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시설 치매노인의 배회행동
Wandering Behavior in Korean Elders with Dementia Residing in Nursing Home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8 no.1, 2008년, pp.29 - 38  

송준아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임영미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  홍(손)귀령 (한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various factors relatied to wandering behavior of Korean elders with dementia (KED). Methods: A sample of 160 ambulatory residents with dementia from 14 long term care facilities was used to examine demographic, individual, cognitive, physical health, and environ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요양시설 치매노인의 배회행동을 조사하고 관련되는 제 특성들을 파악함으로써 한국 치매노인의 배회 행동에 대한 이해를 도와 한국의 실정에 맞는 배회 관리 및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게 하기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 었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 치매노인의 배회행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횡단적 비교조사 연구 설계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 치매노인의 배회행동과 관련되는 일반적, 개인적, 인지적, 신체적, 환경적 제 특성을 파악하여 한국 치매 노인의 배회행동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특히, 배회행동의 다각적 측면을 조사할 수 있는 도구인 KRAWS-NH를 사용하여 배회하는 노인과 배회하지 않는 노인을 비교함으로써 치매노인의 배회 행동과 관련되는 여러 가지 요소들에 대해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은 치매 노인의 배회행동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현 한국의 실정을 고려할 때 매우 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 그러나, 이상의 연구들은 모두 외국의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행해진 것으로 한국의 치매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배회에 관한 유사 연구 및 체계적인 조사 연구는 하나도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연구는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배회를 하는 노인과 배회를 하지 않는 노인의 제 특성들을 비교하여 한국 치매 노인의 배회 행동에 대한 이해를 도움으로써 한국의 실정에 맞는 배회 관리 및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gase, D. L. (1999). Wandering in Dementia: State of Science. New York: Springer 

  2. Algase, D. L., Beattie, E., & Song, J. (2000). Differences in wandering by age, sex, race, and medical basis of dementia. Poster presented at the World Alzheimer Congress 2000, Washington, DC 

  3. Algase, D. L., Beattie, E. R., Bogue, E. L., & Yao, L. (2001). The Algase Wandering Scale: initial psychometrics of a new caregiver reporting tool. Am J Alzheimers Dis Other Demen, 16, 141-152 

  4. Algase, D. L., Kupferschmid, B., Beel-Bates, C. A., & Beattie, E. R. (1997). Estimates of stability of daily wandering behavior among cognitively impaired long-term care residents. Nurs Res, 46, 172-178 

  5. Beattie, E. R., Song, J., & LaGore, S. (2005). A comparison of wandering behavior in nursing homes and assisted living facilities. Res Theory Nur Pract, 19, 181-196 

  6. Conant-Arp, C., & Robinson, J. (1997). Long-term care design: life-enhancing design strategies at the Louis Feinstein Alzheimer day care center. J Healthc Des, 9, 117-120 

  7. Cooper, J. K., Mungas, D., & Weiler, P. G. (1990). Relation of cognitive status and abnormal behaviors in Alzheimer's disease. J Am Geriatr Soc, 38, 867-870 

  8. Everitt, D. E., Field, C. M., Soumerai, S. S., & Avorn, J. (1991). Resident behavior and staff distress in the nursing home. J Am Geriatr Soc, 38, 792-798 

  9. Hope, T., Tilling, K. M., Gedling, K., Keene, J. M., & Cooper, S. D. (1994). The structure of wandering in dementia. Int J Geriatr Psychiatry, 9, 149-155 

  10. Hussian, R. A. (1981). Geriatric Psychology: A Behavioral Perspective.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Co 

  11. Kang, Y., Na, D. L., & Hahn, S. (1997). A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dementia patients. J Korean Neurol Assoc, 15, 300-308 

  12. Kim, J. H., & Lee, C. E. (2000). A study on the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dementia elderly. J Korean Gerontol Nurs, 2, 176-183 

  13. Kim, T. H., & Jun, G. Y. (1996). A study on caregiving situations and resources for adjustment among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J Korean Home Econom Assoc, 34, 145-160 

  14. Kiely, D. K., Morris, J. N., & Algase, D. L. (2000). Residents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wandering in nursing homes. Int J Geriatr Psychiatry, 15, 1013-1020 

  15. Korean Statistical Office (2005). The results of special estimation of future population. Retrieved August 10, 2007, from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b site: http://www.nso.go.kr.htm 

  16. Kwon, J. D. (1995).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tool and model for the caregiving. Seoul: Hongikjae 

  17. Lee, B. W., & Park, J. S. (1997). A study on the color planning of facilities for the elderly as an environmental element. J Korean Inst Healthc Archit, 3(5), 53-66 

  18. Lezak, M. D. (1995).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3rd ed). Oxford University Press 

  19. Medicity website. Retrieved August 10, from https://www.medcity. com/zboard/zboard.php?id chimae&no514 

  20. Nelson, J. (1995).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in incidents of disruptive behavior. J Gerrontol Nurs, 21(5), 19-24 

  21. Price, J. D., Hermans, D. G., & Evans, G. (2000). Subjective barriers to prevent wandering of cognitively impaired peopl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CD001932 

  22. Rowe, M. A., & Glover, J. C. (2001). Antecedents, descriptions and consequences of wandering in cognitively-impaired adults and the Safe Return (SR) program. Am J Alzheimers Dis Other Demen, 16, 344-352 

  23. Sloane, P. D., Mitchell, M., Preisser, J. S., Phillips, C., Commander, C., & Burker, E. (1998). Environmental correlates of resident agitation in Alzheimer's disease special care units. J Am Geriatr Soc, 46, 862-869 

  24. Song, J. (2003). Relationship of premorbid personality and behavioral responses to stress to wandering behavior of residents with dementia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25. Song, W., Joo, J. H., & Park, J. S. (1999).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dementia ward. J Korean Inst Healthc Archit, 5(8), 33-41 

  26. Struble, L. M. (1995). Ambulation behaviors of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 Case studies of residents in three facilities along the homelike continuu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27. Thomas, D. W. (1997). Understanding the wandering patient: a continuity of personality perspective. J Gerontol Nurs, 23(1), 16-24 

  28. Tumbull, G. (2002). Features: the bottom line on wandering and elopement. Extended Care Product News, 83(5), 20-21 

  29. Yao, L., & Algase, D. (2006). Environmental ambiance as a new window on wandering. West J Nurs Res, 28(1), 89-104 

  30. Yu, Y. M. (1999).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skilled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J Korean Inst Healthc Archit, 5(9), 97-1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