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배경: 기계환기폐렴의 원인균을 조기에 진단하면 이 질환의 예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내튜브 흡인액을 이용하여 기계환기폐렴의 주된 원인균인 녹농균, 폐렴막대균 그리고 메치실린내성 포도알균에 대한 multiplex PCR법을 시행하여 기계환기폐렴의 원인균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기계환기폐렴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24시간 이내에 기관내튜브 흡인액을 채취하여 $20^{\circ}C$ 냉동실에 보관하였고, 추후에 multiplex PCR을 시행하였다. Forward & reverse primer는 각각의 원인균에 특이한 부위에 맞춰서 제작하였다(녹농균의 oprL gene, 폐렴막대균의 16S rRNA, 메치실린내성 포도알균의 mec gene). 기관내튜브흡인액의 배양검사를 포함한 기계환기폐렴 환자의 임상적 및 검사실 소견을 함께 분석하였다. 결과: 총 24명(남자 18명, 여자 6명)의 기계환기폐렴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나이(평균${\pm}$표준편차)는 $70{\pm}11$세였다. 모든 환자는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기관내튜브 흡인액의 배양에서 11명에서 원인균이 검출되었다(녹농균 2예, 폐렴막대균 1예, 메치실린내성 포도알 균 2예, 기타 그람음성간균 3예, 폐렴알균 2예, 복합감염 1예). 녹농균에 대한 multiplex PCR은 3예에서 양성이 나왔으며, 2예가 배양결과와 일치하였다. 폐렴막대균에 대해서는 4예에서 양성이었으며, 1예가 배양결과와 일치하였다. 메치실린내성 포도알균은 2예에서 양성이었으나, 모두 배양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기계환기폐렴의 예후는 적절한 항생제의 사용 여부와 폐렴 발생 당시의 APA-CHE III score에 영향을 받았다. 결론: 기관내튜브 흡인액을 이용한 multiplex PCR법은 기계환기폐렴에서 그람음성균의 진단에는 가능성을 보였으나, 향후 실제 유용성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Early identification of pathogens can improve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VAP).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performing multiplex PCR for endotracheal aspirates to detect three important pathogens (P. aeruginosa, K. pneumonia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기계환기폐렴이 발생하였을 때 세 가지 중 어떤 것이 원인균인지를 조기에 파악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환기폐렴 환자의 기관내튜브 흡인액을 이용하여 위의 세가지 균에 대한 multiplex PCR을 시행함으로써 기계 환기폐렴의 원인균을 조기에 동정하고자 하였다. 전통적인 배양법과 multiplex PCR의 결과를 비교해보면, 녹농균에 대해서 multiplex PCR은 배양법에서 확인된 2예와 합치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추가로 다른 1예에서도 양성으로 나타났다(multiplex PCR 민감도: 100%, 특이도: 67%).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보고에서와 마찬가지로 기계환기폐렴 초기에 선택된 항생제의 적절성이 환자의 예후를 좌우하였다. 적절한 항생제가 투여된 환자 6명은 모두 생존하였으나, 부적절한 항생제가 투여된 환자는 5명 중에 1명만이 생존하였다(Table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계환기폐렴의 주요 원인균은 무엇인가? 기계환기폐렴의 주요 원인균인 녹농균, 폐렴막대균 그리고 메치실린내성 포도알균의 세 균에 대하여 동시에 multiplex PCR을 시행하였다. 녹농균의 세포벽의 지질단백 부위인 oprL는 녹농균에 특이적이면서도 항생제 내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이 부위에 대하여 primer를선정하였으며11,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기계환기폐렴의 원인균을 밝혀내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기계환기폐렴의 원인균을 밝혀내기 위한 방법으로 혈액배양, 기관내 튜브 흡인액의 배양검사 등이 이용되지만, 혈액배양은 원인균이 배양되는 경우가 드물며, 기관내 튜브 흡인액은 튜브 안 쪽에 상존하는 균에 의한 오염의 가능성이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런 오염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 기관지 내시경을 통해서 기관지솔질(protected specimen brushing)7 또는 기관지폐포세척술(protected bronchoalveolar lavage)8,9 등의 방법이 동원되기도 하지만 중환자에게 기관지내시경을 시행하여야 한다는 위험성의 부담이 있으며, 정량적 배양을 따로 해야 하는 번거 로움 때문에 아직까지는 널리 이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oprL의 구조는 어떻게 되는가? 녹농균의 세포벽의 지질단백 부위인 oprL는 녹농균에 특이적이면서도 항생제 내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이 부위에 대하여 primer를선정하였으며11,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Forward primer:5’-ATGGAAATGCTGAAATTCGGC-3’, Reverse primer:5’-CTTCTTCAGCTCGACGCGACG-3’. 폐렴막대균에 특이 적인 16S rRNA 부위에 대하여 primer 선정하였으며12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raven DE, Palladino R, McQuillen DP.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in adults: management principles to improve outcomes. Infect Dis Clin North Am 2004;18:939-62 

  2. American Thoracic Society; Infectious Disease Society of America.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dults with hospital-acquired, ventilator-associated, and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5;171:388-416 

  3. Rosenthal VD, Guzman S, Migone O, Safdar N. The attributable cost and length of hospital stay because of nosocomial pneumonia in intensive care units in 3 hospitals in Argentina: a prospective, matched analysis. Am J Infect Control 2005;33:157-61 

  4. Craven DE, Steger KA. Epidemiology of nosocomial pneumonia. New perspectives on an old disease. Chest 1995;108:1S-16S 

  5. Meduri GU. Diagnosis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lin Chest Med 1995;16:61-93 

  6. Andrews CP, Coalson JJ, Smith JD, Johanson WG Jr. Diagnosis of nosocomial bacterial pneumonia in acute, diffuse lung injury. Chest 1981;80:254-8 

  7. Meduri GU, Chastre J. The standardization of bronchoscopic techniques for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hest 1992;102:557S-64S 

  8. Baselski VS, el-Torky M, Coalson JJ, Griffin JP. The standardization of criteria for processing and interpreting laboratory specimens in patients with suspected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hest 1992;102:571S-9S 

  9. Moon DS, Lim CM, Pai CH, Kim MN, Chin JY, Shim TS, et al. Study for diagnostic efficacy of minibronchoalveolar lavage in the detection of etiologic agent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patients receiving antibiotics. Tuberc Respir Dis 1999;47:321-30 

  10. Porzecanski I, Bowton DL. Diagnosis and treatment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hest 2006;130:597-604 

  11. Duan K, Lafontaine ER, Majumdar S, Sokol PA. RegA, iron, and growth phase regulate expression of the Pseudomonas aeruginosa tol-oprL gene cluster. J Bacteriol 2000;182:2077-87 

  12. Pingle MR, Granger K, Feinberg P, Shatsky R, Sterling B, Rundell M, et al. Multiplexed identification of blood-borne bacterial pathogens by use of a novel 16S rRNA gene PCR-ligase detection reaction-capillary electrophoresis assay. J Clin Microbiol 2007;45:1927-35 

  13. Ito T, Kuwahara K, Hiramatsu K. Staphylococcal cassette chromosome mec (SCC mec) analysis of MRSA. Methods Mol Biol 2007;391:87-102 

  14. Ranes JL, Gordon SM, Chen P, Fatica C, Hammel J, Gonzales JP, et al. Predictors of long-term mortality in patients with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m J Med 2006;119:897.e13-9 

  15. Luna CM, Aruj P, Niederman MS, Garzon J, Violi D, Prignoni A, et al. Appropriateness and delay to initiate therapy in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Eur Respir J 2006;27:158-64 

  16. Stralin K, Tornqvist E, Kaltoft MS, Olcen P, Holmberg H. Etiologic diagnosis of adult bacterial pneumonia by culture and PCR applied to respiratory tract samples. J Clin Microbiol 2006;44:643-5 

  17. Rello J, Lorente C, Diaz E, Bodi M, Boque C, Sandiumenge A, et al. Incidence, etiology, and outcome of nosocomial pneumonia in ICU patients requiring percutaneous tracheotomy for mechanical ventilation. Chest 2003;124:2239-43 

  18. Cowen JS, Kelley MA. Errors and bias in using predictive scoring systems. Crit Care Clin 1994;10:53-72 

  19. Escarce JJ, Kelley MA. Admission source to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 predicts hospital death independent of APACHE II score. JAMA 1990;124:2389-94 

  20. Knaus WA, Wagner DP, Draper EA, Zimmerman JE, Bergner M, Bastos PG, et al. The APACHE III prognostic system: risk prediction of hospital mortality for critically ill hospitalized adults. Chest 1991;100:1619-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