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의 인터넷 건강정보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Comsumer's Usage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41 no.4, 2008년, pp.241 - 248  

박종혁 (국립암센터) ,  이진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  장혜정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의료경영학) ,  김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a gap between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Methods: A telephone survey of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s was condu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1,000 of the 1,189 responses obtain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사하였다. 건강정보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주관적인 건강 정보 필요 여부를 조사하였다.
  • 또한, 인터넷 건강정보 활용은 지난 일 년 간 인터넷을 통하여 의료기관 정보. 건강행태, 질병 정보등의 건강정보를 활용하였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건강정보는 일반적인 건강정보(식이, 운동, 금연 등)에 대한 궁금증, 특정 증상이나 질환, 의학전문용어, 특정 의사나 병 .
  • 따라서 본 연구는 컴퓨터를 소유하고 있으면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사람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전체 소비자의 인터넷 건강정보의 활용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소비자의 태도나 욕구에 따라 살펴보고자 한다. 즉 이 번 연구의 가설은 '사회적으로 취약한 집단이 오히려 인터넷 건강정보 활용이 더 적을 것이다' 라는 가정은 살펴보려고 한다.

가설 설정

  • 따라 살펴보고자 한다. 즉 이 번 연구의 가설은 '사회적으로 취약한 집단이 오히려 인터넷 건강정보 활용이 더 적을 것이다' 라는 가정은 살펴보려고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Eysenbach G. Consumer health informatics. BMJ 2000; 320(7251): 1713-1716 

  2. Murray E, Lo B, Pollack L, Donelan K, Catania J, Lee K et al. The impact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on health care and the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National U.S. Survey among 1,050 U.S. Physicians. J Med Internet Res 2003; 5(3): e17 

  3. Kassirer JP. Patients, physicians, and the internet. Health Aff (milwood) 2000; 19(6): 115-123 

  4. Pew Internet and American Life Project. The online health care revolution: how the Web helps Americans take better care of themselves. [cited 2001 Jan 17]. Available from URL: http://www.pewinternet.org 

  5. Ball MJ, Lillis J. E-health: Transforming the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2001; 61; 1-10 

  6. Ipsos-Reid. Internet Use Continues To Climb In Most Markets. Web Access Not Just Routine, But Essential, Ipsos-Reid Study Shows. 2002. Available from URL: http://www.ipsosna. com/news/pressrelease.cfm?id1690 

  7. Suh MK. Analysis and Evaluation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0. (Korean) 

  8.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Authorization of Ethics on Medical Informatics by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The 17th Annual Meeting for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Seoul: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2001. (Korean) 

  9. Jadad AR, Gagliardi A. Rating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Navigating to knowledge or to Babel. JAMA 1998; 279(8): 611-614 

  10. Kang NM, Hyun TS, Tak KR. Analysis of demands on information service through PC network to establish information systems for Korean womenKs health and nutrition. Korean Acad Womens Health Nurs 1999; 4(3): 365-374. (Korean) 

  11. Chang BL, Bakken S, Brown SS, Houston TK, Kreps GL, Kukafka R, et al. Bridging the digital divide: Reaching vulnerable populations. J Am Med Inform Assoc 2004; 11(6): 448-457 

  12. Wagner TH, Bundorf MK, Singer SJ, Baker LC. Free internet access, the digital divide, and health information. Med Care 2005; 43(4): 415-420 

  13. Murray E, Lo B, Pollack L, Donelan K, Catania J, White M et al. The impact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on the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Patient perceptions. Arch Intern Med 2003; 163(14): 1727-1734 

  14. Brodie M, Flournoy RE, Altman DE, Blendon RJ, Benson JM, Rosenbaum MD. Health information, the internet, and the digital divide. Health Affairs 2000; 19(6): 255-265 

  15. Smith SK. Bridging the digital divide in health: HINARI Information Outlook, June, 2003 avaiable from: URL: http://findarticles.com/p/ articles/mi_m0FWE/is_6_7/ai_104032205 

  16. Potts HW, Wyatt JC. Survey of doctorsK experience of patients using the Internet. J Med Internet Res 2002; 4(1): e5 

  17. Park KR, Park JY, Han CH. Utilization rate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health-related departments. Health Educ Soc Health Promot 2004; 21(1): 85-102. (Korean) 

  18. DiMaggio P, Hargittai E, Newman WR, Robinson JP. Social implications of the internet. Ann Rev Sociol 2001; 27: 307-336 

  19. Haughton LT, Kreuter M, Hall J, Holt CL, Wheetley E. Digital divide and stability of access in African American women visiting urban public health centers. J Health Care Poor Underserved 2005; 16(2): 362-374 

  20. Kiel JM. The digital divide: Internet and e-mail use by the elderly. Med Inform Internet Med 2005; 30(1): 19-23 

  21. Houston TK, Allison JJ, Users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Differences by health status. J Med Internet Res 2002; 4(2): e7 

  22. Chae YM, Lee SH, Cho WH.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of health care consumers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Korean J Prev Med 2001; 34(4): 389-398. (Korean) 

  23. Smith-barbaro PA, Licciardone JC, Clarke HF. Factors associated with intended use of a Web site among family practice patients. J Med Internet Res 2001: 3(2): e17 

  24. Licciardone JC, Smith-barbaro PA, Coleridge ST. Use of the internet as a resource for consumer health information: Results of the second osteopathic survey of health care in America (OSTEOSURV-II). J Med Internet Res 2001; 3(4): e31 

  25. Pingree S, Hawkins RP, Custafson DH. Will the disadvantaged ride the information superhighway? Hopeful answers from a computer-based health crisis system. J Broadcast Electron Media 1996; 40(3): 331-353 

  26. Sohn AR, Suh MK. Evaluating health information sites on the Internet in Korea: a cross-sectional survey. Asia Pac J Public Health 2001; 13Suppl: S19-22 

  27. Gochman DS. Handbook of Health Behavior Research. Vol. I: Personal and Social Determinants. New York: Plenum Press; 1997. p. 153-155 

  28. Dutta-Bergman M. Trusted online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Differences in demographics, health beliefs, and health-information orientation. J Med Internet Res 2003; 5(3): e21 

  29. Park JH, Cho BL, Kim YI, Shin YS, Kim Y. Assessing the quality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using DISCERN. J Korean Soc Med Inform 2005; 11(3): 235-2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