IIA), 부가적으로 하악지 부위의 비대칭이 있는 그룹(Group IIB), 상악에만 비대칭이 있는 그룹(Group IIIA), 상악∙하악지∙하악체 세부위 모두에 비대칭이 있는 그룹(Group IIIB) 으로 분류 될 수 있으며, 이는 안면 비대칭이 상악골 자체,  또는 하악지나 하악체 부위에서 생기는 좌우측 부조화에 의해 야기될 수 있음을 말해 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Fukushima K, Yasui K, Oatuka Y, Matsui S, Hirase N, Takayanagi J, et al. :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jaw deformity Frontal cepharometric evaluation of facial symmetry. J Meikai Univ Dent 2003;32:118-23 

  2. Tani M, Iketani M, Watanabe M, Suda S, Fujimura N, Miyazawa M, et al.: Posterior-anterior cephalometric analysis in patients with dentofacial deformities. J Jpn Stomatol Soc. 1989;35:1749 

  3. Severt TR, Proffit WR. : The prevalence of facial asymmetry in the dentofacial deformities population at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Int J Adult Orthodon Orthognath Surg. 1997;12:171-6 

  4. Samman N, Tong AC, Cheung DL, Tideman H. : Analysis of 300 dentofacial deformities in Hong Kong. Int J Adult Orthodon Orthognath Surg. 1992;7:181-5 

  5. Sassouni V.: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via roentgenographic cephalometry. Am J. Orthodontics. 1958;44:433-63c 

  6. Ricketts RM.: Cephalometric synthesis. Am J. Orthodontics. 1960;46:647-73 

  7. Mulick JF.: Clinical use of the frontal headfilm. Angle Orthod. 1965;35:299-304 

  8. Graber TM.: New horizons in case analysis-clinical cephalometrics. Am J. Orthodont. 1952;38:603-24 

  9. Graber TM.: A critical review of clinical cephalometric radiography. Am J. Orthodont. 1954;40:1-26 

  10. Trpkova B, Prasad NG, Lam EW, Raboud D, Glover KE, Major PW. : Assessment of facial asymmetries from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validity of reference line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3;123:512-20 

  11. Fuhrmann RA, Schnappauf A, Diedrich PR. : Three-dimensional imaging of cranio -maxillofacial structures with a standard personal computer. Dentomaxillofac Radiol 1995;24:260-3 

  12. Vannier MW, Hildebolt CF, Conover G, Knapp RH, Yokoyama Crothers N, Wang G. : Three-dimensional dental imaging by spiral CT. A progress repor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7;84:561-70 

  13. Cavalcanti MGP, Haller JW, Vannier MW. :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landmark measurement in craniofacial surgical planning: experimental validation in vitro. J Oral Maxillofac Surg 1999;57:690-4 

  14. Cavalcanti MGP, Vannier MW. : Quantitative analysis of spiral computed tomo- graphy for craniofacial clinical applications. Dentomaxillofac Radiol 1998;27:344-50 

  15. Nawaratne S, Fabiny R, Brien JE, Zalcberg J, Cosolo W, Whan A, et al. : Accuracy of volume measurement using helical CT. J Comput Assist Tomogr 1997;21:481-6 

  16. Xia J, Ip HH, Samman N, Wang D, Kot CS, Yeung RW, et al. : Computer-assisted three-dimensional surgical planning and simulation: 3D virtual osteotomy.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0;29:11-7 

  17. Katsumata A, Fujishita M, Maeda M, Ariji Y, Ariji E, Langlais RP. : 3D-CT evaluation of facial asymmetr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5;99:212-20 

  18. Kawamata A, Ariji Y, Langlais RP. :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imaging in dentistry. Dent Clin North Am 2000;44:395-410 

  19. Kawamata A, Ariji Y, Langlais RP. : Three-dimensional imaging for orthognathic surgery and orthodontic treatment. Oral Maxillofac Surg Clin North Am 2001;13:713-25 

  20. Matteson SR, Bechtold W, Phillips C. : A method for threedimensional image reformation for quantitative cephalometric analysis. J Oral Maxillofac Surg 1989; 47:1053-61 

  21. Hildebolt CF, Vannier MW, Knapp RH. : Validation study of skull three- dimensional computerized tomography measurements. Am J Phys Anthropol 1990; 82:283-94 

  22. Cavalcanti MGP, Haller JW, Vannier MW. :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 graphy landmark measurement in craniofacial surgical planning: experimental validation in vitro. J Oral Maxillofac Surg 1999;57:690-4 

  23. Cavalcanti MGP, Vannier MW. : Quantitative analysis of spiral computed tomo- graphy for craniofacial clinical applications. Dentomaxillofac Radiol 1998;27:344-50 

  24. Nawaratne S, Fabiny R, Brien JE, Zalcberg J, Cosolo W, Whan A, et al. : Accuracy of volume measurement using helical CT. J Comput Assist Tomogr 1997;21:481-6 

  25. Xia J, Ip HH, Samman N, Wang D, Kot CS, Yeung RW, et al. : Computer-assisted three-dimensional surgical planning and simulation: 3D virtual osteotomy.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0;29:11-7 

  26. Peck H, Peck S. A concept of facial esthetics, Angle Orthod 40 : 284-318, 1970 

  27. Bishara SE, Burkey PS, Kharouf JG. : Dental and facial asymmetries, Angle Orthod 1994;64 : 89-98 

  28. 안정순, 황현식 : 안면비대칭에 대한 주관적 인지도와 정모두부 방사선사진 분석치의 연관성. 대치교정지 2001;31:489-98 

  29. Haraguchi S, Takada K, Yasuda Y. : Facial asymmetry in subjects with skeletal Class III deformity. Angle Orthod 2002;72:28-35 

  30. Masahito Maeda, DDS,a Akitoshi Katsumata, DDS, PhD,b Yoshiko Ariji, DDS, PhD,c Atsushi Muramatsu, DDS,d Kenji Yoshida, DDS, PhD,e Shigemi Goto, DDS, PhD,f Kenichi Kurita, DDS, PhD,g Eiichiro Ariji, DDS, PhD,h Nagoya and Gifu, : Japan 3D-CT evaluation of facial asymmetry in patients with maxillofacial deformiti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6;02:382-90 

  31. Bruneteau RJ, Mulliken JB. : Frontal plagiocephaly: synostotic, compensational, or deformational. Plast Reconstr Surg 1992;89:21-31 

  32. Captier G, Leboucq N, Bigorre M, Canovas F, Bonnel F, Bonnafe A, Montoya P. : Plagiocephaly: morphometry of skull base asymmetry. Surg Radiol Anat 2003;25: 226-233 

  33. Kane AA, Lo LJ, Vannier MW, Marsh JL. : Mandibular dysmorphology in unicoronal synostosis and plagiocephaly without synostosis. Cleft Palate Craniofac J 1996;33: 418-423 

  34. Sakurai A, Hirabayashi S, Sugawara Y, Harii K. : Skeletal analysis of craniofacial asymmetries in plagiocephaly (unilateral coronal synostosis). Scand J Plast Reconstr Surg Hand Surg 1998;32: 81-89 

  35. St John D, Mulliken JB, Kaban LB, Padwa BL. : Anthropometric analysis of mandibular asymmetry in infants with deformational posterior plagiocephaly. J Oral Maxillofac Surg 2002;60:873-877 

  36. 이충국. 이용환 : 비대칭안모 대한악안면성형외과학회지 1986;8:33-40 

  37. Kiyak HA. Hohl T, Sherrick P. et, al. : Sex differences in motives for and out- comes of orthognathic surgery, J Oral Surg 1981;39:757-64 

  38. Pirttiniemi PM : Associations of mandibular and facial asymmetries- a review,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4;106 :191-200 

  39. Kreiborg S, Moller E, Bjork A. : Skeletal and functional craniofacial adaptations in plagiocephaly. J Craniofac Genet Dev Biol Suppl 1985;1:199-210 

  40. Sgouros S, Natarajan K, Hockely AD, Goldin JH, Wake M. : Skull base growth in childhood. Pediatr Neurosurg 1993;31:259-68 

  41. T.-G. Kwon, H.-S. Park, H.-M. Ryoo, S.-H. Lee. : A comparison of craniofacial morphology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facial asymmetry- a three-dimensional analysis with computed tomography.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6;35:43-48 

  42. Seung-Hak Baek, Il-Sik Cho et al. : Skeletodental factors affecting chin point deviation in female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and facial asymmetry: a three-dimensional analysis using computed tomograph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7;104:628-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