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성인의 식사패턴 변화 추세 - 1998, 2001, 200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
Secular Trend in Dietary Patterns in a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the 1998, 2001, and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4 no.2, 2011년, pp.152 - 161  

강민지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효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임정현 (서울대학교병원 급식영양과) ,  이연숙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송윤주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s have undergone many changes in dietary patterns with economic growt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changes in dietary patterns using data from the 1998, 2001, and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tudy included 21,525 subjects (8,295 from 199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1998, 2001, 200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식사패턴분석을 통해 식사 패턴에 따른 특성 및 연도별 패턴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1998년, 2001년, 200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20세 이상 성인 21,525명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통해 전통식 패턴과 혼합식 패턴의 2개의 군집이 추출되었고, 추출된 군집의 전체 대상자의 연도별 변화와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연도별 변화를 살펴보았다. 추출된 패턴은 전통식 패턴과 혼합식 패턴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한 국내 연구와 비슷한 패턴이 추출되었다.
  • 이렇듯 장기간 식이섭취 평가에 대하여 식사패턴 분석 방법이 활용되고 있고, 성인의 경우 전체적인 주요한 식사패턴은 유지가 되나 생활 습관 또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의해서 패턴의 분포 등이 변화되므로 경제발전으로 인하여 급격한 생활 양식의 변화를 겪은 우리나라 성인의 식생활 변화를 패턴 분석으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8년, 2001년, 2005년의 3개 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20세 이상 성인에 대하여 패턴분석을 실시하여 연도별 식사패턴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98, 2001, 200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식사패턴분석을 통해 식사 패턴에 따른 특성 및 연도별 패턴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무엇인가? 3) 영양소 섭취수준은 탄수화물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의 섭취수준이 혼합식 패턴에서 더 높았고, 지방과 단백질의에너지 기여율은 혼합식 패턴에서 너 높았고, 탄수화물의에너지 기여율은 전통식 패턴이 더 높았다. 4) 식사패턴 별 인구·사회학적 특징을 살펴보면, 혼합식 패턴이 젊고, 대도시 거주 분포가 높으며, 고등 교육을 받거나 높은 월소득자 분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식사패턴에 따른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전통식 패턴은 21%, 혼합식은 15.9%로 약간 높았으나, 연령, 성별, 거주지역, 교육수준, 소득수준, 조사 년도를 보정한 후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고혈압과 저HDL콜레스테롤 혈증의 위험도는 전통식패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혼합식 패턴이 각각 14%, 9%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6) 연도별 식사패턴의 변화는 성별 및 연령 별로 차이를 보였고 특히 연령 별 차이가 더 컸는데, 50세 미만 연령층에서는 혼합식 패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50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전통식 패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만성질환을 일으키는 요인 중 식이 요인이 가장 급격하게 변화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과거 특정 결핍 영양소 또는 병원균 등에 의해 유발되던 질병과 다르게 만성질환은 유전적요인, 사회·행태적 요인, 식이 요인 등의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하고 있다.1) 이 중 식이 요인은 경제수준과 더불어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생활의 편이성을 추구하게 되고 서구화된 식생활이 도입되면서 가장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만성질환에 관여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발달로 과거의 전염병 위주이었던 질병의 양상 또한 선진국형의 만성질환 유형으로 이행되었다. 과거 특정 결핍 영양소 또는 병원균 등에 의해 유발되던 질병과 다르게 만성질환은 유전적요인, 사회·행태적 요인, 식이 요인 등의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하고 있다.1) 이 중 식이 요인은 경제수준과 더불어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생활의 편이성을 추구하게 되고 서구화된 식생활이 도입되면서 가장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Paik HY, Dietary intakes and disease in Korea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7 

  2. In-Depth Analysis on the 3rd (2005)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Nutrition Survey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7 

  3. Lee HS, Kim BH, Jang YA, Kim CI.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change of dietary intakes and the intakes of fat. Proceedings of 26th Korean Soc Lipid Atherosclerosis conference: Seoul, Korea; 2003. Sep. 26-27. 

  4. Yoon KH. Comparisons of dietary atherogenicity and nutrient intakes between college students and their parents. Korean J Food Nutr 2000; 13(2): 111-117 

  5. Kant AK, BI Graubard. Secular trends in patterns of self-reported food consumption of adult Americans: NHANES 1971-1975 to NHANES 1999-2002. Am J Clin Nutr 2006; 84(5): 1215-1223 

  6. Valdes J, Grau M, Subirana I, Marrugat J, Covas M I, Schroder H. Secular trends in energy intake and diet quality in a Mediterranean population. Ann Nutr Metab 2009; 54(3): 177-183 

  7. Zhai F, Wang H, Du S, He Y, Wang Z, Ge K, Popkin BM. Lifespan nutrition and changing socio-economic conditions in China. Asia Pac J Clin Nutr 2007; 16(1): 374-382 

  8. Newby PK, Tucker KL. Empirically derived eating patterns using factor or cluster analysis: a review. Nutr Rev 2004; 62(5): 177-203 

  9. Kant AK. Dietary patterns and health outcomes. J Am Diet Assoc 2004; 104(4): 615-635 

  10. Mishra GD, McNaughton SA, Bramwell GD, Wadsworth ME. Longitudinal changes in dietary patterns during adult life. Br J Nutr 2006; 96(4): 735-744 

  11. Weismayer C, JG Anderson, A Wolk. Changes in the stability of dietary patterns in a study of middle-aged Swedish women. J Nutr 2006; 136(6): 1582-1587 

  12. Borland SE, Robinson S M, Crozier SR, Inskip HM. Stability of dietary patterns in young women over a 2-year period. Eur J Clin Nutr 2008; 62(1): 119-126 

  13. Song YJ, Park MJ, Paik HY, Joung HJ. Secular trends in dietary patterns and obesity-related risk factors in Korean adolescents aged 10-19 years. Int J Obes (Lond) 2010; 34(1): 48-56 

  14.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port 199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9 

  1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port 200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16.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port 200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17. Grundy S M, Cleeman JI, Daniels SR, Donato KA, Eckel RH, Franklin BA, Gordon DJ, Krauss RM, Savage PJ, Smith SC, Spertus JA, Costa F.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cientific statement: Executive summary. Crit Pathw Cardiol 2005; 4(4): 198-203 

  18. Song YJ, Paik HY, Joung HJ. A comparision of cluster and factor analysis to derive dietary patterns in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6): 722-733 

  19. Song YJ, Joung HJ, Paik HY. Socioeconomic, nutrient, and health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ietary patterns in adult population from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2005; 38(3): 219-225 

  20. Park SH, Lee KS, Park HY. Dietary carbohydrate intake i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Korean: Analysis of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Int J Cardiol 2010; 139(3): 234-240 

  21. Choi J, SY O, Lee D, Tak S, Hong M, Park SM, Cho B, Park M. Characteristics of diet patterns in metabolically obese, normal weight adult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II, 2005) Nutr Metab Cardiovasc Dis 2010, doi: 10.1016/j.numecd.2010.09.001 

  22. Wirfalt AK, RW Jeffery. Using cluster analysis to examine dietary patterns: nutrient intakes, gender, and weight status differ across food pattern clusters. J Am Diet Assoc 1997; 97(3): 272-279 

  23. van Dam RM, Rimm EB, Willett WC, Stampfer MJ, Hu FB. Dietary patterns and risk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in U.S. men. Ann Intern Med 2002; 136(3): 201-209 

  24. Sadakane A, Tsutsumi A, Gotoh T, Ishikawa S, Ojima T, Kario K, Nakamura Y, Kayaba K. Dietary patterns and levels of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s in a Japanese population. J Epidemiol 2008; 18(2): 58-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