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가[宗家]의 제례복식[祭禮服飾]에 관한 연구 - 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itual Costume of Jongga - Centering around Po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8 no.1, 2008년, pp.79 - 89  

마유리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박자명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김은정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ongga means a head family by only first son's line of each generation. It is our culture's root and identity. It also includes ritual for continuing filial duty. Ritual takes the main role on jongga culture to pay respects to Jongga's ancestors and roots. Therefore, ritual costume's importance c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례편람』은 밀암 이재(李繹)가 1844년에 저술한 책으로 관혼상제의 사례에 관한 종합적 참고서이다. 그의 예학에 관한 깊은 조예를 토대로, 당시 거의 맹목적으로 시행되던『가례』의 허점을 보완하면서 이를 현실적으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엮은 것이다. 이재는 조선시대 영남지방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영남학파에 속하는 인물이다.
  • 된다. 또한 문묘에 배향된 조상의 정신을 배우고 생활화하며 그의 정신을 후대에 전승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불천위를 모시는 종가들은 짧게는 이백여 년에서 길게는 사백여 년이 되었으며, 이들이 그 동안 나름대로의 반가일 뿐만 아니라 국불천(國不遷) 종가로서의 특성을 지닌다.
  • 따라서 특정 지역에서 오랜 기간 삶의 기반을 형성해 온 종가에는 나름대로의 복식문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종가문화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에 따른 제례복식의 형태적 특성을비교분석해 보았다. 종가의 제례복식을 지역별로 현장 조사 한 결과, 경상도 지역과 전라도 지역에서 착용하는 제례복식의 종류와 형태적 특성에 있어서 나타난 차이는 다음과 같다.
  • 현장조사는 현재 종손이 거주하고 있으며 사당에서 불천위(不遷位: 큰 공훈이 있는 분으로서 영원히 사당에 모시기를 나라에서 허락한 신위)를 모시고 있는 종가를 기초로 면담조사와 사진촬영, 실측 조사를 통해 제례복식의 형태와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경상도 지역과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종가의 제례복식 중 포의 형태적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현대문명 속에서 사라져가고 있는 종가의 정체성과 의미를 되새기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포의 형태적 특성은 소매 . 무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이순형 (2000). 한국의 명문 종가.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 3 

  2. 김득중 (1998). 우리의 전통예절. 서울: 한국문화재보호협회, pp. 284-286 

  3. 이연자 (2001). 종가이야기. 서울: 컬쳐라인, p. 256 

  4. 면담자: 14대 종부 최희(崔熙.75),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강천리 강동마을 50-1번지, 중요민속자료 제205호. (면담일: 2005년 11월 16일) 

  5. 면담자: 17대 종부 이원정(李源定.43),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운곡리 168-3번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2호. (면담일: 2005년 12월 6일) 

  6. 면담자: 14대 종손 류영하(柳寧夏.74),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730번지, 보물 제414호. (면담일: 2005년 12월 7일) 

  7. 면담자: 14대 종손 윤형식(尹亨植.67),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82번지, 사적 제167호. (면담일: 2005년 11월 16일) 

  8. 면담자: 19대 종손 박환진(朴煥珍.76),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 호곡리 270-1번지, 전북 유형문화재 제180호. (면담일: 2005년 11월 23일) 

  9. 면담자: 18대 종손 신호준(辛鎬俊.72),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입석리 373번지, 전남민속 자료 제26호. (면담일: 2005년 12월 6일) 

  10. 이순형 (2000). 한국의 명문 종가.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 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