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s on functional clothing materials, and to explore the effects of subjects'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ttitudes to and images of the functional clothing materials. A total of 500 question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s on functional clothing materials, and to explore the effects of subjects'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ttitudes to and images of the functional clothing materials. A total of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university students and 409 of which were used in data analysi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tudents thought that the first and foremost 'function' of functional clothing materials is their light-weight. The functions that consumers practically demanded are water-repellency and high absorbency & quick drying. It showed that students have an image that functional clothing materials have special, good and satisfactory qualities. Goretex and Coolmax were the most selected as brands of functional clothing materials which students knew. Attitudes to functional clothing materials revealed positively in the cognitive, behavioral and affectional attitudes. The attitude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and their major, but they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y subjects' amount of allowance, frequency of sports participation and sports ability. In other words, the more amount of allowance they get, the more frequently students do exercise, and the higher sports ability they have, the more positive attitude they have. The study says, in conclusion, that their conception of functional clothing materials has positive relations with their attitudes toward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s on functional clothing materials, and to explore the effects of subjects'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ttitudes to and images of the functional clothing materials. A total of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university students and 409 of which were used in data analysi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tudents thought that the first and foremost 'function' of functional clothing materials is their light-weight. The functions that consumers practically demanded are water-repellency and high absorbency & quick drying. It showed that students have an image that functional clothing materials have special, good and satisfactory qualities. Goretex and Coolmax were the most selected as brands of functional clothing materials which students knew. Attitudes to functional clothing materials revealed positively in the cognitive, behavioral and affectional attitudes. The attitude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and their major, but they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y subjects' amount of allowance, frequency of sports participation and sports ability. In other words, the more amount of allowance they get, the more frequently students do exercise, and the higher sports ability they have, the more positive attitude they have. The study says, in conclusion, that their conception of functional clothing materials has positive relations with their attitudes toward the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기능성 의류 소재에 대해 어떤 인식과 태도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대학생집단은 일반소비자보다 지식수준 및 응답 능력이 더 뛰어나 일반소비자를 대표하지 못한다는 측면이 있으나(Enis et al, 1972) 기능성 의류소재가 대학생들이 즐겨 입는 스포츠웨어에 많이 사용되고 용어들이 아직은 낯설고 어려워 소비자범위를 대학생으로 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대학생집단은 일반소비자보다 지식수준 및 응답 능력이 더 뛰어나 일반소비자를 대표하지 못한다는 측면이 있으나(Enis et al, 1972) 기능성 의류소재가 대학생들이 즐겨 입는 스포츠웨어에 많이 사용되고 용어들이 아직은 낯설고 어려워 소비자범위를 대학생으로 하고자 한다.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는 기능성 의류라고 할 때 어떤 기능성을 떠올리는지,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이미지, 실제로 알고 있는 제품명 등에 대해 조사하고,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태도조사에서는 태도가 어떤 요소로 구성되었는지 알아보고, 태도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운동 관련 특성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도 파악해보고자 한다.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는 기능성 의류라고 할 때 어떤 기능성을 떠올리는지,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이미지, 실제로 알고 있는 제품명 등에 대해 조사하고,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태도조사에서는 태도가 어떤 요소로 구성되었는지 알아보고, 태도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운동 관련 특성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도 파악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의류소재를 쾌적성, 안전성, 운동 기능성 등을 목적으로 섬유에 특수한 기능을 부여한 소재로 정의하고 이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평가해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때 대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운동 관련 특성들이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되어 이의 영향도 검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기능성'으로부터 연상되는 기능, 이미지' 관련된 스포츠활동, 알고 있는 제품명과 선호하는 스포츠웨어 브랜드를 알아본다.
평가한다. 태도의 구성요소와 태도강도를 확인하고,태도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운동 관련 특성의 영향을 파악한다.
연구문제 3 :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 간의 관계를 알아본다.
최근 섬유산업의 가장 중요한 성장 원동력중의 하나인 기능성 의류 소재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운동 관련 특성의 영향을 알아보며, 태도와 이미지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대학생들에게 설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능성 의류 소재에서 기능성은 경량성을 가장 먼저 연상시킨다고 응답하여 기능성 의류소재는 투습발수성에 이어 초경량화로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안 방법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인식수준과 태도 평가를 위해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포함된 설문 문항은과 같다.
인식 관련 문항은 '기능성'으로부터 연싱되는 기능 둥 총 5부분으로 구성되었다. 그 중 기능성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기능을 묻는 문항, 알고 있는 기능성 의류 소재 제품명과 선호 스포츠웨어 브랜드와 관련된 문항을 작성하기 위해 인터넷과 의류제품 관련 잡지 및 신문(한국섬유신문, 국제섬유신문, 어패럴 뉴스, 패션비즈)등을 참고로 하였고 박광희, 이해연(2007)의 기능성 소재에 관한 선행연구를 참고로 기능성의 종류, 기능성 의류 소재 제품명과 스포츠웨어 브랜드 명을 파악하였다.
현장조사를 위해 울산과 부산에 소재한 백화점 4곳과 유동인구가 많은 번화가와 스포츠웨어 로드샵이 밀집해있는 지역의 매장들을 방문하여 tag에 붙어있는 내용을 위주로 브랜드와 소재제품명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모아진기능성 의류 소재명과 스포츠웨어브랜드를 의류학 전공교수진과 대학원생들의 자문을 얻어 각각 30개씩의 소재 명과 브랜드가 선정되었다.
문헌조사와 방문조사가 실시되었는데, 신문, 잡지, 인터넷을 통한 문헌조사가 실시되었으며 백화점 4곳과 스포츠웨어 또는 아웃도어 전문매장을 방문 조사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내용을 바탕으로 의류학과 교수, 시간 강사 등의 자문을 얻어 문항의 내용을 도출하였다.
문헌조사와 방문조사가 실시되었는데, 신문, 잡지, 인터넷을 통한 문헌조사가 실시되었으며 백화점 4곳과 스포츠웨어 또는 아웃도어 전문매장을 방문 조사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내용을 바탕으로 의류학과 교수, 시간 강사 등의 자문을 얻어 문항의 내용을 도출하였다. 임의 무선표본추출방식에 의해 5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007년 10월 예비조사가 실시되었고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 보완된 본 설문지가 작성되어 2007년 12월부터 2008년 1월에 걸쳐본 조사가 실시되었다.
측정하였다. 태도 측정 문항은 선행연구(김유경외, 2007 ; 김동기외, 1993)에서 사용된 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9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5점 리커트 척도에 의해 측정되었고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태도를 갖는 것으로 보았다. 이밖에 성별, 연령, 전공, 용돈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운동 빈도와 운동능력에 대해 질문하였다.
태도 측정 문항은 선행연구(김유경외, 2007 ; 김동기외, 1993)에서 사용된 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9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5점 리커트 척도에 의해 측정되었고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태도를 갖는 것으로 보았다. 이밖에 성별, 연령, 전공, 용돈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운동 빈도와 운동능력에 대해 질문하였다.
대상 데이터
브랜드와 소재제품명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모아진기능성 의류 소재명과 스포츠웨어브랜드를 의류학 전공교수진과 대학원생들의 자문을 얻어 각각 30개씩의 소재 명과 브랜드가 선정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기타의 응답을 추가하여 무작위로 추출된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예비조사 결과 응답자의 5%에 해당하는 3인 이하가 체크한 답변은 응답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제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타의 응답을 추가하여 무작위로 추출된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예비조사 결과 응답자의 5%에 해당하는 3인 이하가 체크한 답변은 응답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제외하였다. 그 결과 알고 있는 기능성 의류 소재 제품명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총 14개의 제품명이 선정되었으며, 선호되는 스포츠웨어 브랜드로는 20개가 채택되었고 이들은 모두 중복 응답하도록 하였다.
기능성과 관련해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기능과 기능성 의류 소재가 요구되는 스포츠활동도 예비조사를 통해 각각 14개의 기능과 11개의 스포츠활동 항목이 선정되었다. 기능성 의류이미지는 기능성 의류소재를 다룬 신문 또는 잡지 기사의 내용들을 참조하여 관련된 이미지를 뽑아 문항을 작성하였으며, 리커트 타입의 5점 척도에 의해 측정되었다(1=전혀 그렇지 않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부산, 울산에 거주하는 대학생으로, 일반적으로 대학생은 신제품에 관심이 많고 정보습득과 이해가 빠르며 의복에 대한 관심이 높고 스포츠 및 아웃도어 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하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헌조사와 방문조사가 실시되었는데, 신문, 잡지, 인터넷을 통한 문헌조사가 실시되었으며 백화점 4곳과 스포츠웨어 또는 아웃도어 전문매장을 방문 조사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내용을 바탕으로 의류학과 교수, 시간 강사 등의 자문을 얻어 문항의 내용을 도출하였다. 임의 무선표본추출방식에 의해 5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007년 10월 예비조사가 실시되었고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 보완된 본 설문지가 작성되어 2007년 12월부터 2008년 1월에 걸쳐본 조사가 실시되었다. 총 500부를 배포하여 수거된 설문 지중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40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임의 무선표본추출방식에 의해 5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007년 10월 예비조사가 실시되었고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 보완된 본 설문지가 작성되어 2007년 12월부터 2008년 1월에 걸쳐본 조사가 실시되었다. 총 500부를 배포하여 수거된 설문 지중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40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2.
데이터처리
총 500부를 배포하여 수거된 설문 지중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40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t-검정 및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 특성은<표 2>와 같다.
이론/모형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태도는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평가, 감정, 경향으로 정의하고 Breckler(1984)의 연구에 따라 태도가 감정적, 인지적, 행동적 요인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고 태도를 측정하였다. 태도 측정 문항은 선행연구(김유경외, 2007 ; 김동기외, 1993)에서 사용된 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9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5점 리커트 척도에 의해 측정되었고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태도를 갖는 것으로 보았다.
성능/효과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해 대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기능성 의류소재라고 하면 떠오르는 기능이 무엇인지에 관해 복수 응답하도록 한 결과(표 3), 응답자중 74.6%가 경량성이라고 대답하였으며 그 다음이 신축성(56.5%)>방풍성(49.9%)>투습방수성(45.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능성 의류소재가 요구되는 스포츠활동에 대해 복수 응답하게 한 결과(표 4)에서는, 등산(51.5%)과 스키 (48.2%)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수영(37.4%), 육상(20.5%), 등의 순으로 나타나 실제 제품 사용 시 기능성 의류소재에 요구하는 기능은 등산복이나 스키복의 주요특성인 투습방수성, 흡수속건성, 단열보온성 등의 특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남상영(2003)의 연구에서도 남성정장에 사용되는 기능성 소재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갖는다고 하여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특별하고 우수한 성능 요인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 대학생들은 기능성 의류소재라고 하면 특성이 우수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대학생들은 기능성 의류 소재에 대해 성능이 특별하고 우수하며 심리적으로 만족스러운 소재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심리적 만족감보다는 성능이 특별하고 우수한 소재라는 이미지를 강하게 느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특별하고 우수한 성능 요인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 대학생들은 기능성 의류소재라고 하면 특성이 우수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대학생들은 기능성 의류 소재에 대해 성능이 특별하고 우수하며 심리적으로 만족스러운 소재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심리적 만족감보다는 성능이 특별하고 우수한 소재라는 이미지를 강하게 느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김찬호 (2005)의 연구에서 기능성 소재 등산복의 경우 디자인 요소보다 확실한 기능성 의류를 더 원한다고 응답했던 것을 고려해 본다면 소비자들은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해 특별하고 우수한 성능을 갖는 소재라는 이미지를 가장 뚜렷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학생들이 알고 있는 기능성 의류소재 제품명을 조사한 결과(표 6), 고어텍스(72.9%)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쿨맥스(49.1%)도 많이 알고 있었으며 그 다음이 에어셀 (19.6%), 에어로쿨(18%), 라이크라(17.1%)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어텍스와 쿨맥스 응답률이 다른 제품들과 큰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고어텍스, 쿨맥스등 각 분야의 선두 업체가 브랜드력과 마케팅력을 앞세워 시장을 독점하고 있기 때문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인정된 그들의 기술과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1%)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어텍스와 쿨맥스 응답률이 다른 제품들과 큰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고어텍스, 쿨맥스등 각 분야의 선두 업체가 브랜드력과 마케팅력을 앞세워 시장을 독점하고 있기 때문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인정된 그들의 기술과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태도의 구성요소를 요인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 과(표 8), 인지적 태도, 행동적 태도, 감정적 태도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검사결과, 크론바하 알파 값이 각각 .882, ,824, .790으로 나와 개념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이 세 가지 태도 모두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 긍정적 태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90으로 나와 개념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이 세 가지 태도 모두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 긍정적 태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김찬호 (2005), 남상영(2003)등의 연구결과와 일치된 결과이다.
이는 김찬호 (2005), 남상영(2003)등의 연구결과와 일치된 결과이다. 특히 세 구성 요소 중 인지적 태도가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적 태도의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기능성 의류소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만큼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기능성 의류소재가 중요하기는 하나 최종 소비자인 대학생들에게 소재는 의복 전체의 일부분으로 여겨지고, 비기능성 의류 소재를 사용한 경우와 외관 차이를 찾기 어려우며, 기능성 의류소재 사용 유무는 기업의 가격과 제품정책에 의해 기업에 의해 결정되는 측면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한다.
태도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각 집단별 태도점수의 평균을 비교해 본 결과(표 9), 성별과 전공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용돈의 경우에 태도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Duncan's test를 실시한 결과, 20만원 이상~35만원 미만의 용돈을 받는 집단(A)과 35만 원 이상~50만원 미만의 용돈을 받는 집단(B)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Duncan's test를 실시한 결과, 20만원 이상~35만원 미만의 용돈을 받는 집단(A)과 35만 원 이상~50만원 미만의 용돈을 받는 집단(B)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만원 이상~35만원 미만의 용돈을 받는 집단의 태도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35만원 이상~50만원 미만의 경우에 높은 태도 점수를 보여 가장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Duncan's test를 실시한 결과, 20만원 이상~35만원 미만의 용돈을 받는 집단(A)과 35만 원 이상~50만원 미만의 용돈을 받는 집단(B)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만원 이상~35만원 미만의 용돈을 받는 집단의 태도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35만원 이상~50만원 미만의 경우에 높은 태도 점수를 보여 가장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의류소재의 경우 스포츠웨어에 주로 사용되므로 운동 빈도와 운동능력도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되어 이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표 10), 운동 빈도에 따라 유의한 태도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전혀 하지 않는 집단(A)과 일주일에 3~4번을 하는 집단(C)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집단이 가장 낮은 태도를 나타내었고 일주일에 3~4번을 하는 집단이 가장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집단이 가장 낮은 태도를 나타내었고 일주일에 3~4번을 하는 집단이 가장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능력의 경우에는 못 한다에 응답한 집단이 가장 덜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으며 매우 잘 한다.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해 갖는 이미지는 기능성 의류 소재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어 태도의 구성요소와 이미지 간의 관련성을 상관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표 11), 특별하고 우수한 성능 이미지와 심리적 만족감 이미지 모두 태도의 3 구성요소와 낮은 정적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그 중 특별하고 우수한 성능 이미지와 인지적 태도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어 성능이 특별하고 우수하다는 긍정적 이미지와 긍정적인 인지적 태도 간에 상대적으로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타내었다. 그 중 특별하고 우수한 성능 이미지와 인지적 태도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어 성능이 특별하고 우수하다는 긍정적 이미지와 긍정적인 인지적 태도 간에 상대적으로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언하자면, 기능성 의류소재가 특별하고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다고 생각할수록 기능성 의류소재가 중요하고 스포츠웨어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특별하고 우수한 성능 이미지와 인지적 태도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어 성능이 특별하고 우수하다는 긍정적 이미지와 긍정적인 인지적 태도 간에 상대적으로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언하자면, 기능성 의류소재가 특별하고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다고 생각할수록 기능성 의류소재가 중요하고 스포츠웨어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에게 설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능성 의류 소재에서 기능성은 경량성을 가장 먼저 연상시킨다고 응답하여 기능성 의류소재는 투습발수성에 이어 초경량화로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 사용 시 요구하는 특성은 투습방수성, 흡수속건성으로 나타나 이 특성들이 여전히 기능성 의류 소재의 가장 중요한 특성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기능성 의류 소재에서 기능성은 경량성을 가장 먼저 연상시킨다고 응답하여 기능성 의류소재는 투습발수성에 이어 초경량화로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 사용 시 요구하는 특성은 투습방수성, 흡수속건성으로 나타나 이 특성들이 여전히 기능성 의류 소재의 가장 중요한 특성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생들이 기능성 의류 소재에 대해 갖는 이미지는 성능이 특별하고 우수하며 심리적으로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사용 시 요구하는 특성은 투습방수성, 흡수속건성으로 나타나 이 특성들이 여전히 기능성 의류 소재의 가장 중요한 특성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생들이 기능성 의류 소재에 대해 갖는 이미지는 성능이 특별하고 우수하며 심리적으로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태도에서는 인지적 태도, 행동적 태도, 감정적 태도 모두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인지적 태도에서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태도는 성별과 전공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용돈, 운동 빈도와 운동능력에의 해서는 차이가 있어 용돈이 많을수록, 운동을 자주 하고 운동을 잘할수록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태도는 성별과 전공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용돈, 운동 빈도와 운동능력에의 해서는 차이가 있어 용돈이 많을수록, 운동을 자주 하고 운동을 잘할수록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 간에는 정적 상관성이 있어 기능성 의류소재가 특별하고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다고 하는 이미지는 기능성 의류소재가 필요하고 중요하다는 긍정적 태도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태도는 성별과 전공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용돈, 운동 빈도와 운동능력에의 해서는 차이가 있어 용돈이 많을수록, 운동을 자주 하고 운동을 잘할수록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 간에는 정적 상관성이 있어 기능성 의류소재가 특별하고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다고 하는 이미지는 기능성 의류소재가 필요하고 중요하다는 긍정적 태도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요약해보면, 대학생들은 기능성 의류 소재의 성능이 우수하다고 인식하고 의복에서의 필요성도 인정하고 있지만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관심이 높다거나 좋아하는 등의 감정적 태도에서의 강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외국 선두업체의 브랜드력과 높은 시장점유율로 인해 한국의 기능성 의류소재를 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앞으로 기능성 의류 소재 관련 마케팅활동에서는 철저한 기술개발을 통해 특별하고 우수한 성능을 가졌다는 이미지를 확고히 하는 것뿐만 아니라 고급스럽고 새롭다 등의 심리적 만족감을 주는 데 초점을 맞추어 홍보하는 것이 필요하고 감정적 태도에서의 더 높은 태도강도를 갖기 위해 관심을 유발하고 좋은 감정을 가질 수 있도록 감성적 측면에 호소하는 광고 또는 흥보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학생들의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이미지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해본 결과(표 5), 특별하고 우수한 성능(크론바하 알파 값 .769)과 심리적 만족감(크론바하 알파 값 .713)으로 요약되었고 각 요인별 전체 평균을 보면 대체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상영(2003)의 연구에서도 남성정장에 사용되는 기능성 소재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갖는다고 하여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후속연구
이처럼 시장에 기능성 의류소재들이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기능성 의류소재 관련 소비자 연구는 그 수가 매우 적으며, 실제로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해 소비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어떤 태도를 갖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그러나 기능성 의류소재라고 했을 때 기능성 의류라는 용어에서 어떤 기능을 떠올리는지, 어떤 이미지를 갖는지, 실제로 제품을 얼마나 알고 있으며,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갖는지 등에 대한 평가는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에게 매우 기초적이면서 실질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특성에는 퍼스낼리티, 과거의 경험, 가치관 및 연령, 직업, 성별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등이 있다(김석근, 김태훈, 1990). 이 중에서도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가장 기본적인 중요한 특성이므로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한 기초적 연구로써 태도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영향을 파악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며, 기능성 의류 소재가 사용되는 품목이 주로 스포츠웨어이므로 운동 관련 특성들도 소비자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되므로 이에 대한 평가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결과는 기능성 의류소재 및 이를 사용한 스포츠웨어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태도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생산자에게는 소비자 만족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제품 및 서비스개발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고, 소비자에게는 더 향상된 기능성 의류 소재 및 스포츠웨어 상품과 서비스를 얻게 되어 의생활 만족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소비자의 성별, 연령, 직업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소비자 특성 중 가장 기본적인 특성이므로 특정 제품에 대한 태도 연구 시 태도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영향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기능성 의류소재 관련 소비자태도에 관한 연구들은 그 수가 대단히 적어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이러한 소재들이 주로 사용되어온 의복 품목이 스포츠웨어이므로 운동 빈도, 운동능력 등의 운동 관련 특성도 태도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되므로 이들의 영향도 함께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고려된다. 또한, 이러한 소재들이 주로 사용되어온 의복 품목이 스포츠웨어이므로 운동 빈도, 운동능력 등의 운동 관련 특성도 태도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되므로 이들의 영향도 함께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앞으로 기능성 의류 소재 관련 마케팅활동에서는 철저한 기술개발을 통해 특별하고 우수한 성능을 가졌다는 이미지를 확고히 하는 것뿐만 아니라 고급스럽고 새롭다 등의 심리적 만족감을 주는 데 초점을 맞추어 홍보하는 것이 필요하고 감정적 태도에서의 더 높은 태도강도를 갖기 위해 관심을 유발하고 좋은 감정을 가질 수 있도록 감성적 측면에 호소하는 광고 또는 흥보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학생들은 성별이나 전공과는 무관하게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었으나 용돈은 태도에 영향을 미쳐 용돈이 작을수록 부정적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의류소재스포츠웨어에서의 경쟁력은 가격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측되며 적절한 가격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앞으로 기능성 의류 소재 관련 마케팅활동에서는 철저한 기술개발을 통해 특별하고 우수한 성능을 가졌다는 이미지를 확고히 하는 것뿐만 아니라 고급스럽고 새롭다 등의 심리적 만족감을 주는 데 초점을 맞추어 홍보하는 것이 필요하고 감정적 태도에서의 더 높은 태도강도를 갖기 위해 관심을 유발하고 좋은 감정을 가질 수 있도록 감성적 측면에 호소하는 광고 또는 흥보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학생들은 성별이나 전공과는 무관하게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었으나 용돈은 태도에 영향을 미쳐 용돈이 작을수록 부정적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의류소재스포츠웨어에서의 경쟁력은 가격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측되며 적절한 가격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운동능력과 운동 빈도도 영향을 미쳐 운동을 자주하고 잘하는 사람일수록 긍정적 태도를 나타내는데 앞으로 아웃도어 및 스포츠활동의 인구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운동을 잘 하는 사람들은 스포츠인구의 리더일 가능성이 높아 이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모션활동이 더 적극적이고 공격적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대학생들은 성별이나 전공과는 무관하게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었으나 용돈은 태도에 영향을 미쳐 용돈이 작을수록 부정적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의류소재스포츠웨어에서의 경쟁력은 가격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측되며 적절한 가격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운동능력과 운동 빈도도 영향을 미쳐 운동을 자주하고 잘하는 사람일수록 긍정적 태도를 나타내는데 앞으로 아웃도어 및 스포츠활동의 인구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운동을 잘 하는 사람들은 스포츠인구의 리더일 가능성이 높아 이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모션활동이 더 적극적이고 공격적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스포츠동호회나 스포츠 관련 학회, 모임 등을 통한 홍보 또는 광고는 대단히 유효한 프로모션활동이 될 것이며 이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제품개발의 방향을 잡는 것도 사용자 중심의 제품개발로 이어져 소비자 니즈에 부응하는 제품으로서 소비자 의생활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기능성 의류소재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이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는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실제로 기능성 의류소재의 명확한 기능을 알지 못한 채 응답했을 가능성도 있으며 경험유무와 상관없이 갖고 있는 생각에 따라 응답했을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실제로 기능성 의류소재의 명확한 기능을 알지 못한 채 응답했을 가능성도 있으며 경험유무와 상관없이 갖고 있는 생각에 따라 응답했을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 결과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라 생각한다.
Bagozzi, R. P. & Burnkrant, R. E. (1979) Attitude organization and the attitude-behavior relationship,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 913-929.
Breckler, S. J. (1984) Empirical validation of affect, behaviour and cognition as distinct components of attitud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 1191-1205.
Enis, B. M., Cox, K. K. and Stafford, J. E. (1972) Students as subjects in consumer behavior experimen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 72-74.
Langenhove, L. V. & Hertleer, C. (2004) Smart Textiles in Vehicles : A Foresight, Journal of Textile and Apparel, Technology and Management, 3(4), 1-6.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