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군집분석과 요인분석 이용한 우리나라 성인의 식사패턴 비교 분석 - 200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하여
A Comparison of Cluster and Factor Analysis to Derive Dietary Patterns in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4 no.6, 2009년, pp.722 - 733  

송윤주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 ,  백희영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효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etary patterns and compare dietary patterns using cluster and factor analysis in Korean adults. This study analyzed data of 4,182 adult populations who aged 30 and more and had all of socio-demographic, anthropometric, and dietary data from 2005 Korean He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0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대다수의 성인들의 대체적인 식사패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식사패턴 분석방법은 식사섭취조사방법의 종류, 식품군 재분류 과정, 패턴 기본 변수의 추출과정, 패턴 명명 및 해석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만 3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두 가지 통계기법, -군집분석과 요인분석을 사용하여 식사패턴을 추출하여 각 식사패턴 간에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영양소섭취 상태를 비교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사패턴 분석방법은 어떤 제한점에서 시작되었는가? 식사패턴 분석방법은 실제로 일상 사람들은 단일 영양소로 섭취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식품들 또는 음식의 형태로 섭취한다는 점과, 영양소 사이에는 높은 상관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일 영양소 또는 식품으로 조사한 식사 자료를 평가했을 때 통계적 파워가 약해져서 질병과의 관련성이 잘 검출되지 않는다는 제한 점에서 시작되었다(Newby & Tucker 2004).
식사패턴 분석방법에는 무엇이 있으며 이들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식사패턴 분석방법으로는 다변량 통계적 기법인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 두 방법 모두 연구자가 식이 자료를 평가하는 사전적 지표 없이 수집된 대상자들의 식이 자료로부터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식사자료를 평가한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질병 또는 건강 위험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 중 특히 식이와의 관련성을 보는 연구에서 많이 사용한 방법은 무엇인가? 최근 우리 사회는 만성질환이 주요한 질병 형태가 되면서 질병 또는 건강 위험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 중 특히 식이와의 관련성을 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영양역학 연구에서는 식이를 어떻게 평가하느냐가 중요한 문제가 되는데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단일 영양소 또는 단일 식품 및 식품군 섭취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해왔다. 그러나 보다 전반적이고 통합적인 식이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새로운 시도로 다변량 통계기법을 이용한 식사패턴 분석방법이 활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지난 몇 년간 식사패턴에 대한 다수의 연구들이 보고되었다(Hu 2002; Kant 2004; Newby & Tucker 2004; Moeller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hn Y, Park Y, Park S, Min H, Kwak H, Oh K, Park C (2007): Dietary patterns and prevalence odds ratio in middle-aged adults of rural and mid-size city in Korean genome epidemiology study. Korean J Nutr 40(3): 259-269 

  2. Hearty AP, Gibney MJ (2009): Comparison of cluster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echniques to derive dietary patterns in Irish adults. Br J Nutr 101(4): 598-608 

  3. Hoffmann K, Schulze MB, Schienkiewitz A, Nothlings U, Boeing H (2004): Application of a new statistical method to derive dietary patterns in nutritional epidemiology. Am J Epidemiol 159: 935-944 

  4. Hu FB (2001): Dietary pattern analysis: a new direction in nutritional epidemiology. Curr Opin Lipidol 13(1): 3-9 

  5. Iizumi H, Amemiya T (1986). Eleven-year follow-up of changes in indivicuals' food consumption patterns. Int J Vitam Nutr Res 56:399-409 

  6. Kant AK (2004): Dietary patterns and health outcomes. J Am Diet Assoc 104(4): 615-635 

  7.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ray Reference Intake for Korean. Korean Nutrition Society 

  8. Lee J, Hwang J, Cho H (2007): Dietary pattern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alyzed from 200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N R P 2: 84-88 

  9. Lee SM, Oh AR, Ahn HS (2008): Major dietary pattern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socio-demographic, psych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among generally healthy Korean middle-aged women. Korea J Community Nutr 13(3): 439-452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Report on 2005 Nutri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Nutri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1. Moeller SM, Reedy J, Millen AE, Dixon LB, Newby PK, Tucker KL, Krebs-Smith SM, Guenther PM (2007): Dietary pattern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dietary patterns research. J Am Diet Assoc 107(7): 1233 

  12. Newby PK, Tucker KL (2004). Empirically derived eating patterns using factor or cluster analysis: A review. Nutrition Reviews 62(5): 177-203 

  13. Nicklas TA, Webber LS, Thompson B, Berenson GS (1989): A multivariate model for assessing eating patterns and their relationship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e Bogalusa Heart Study. Am J Clin Nutr 49: 1320-1327 

  14. Schwerin HS, Stanton JL, Smith JL, Riley Am Jr, Brett BE (1982): Food, eating habits, and health: a further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eating patterns and nutritional health. Am J Clin Nutr 35: 1319-1325 

  15. Song YJ, Joung HJ, Paik HY (2005): Socioeconomic, nutrient, and health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ietary patterns in adult populations from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38(3): 219-225 

  16. Song YJ, Paik HY, Yu CH (2006):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by dietary pattern group for some Korean college women. Korean J Nutr 39(5): 460-466 

  17. Yoo SY, Song YJ, Joung HJ, Paik HY (2004): Dietary assessment using dietary patterns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nean J Nutr 37(5): 373-3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