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죽황(竹黃)으로부터 분리한 미백활성 성분의 멜라닌생성 억제효과
The Antimelanogenic Effects of Compounds Extracted from Bamboo Inner Film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4 no.4, 2008년, pp.287 - 301  

이기무 (애경산업(주) 중앙연구소) ,  이은창 (공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  조순장 (공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  문석식 (공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물로부터 미백활성 성분의 개발을 위하여 국내 자생식물 60종으로부터 추출물을 얻어, 이들의 멜라닌 생성과정의 주된 효소인 tyrosinase 활성 억제력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노랑하늘타리(열매), 죽황, 누리장나무(잎), 우산고로쇠(잎) 추출물이 비교적 높은 tyrosinase 활성억제효과를 보였고, 이들의 $IC_{50}$ 값은 $50{\sim}100{\mu}g/mL$ 이었다. 이들의 멜라닌생성 억제효과를 B16F10 흑색종세포주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죽황추출물이 가장 높은 52%의 멜라닌생성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이는 기존 미백제인 arbutin (42%)에 비해 10% 높은 것이다. 죽황추출물로부터 용매추출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분리과정을 거쳐 10가지 미백활성 성분을 분리하였다. 이들은 모두 페놀유도체 화합물로서, SM701과 SM702, SM703, BPR211은 hydroquinone계 화합물이며, SM707은 gallic acid계, SM704와 SM705, SM706, SM708, SM709는 ferulic acid계로 확인되었다. 이들의 유리기 소거효과를 hydorquinone과 비타민 C와 비교하여 측정하였을 때. $SC_{50}$ 값이 SM702와 SM709의 경우 $60{\sim}70{\mu}M$로 hydroquinone과 유사하였고, SM701과 SM708은 $30{\sim}40{\mu}M$로 비타민 C ($45{\mu}M$)보다 낮은 값을 보여 죽황추출물은 항산화활성이 높은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중 1,2-O-diferulylglycerol로 확인된 SM709 성분은 tyrosine hydroxylase 및 DOPA oxidase 활성을 각각 18, 60% 억제하였고, B16F10 흑색종세포주를 이용한 멜라닌생성량 억제시험에서 62%의 저해효과를 나타내 가장 높은 미백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죽황추출물의 미백활성은 주로 멜라닌 생성과정의 DOPA oxidsae 저해효과와 항산화효과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develop a new depigmenting agent, extracts were obtained from 60 native plants and their antimelanogenic activities were screened by evaluating the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which is a major enzyme responsibles for the melanin synthesis. The extracts of Trichosanthes kirilowii frui...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내 멜라닌은 어디에서 합성되는가? 멜라닌(melanin)은 적갈색(pheomelanin) 또는 흑갈색(eumelanin)의 고분자화합물로서 멜라닌세포(melanocyte) 내 멜라닌소체(melanosome)라는 소기관에서 합성된다[1]. 합성된 멜라닌색소는 멜라닌세포의 수지상돌기(dendrite)를 통하여 인접세포인 각질세포(keratinocyte)로 전달되며, 전달된 멜라닌색소는 각질세포를 통하여 피부 내 여러 부위에 분포하게 된다[2].
과색소질환치료제로 사용되는 성분인 retinoic acid, azelaic acid, hydroquinone 등은 어떤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가? 과색소질환치료제로 사용되는 성분으로는 retinoic acid, azelaic acid, hydroquinone 등이 알려졌으며 이들은 주로 병용에 의해 치료효과가 상승된다. 그러나 이들 성분은 일반적으로 세포독성이 크거나, 피부에 부작용이 보고되어 있어 화장품의 미백성분으로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으며, 주로 의사 처방에 따라 국소적인 치료제로 사용된다[6].
Kojic acid의 미백기작은 어떠한가? 국소적으로 의사처방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retinoic acid, hydroquinone, steroids 등과는 달리 부작용이 적은 화장품의 미백제로는 kojic acid, arbutin, 비타민 C 등이 이용된다. Kojic acid의 미백기작은 멜라닌합성 주 효소인 tyrosinase 내 Cu2+와 착염을 형성함으로써 멜라닌생합성을 저해하거나[8], DOPA chrome tautomerase와 DHICA oxidase에 간섭하여 멜라닌 형성을 억제한다고 알려졌다. Perez-Bernal 등[9]은 kojic acid 1 %와 α-hydroxy acid를 혼합 처방한 제품에서 기미환자의 과색소질환이 개선됨을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V. J. Hearing, Biochemical control of melanogenesis and melanosomal organization, J. Invest. Dermatol. Symp. Proc., 4(1), 24 (1999) 

  2. A. G. Lowell, Physiology,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of the skin,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Inc., New York, 891 (1991) 

  3. S. Tuomaala, S. Eskelin, A. Tarkkanen, and T. Kivela, Population-based assessment of clinical characteristics predicting outcome of conjunctival melanoma in whites, Invest. Ophthalmol. Vis. Sci., 43(11), 3399 (2002) 

  4. H. K. Kim, S. K. Kim, and S. W. Hwang, Daily topical sequential triple therapy of tretinoin, betamethasone valerate and hydroquinone on melasma, Kor. J. Dermatol., 18(6), 529 (1980) 

  5. J. H. Paik and M. H. Lee, Antimelanogenic effects of arbutin, Kor. J. Dermatol., 38(10), 1303 (2000) 

  6. A. Perez-Bernal, M. A. Munoz-perez, and F. Camacho, Management of facial hyperpigmentation, Am. J. Clin. Dermatol., 1(5), 261 (2000) 

  7. K. Jimbow, H. Obata, M. A. Pathak, and T. B. Fitzpatrick, Mechanism of depigmentation by hydroquinone, J. Invest. Dermatol., 62(4), 436 (1974) 

  8. M. E. Winkler, K. Lerch, and E. I. Solomon, Competitive inhibitor binding to the binuclear copper active in tyrosinase, J. Am. Chem. Soc., 103(23), 7001 (1981) 

  9. A. Perez-Bernal, M. A. Munoz-Perez, and F. Camacho, Management of facial hyperpigmentation, Am. J. Clin. Dermatol., 1(5), 261 (2000) 

  10. K. Maeda and M. Fukuda, Arbutin: mechanism of its depigmenting action in human melanocyte culture, J. Pharmacol. Exp. Ther., 276(2), 765 (1996) 

  11. J. H. Paik and M. H. Lee, Antimelanogenic effects of arbutin, Kor. J. Dermatol., 38(10), 1303 (2000) 

  12. K. Kameyama, C. Sakai, S. Kondoh, K. Yonemoto, S. Nishiyama, M. Tagawa, T. Murata, T. Ohnuma, J. Quigley, A. Dorsky, D. Bycks, and K. Blanock, Inhibitory effect of magnesium L-ascorbyl-2- phosphate (VC-PMG) on melanogenesis in vitro and in vivo, J. Am. Acad. Dermatol., 34(1), 29 (1996) 

  13. D. I. Jang, B. G. Lee, C. O. Jeon, N. S. Jo, S. Y. Park, H. Lee, and J. S. Koh, Melanogenesis inhibitor from paper mulberry, Cosme. & Toilet., 112(3), 59 (1997) 

  14. K. H. Jeon, B. G. Lee, D. G. Park, and B. S. Lee, Cosmetic composit for whitening containing Broussonetia kazinoki extract, KP 10-0070824 (2001) 

  15. G. T. Lee, J. N. Lee, G. H. Jeong, Y. J. Lee, and S. G. Lee, Cosmetic composit for whitening containing senkunolide A, KP 10-0504408 (1995) 

  16. S. H. Lee, J. S. Park, S. Y. Kim, J. J. Kim, and S. R. Chung, The screening of the inhibitory compounds on tyrosinase activity from the natural product, Yakhak Haeji, 41(4), 456 (1997) 

  17. F. Nanjo, K. Goto, R. Seto, M. Suzuki, M. Sakai, and Y. Hara, Scavenging effects of tea catechins and their derivatives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Free Radic. Biol. Med., 21(6), 895 (1996) 

  18. T. Mosmann,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1), 55 (1983) 

  19. H. Ando, Y. Funasaka, M. Oka, A. Ohashi, M. Furumura, J. Matsunaga, N. Matsunaga, V. H. Hearing, and M. Ichihashi, Possible involvement of proteolytic degradation of tyrosinase in the regulatory effect of fatty acids on melanogenesis, J. Lipid Res., 40(7), 1312 (1999) 

  20. J. H. Park, G. S. Young, U. K. Shin, and S. K. Baek,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some herbal drugs, Yakhak Haeji, 41(4), 518 (1997) 

  21. H. Shimomura, Y. Sashida, Y. Mimaki, Y. Kudo, and K. Maeda, New phenylpropanoid glycerol glucosides from the bulbs of Lilium species, Chem. Pharm. Bull., 36(12), 4841 (1988) 

  22. JP 1994-60157273 

  23. H. Shimomura, Y. Sashida, and Y. Mimaki, Phenolic glycerides from Lilium auratum, Phytochem. 26(3), 844 (198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