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Death Education Program on life Satisfact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in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9 no.1, 2009년, pp.1 - 9  

김은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이은주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to examine the values of a death education program developed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in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death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then used with 22 college students for 5 weeks, once a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편의추출로 선정되었다. 먼저 대상자들에게 본 연구의 취지와 죽음준비교육의 내용을 소개하였다. 윤리 적 측면을 고려하여 연구의 목적에 대한 설명을 한 후 연구 참여를 희망하는 대학생에게는 언제라도 연구 참여를 중단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실-계이다.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도입단계에서 죽음 생각하기, 탐색단계는 죽음과정과 죽음에 대한 이해, 이해단계에서는 죽음 간접체험, 수용단계에서 죽음준비와 삶의 의미 찾기, 마무리 단계는 삶의 목표설정과 나의 가치 정립으로 총 5단계로 매주 1회 150분간으로 총 5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삶의 만족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실험 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대학생에게 제공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R„ 2006).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현재의 삶의 의미와 가치를 증진시 킬 수 있는지, 긍정적 인 죽음에 대한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지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 첫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ay, R. (1998). Elderly reactions to a death education program in a nursing home setting. Gerontology & Geriatric Education, 15, 3-9 

  2. An, C.O. (2001). Study on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 Ggi University, Seoul 

  3. Chung, S. K. (1992). A relational study on attitudes toward death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values of juveni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 Coleman, W. T. (1983). The effect of an instructional module on death and dying on the death anx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raine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rdue University, Indianapolis, IN, USA 

  6. Collett, L., & Lester, D. (1969). Fear of death and the fear of dying. Journal of Psychology, 72, 179-181 

  7. Donald, M., Dower, J., Correa-Velez, I., & Jones, M. (2006).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medically serious suicide attempts: A comparison of hospital-based with population-based samples of young adults.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40, 87-96 

  8.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ion of Hospice. (2006).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oul: Gun Ja Publishing Company 

  9. Go, S. D., Kim, E. J., & Kim, Y. K. (1999). Study about analyzing elements of preparatory education of death affecting uneasiness of death to the aged.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6, 81-92 

  10. Higgins, S. (1999). Death education in primary 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ren's spirituality, 4, 77-99 

  11. Jang, O. H. (2004). Study about death of the aged: Focusing on the attitude of dea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 Gang University, Seoul 

  12. Jo, H. J. (2004).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 Sang University, Jinju 

  13. Jo, K. H., Lee, H. J., & Lee, Y. J. (2007).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yber lectures about dea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442-452 

  14. Jo, K. H., & Lee, H. J. (2008).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depression, level of satisfaction and death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229-237 

  15. Jung, B. R. (2006).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preparatory education of death. Kyungpook Journal of Nursing Science, 10, 49-60 

  16. Jung, J. G. (2006). A study of death education-Focused on a world of Shih Shih Wu Ai in Hua-yen philosophy. Jou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13, 205-230 

  17. Kang, K. A., Kim, S. J., Song, M. K., & Sim, S. (2007).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instrument for adolescents meaning in life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625-634 

  18. Kao, S. F., & Lusk, B. (1997). Attitudes of Asian and American graduate nursing students towards death and dying.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4, 438-443 

  19. Kawagoe, H., & Kawagoe, K. (2000). Death education in home hospice care in Japan. Journal of Palliative Care, 16, 37-45 

  20. Kim, S. N., Choi, S. O., Lee, J. J., & Sin, K. I. (2005). Effects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 to death and meaning in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 141-153 

  21. Kim, S. Y., & Lee, E. G. (1996).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of their life. Haksang Sangwhal Yeongu, 32, 74-93 

  22. Lally, M. T. (1983). Death anxiety and fear of death attitudes: A death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Loyola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IL, USA 

  23. Lee, H. J., & Kim, M. H. (2007). A path model for self-identity and hopelessness to suicidal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4, 243-264 

  24. Lee, J. Y. (2004). Juveniles' awareness about death and religious education. Korean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 19, 39-56 

  25. Mogi, N., Masuda, Y., Hattori, A., Naito, M., Iguchi, A., & Uemura, K. (2003).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self-determination in medical treatment in university students. Geriartrics and Gerontology International, 3, 200-207 

  26.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ow-Hill 

  27. Oh, K. H. (2007).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 on the attitude toward death in the elderly: Focused on the elderly in Mapo-Gu, Seoul. Unpublished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8. Park, H. S., & Kwon, B. S. (2006). The satisfaction measurement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and related elem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 48-56 

  29. Smith-Cumberland, T. (2006). The evaluation of two death education programs for EMTs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Death Studies, 30, 637-647 

  30. Warren, W. G. (1989). Death education and research: Critical perspectives. New York, NY: The Haworth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