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초급한국어교재의 생활문화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the Life and Culture of the Primary Korean Textbook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7 no.1 = no.97, 2009년, pp.107 - 125  

최배영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nalyzes the life and culture contents of the primary Korean textbook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investigates ways to improve the textbook organization in futur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extbook must reflect the demand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s learners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활문화란 무엇인가? 생활문화는 일상의 생활문화 전체를 아우르는 것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하루하루를 살아가면서 부딪치게 되는 일상생활에 원만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교육적 배려가 요구되는 문화요소이다(백미옥, 2007). 조항록(2008b: 284)은 일상 생활문화의 개념을 little C로 정의하고, 여기에는 사회구성원의 행위의 모든 것(언어적, 비언어적 행위), 신념, 가치관, 태도 등이 포함된다고 보았다.
한국에 거주하게 되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에게 한국어와 생활문화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이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가? 한국에 거주하게 되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에게 한국어와 생활문화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 학습자, 교재, 교육과정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이중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교사와 학습자를 연결해주는 교량의 역할을 하는 것이 한국어교재이다.
한국어교육전공자와 생활문화전공자가 함께 한국어교재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를 실시하여 표준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토대를 다져야 하는 것은 어떤 제약들 때문인가? 이상의 견해를 종합해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생활문화교육 상의 몇 가지 제약점을 간추려보면 첫째, 한국어교육과는 별도로 생활문화교육이 실시되는 경우 음식, 예절과 같은 일부 단편적 내용에 치중되고 있어 한국어교육과의 연계성을 염두에 두면서 생활문화교육 내용의 다양성이 모색되어야 한다. 둘째, 한국어교사가 교재를 기반으로 생활문화교육을 실시하는 경우 교재에 제시된 내용에만 한정되기 쉽고 표준화된 교육프로그램이 없어 교사의 역량과 준비에만 의존하게 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이 같은 제약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국어교육전공자와 생활문화전공자가 함께 한국어교재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를 실시하여 표준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토대를 다져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7년 개정 교육과정 해설서. http://www.mest.go.kr 

  2. 구지은(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국립국어원(2008). 표준국어대사전. http://www.korean.go.kr 

  4. 김양희.박정윤.김효민.백선아(2008). 결혼이민자가족 관련 기관의 프로그램 운영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121-140 

  5. 김일란(2007).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수요목 개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정숙(1992). 한국어 교육 과정과 교과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종철(2005). 문화교육의 과제와 발전 방향. 한국어교육론 2. 서울: 한국문화사 

  8. 박영순(1989). 제2언어로서의 문화교육. 이중언어학, 5(1), 43-59 

  9. 백미옥(2007).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생활문화와 한국어의 통합 교육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법제처(2008). 다문화가족지원법시행령. http://www.moleg.go.kr 

  11. 보건복지가족부(2008a). 건강가정사 자격요건에 관한 지침 개정안. http://www.mw.go.kr 

  12. 보건복지가족부(2008b).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강화 대책. http://www.mw.go.kr 

  13. 보건복지가족부(2008c). 2009년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사업 안내. http://www.mw.go.kr 

  14. 서혁(2007). 다문화 가정 현황 및 한국어교육 지원 방안. 인간연구, 12, 57-92 

  15. 설동훈.김윤태.김현미.윤홍식.이혜경.임경택.정기선.주영수.한건수(2005). 국제결혼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16. 설동훈.이혜경.조성남(2006). 결혼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17. 신상록(2008). 현대한국과 다문화사회 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2. 서울: 상명대학교 한국언어문화교육원 

  18. 여성가족부(2005).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교재(초급) 

  19. 유가효.홍성희.김성숙(2008). 결혼이민여성의 초기 적응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95-120 

  20. 이경연(2007). 문화 교육 겸용 초급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길표.주영애(1999). 전통가정생활문화연구. 서울: 신광출판사 

  22. 이민경(2007). 이주 여성을 위한 한국어 일일학습 교재개발 방안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소영(2001). 한국어 교재의 문화요소 분석 및 한국어 문화 통합 교수방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순애(2007).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문화 교육 내용 구성 연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언숙(2008).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 교육 요구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영옥(2007). 이주 여성을 위한 생활한국어 교재개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조항록(2008a). 언어교수이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2. 서울: 상명대학교 한국언어문화교육원 

  28. 조항록(2008b). 한국어문화교육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2. 서울: 상명대학교 한국언어문화교육원 

  29.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8a).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운영 가이드북. http://www.familynet.or.kr 

  30.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8b). 결혼이민자가족방문교육사업 운영매뉴얼. http://www.familynet.or.kr 

  31. 채옥희.홍달아기(2006).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건강가정을 위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응력 향상 교육효과. 한국가정자원경영학회지, 10(3), 63-78 

  32. 통계청(2008). 2007 인구동향조사. http://www.kosis.kr 

  33. 한상미(2007). 한국 문화 교육론. 한국어교수법의 실제.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34. Ruth E. Deacon & Francille M. Firebaugh(1988). Family resource management(2nd ed.). Massachusetts: Allyn and Bacon,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