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전문간호사의 전문간호행위 분류와 수행분석
Analysis on Performance and New Classification of Advanced Practices by Critical Care Nurse Practitioner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5 no.4, 2009년, pp.527 - 538  

김진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김명애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 ,  김미원 (한국간호평가원) ,  김경숙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  유정숙 (서울대학교병원 간호과) ,  이은희 (서울아산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lassify the advanced nursing practices of critical care nurse practitioners(CCNPs) in intensive care unit and measure the time and frequency of CCNP's activities. Method: Practices of ICU nurses are divided into RN's and CCNP's practices by a panel of IC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료행위는 수행자별로 행위에 대한 정의와 수행절차에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건강보험의 상대가치 산출은 표준의료행위 분류를 기초로 하는데 이 분류는 의료행위에 대한 학술적 분류가 본연의 목적이며 건강보험수가 항목으로서의 적용은 이차적 목적이었다(Song, 2002).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상대가치에 근거한 수가 산출을 위해 각 행위별 급여범위를 명확하게 하고, 상대가치 설정과 검증에 활용하기 위하여 각 행위의 정의, 시술방법, 전형적인 사례를 제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중환자 전문간호사의 간호행위 중에서 비교적 행위빈도가 많고, 건강보험 급여 대상으로 적합한 전문간호행위를 선정하여 전문간호사의 상급실무를 유형화하고 전문가적 실무 수행의 정도를 파악해 보고자 하는 것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중환자전문간호사의 활동은 국내 병원의 필요에 의해 일부 병원에서 배정되어 시행하고 있는 초기단계임을 감안하여 중환자 전문간호사의 간호행위 중에서 비교적 행위빈도가 많고, 건강보험 급여 대상으로 적합한 전문간호행위를 선정하여 전문간호사의 상급실무를 유형화하고 실제로 중환자 전문간호행위의 수행 정도를 파악해보고자 시도되었으며, 이 결과는 향후 전문간호사의 업무표준화와 전문간호행위의 보험급여화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문간호사제도는 어떤 효용성을 가지는가? 전문간호사제도는 환자간호의 실무수준을 향상시키고, 일반간호사에게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전수하고 실무에 적용하게 하여 간호사의 업무를 더욱 완벽하게 보완해주고, 효과적인 간호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재원일수를 단축하고 병상가동률을 증가시켜 간호의 질적 향상과 비용 절감을 가져온다(Nuccio et al., 1993; Schull, Tosch, Wood, 1992).
중환자실이란? 중환자실은 병원 내에서 가장 중증도가 높은 환자가 입원하여 생명에 위협을 초래하는 여러가지 건강문제를 지닌 환자를 치료하는 곳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중환자실에서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력이 첨단장비를 이용하여 24시간 내내 집중적인 감시와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어(Sole, Klein & Moseley, 2005), 전문간호사의 역할이 가장 많이 기대되는 곳 중의 하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oyle, D. M. (1996). The clinical nurse specialist. In: Hamric A, 

  2. Choi, J. G. (2000, June). Resource-based relative value scales in the 

  3. Davis, E. A. (1994). Factor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4. Glass, B. C. (1993). The role of the nurse in advanced practice 

  5. Hamric, A. B. (1995). Advanced practice: the future is now. 

  6.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04). Briefs on 

  7. Hilderley, L. J. (1991). Nurse-physician collaborative practice: the 

  8. Jones, M. L. (2005). Role development and effective practice in 

  9. Kim, M. W. (2005). For successing landing of advanced practice 

  10. Kleinpell, R. M., Ely, E. W., & Grabenkort, R. (2008). Nurse 

  11. Korea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05). Core competencies 

  12.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08). 2008, Doing 

  13.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06). Standard nursing 

  14.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4). A study on 

  15. Korean Nurse Association (2001). Result report of progress 

  16. Kwon, I. K., Kim, Y. H., Hwang, K. J., Kim, H. S., Lee, B. 

  17. Lee, C. H., Sung, Y. H., Yi, Y. H., Cho, Y. A., & Kwon, I. 

  18. Lincoln, P. E. (2000). Comparing CNS and NP role Activities: A 

  19. Nuccio, S. A, Costa-Lieberthal K. M, Gunta K. E., Mackus, M, 

  20. Park, K. J. (2008). Present and challenge in system of advanced 

  21. Park, K. O., Kim, J. K., & Jeong, J. S. (2007). An analysis of 

  22. Park, J. H., Sung, Y. H., Park, K. O., Kim, Y. M., Nam, H. 

  23. Pirret, A. M. (2008). The role and effectiveness of a nurse 

  24. Scahill, L., & Sipple, B. (1993). What have you been called 

  25. Schull, D. E, Tosch, P. K., & Wood, M. (1992). Clinical nurse 

  26. Scott, R. A. (1999). A description of the roles, activities, and 

  27. Sidani, S., Doran, D., Porter H., LeFort, S., O'Brienn-Pallas L. 

  28. Sole, M., Klein, G., & Moseley, M. (2005). Introduction to critical 

  29. Song, Y. H. (2002). Resource-based relative value scales for dental 

  30. Williams, C. A., & Valdivieso, G. C. (1994). Advanced practic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